View : 718 Download: 0

Jean-Jacques Rousseau의 시민사회 개념 연구

Title
Jean-Jacques Rousseau의 시민사회 개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in Jean-Jacques Rousseau
Authors
임금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Jean-Jacques Rousseau시민사회룻소정치외교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시민사회에 대한 사상들 가운데 하나로서 Jean-Jaques Rousseau의 시민사회논의를 검토하는 것이다. 룻소에게 있어서 시민사회(civil society)라는 개념은 일단 인간의 고립적인 존재방식으로 특징지워지는 문명이전의 자연상태와 대비되는 상호의존의 상태인 사회상태의 문명질서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에게서 시민사회는 한편으로는 타락된 시민사회라는 범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당한 시민사회라는 범주로 제시되고 있다. 시민사회에 대한 이러한 이중적 인식은 국가와 시민사회의 분리 및 부르즈와 계급의 등장이라는 근대 정치사회사의 역사적 변동의 맥락 속에서 근대 시민사회 개념 내에 발생한 '부르즈와 사회'와 시민사회'로의 개념적 분화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시민사회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보편적 질서로서의 의미와 당대의 사회속성에 대한 추상물로서의 역사적 의미간의 긴장으로 볼 수 있다. 룻소에게 있어서 시민사회에 대한 비판과 정당화의 문제는 그의 인간본성론을 기초로 하여 사회가 자유롭고 독립된 존재로서의 인간본성을 타락시키는가, 실현시키는가의 문제로 나타난다. 룻소의 논의 속에서 인간본성은 그 자체로서 변화가능성과 발전과정을 내포한다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인간의 내적 능력으로 인식되는 완성가능성(perfectibility)과 자유의지 (free will)는 인간으로 하여금 보다 고차적인 형태로의 인간적 완성을 가능하게 하거나, 보다 저급한 상태로의 타락을 결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두 함축하고 있다. 그러므로 룻소에게 나타난 시민사회의 이중성은 이러한 인간능력의 양면성이 현실화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룻소에게 인간존재의 완성은 사회상태에서 동료인간과의 도덕적 상호관계성을 정립하는 데에 있다. 그러므로 사회속에서 이러한 도덕적 상호의존성이 정립되지 못하고 각 개인들이 절대적 욕구와 개체에 국한되는 자유인 자연적 자유를 고수한다면 그러한 사회질서는 역사적으로 소유와 힘의 불평등이 지배하는 구조로 귀결된다. 룻소는 이러한 시민사회를 인간본성의 타락을 결과한 문명상태로서 극복되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고 그러한 사회의 타락된 인간상을 '부르즈와지'로 제시한다. 룻소는 정당한 정치공동체라는 형식을 통해 도덕적 상호관계성을 공동의 질서로서 수립한 사회형태를 수립되어야 할 시민사회의 모습으로 제시한다. 룻소에게 있어서 이러한 공동체의 구성원인 '시민'은 공동체 내의 자유인 시민적 자유를 권리로써 부여받음으로써 자신의 존재속에서 도덕성과 공공성을 구현하는 보다 완성된 인간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룻소는 인간의 존재내적 통일성과, 도덕적 상호의존을 통한 인간개인과 외적 질서와의 조화가 가능한 사회질서의 이상을 정당한 시민사회라는 개념으로 제시함으로써 특정시기의 역사적 시민사회유형에 대한 개념화를 넘어서는 보편적 사회질서로서의 시민사회 개념 규정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duality in Rousseau's conception of civil society. Rousseau thinks that civil society embodies a social order in the civilized state to be contrasted with the state of nature, According to him, the state of nature and the civil state represent dichotomous modes of human existence; the former, total isolation, and the latter, mutual relations. Rousseau conceives the two disparate types of civil society; one, the corrupt one, and the other, the legitimate one. This conception, at the first glance, may appear incohernt. His dual conception, however, reflects the duality of modern civil society.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differentiated into bourgeois society and civil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hat transformation, then, mirrored by Rousseau's dual concept of civil society as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modern civil society. Understanding of Rousseau's thought about civil society should begin with the examination of his view of human nature. Rousseau views human nature as the one that can be developed and acquired a posteriori. Therefore, man a t the first stage of mental development, that is, in the state of nature, may be good and natural but not possesed of complete human nature. In the civil state, on the other hand, human perfectibility inherent in human nature provides man with the different two possibility of change either to be perfected or to be degenerated. According to Rousseau, degenerated man is found in the corrupt civil society where bourgeoisie externalizes social inequality and human dependency. In the legitimate civil society, on the contrary, man can achive moral liberty and equlity by forming a political community ruled by the general will. Following Rousseau, citizen in that community can reach the higher level of human perfection. That is the real human achievement and is possible only in civil society. Rousseau's idea of the legitimate civil society, then shows us universal concept of civil society which goes beyond the particular historical concept of modern civil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