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Propofol로 마취유도시 Lidocaine, Fentanyl, Esmolol이 기관내 삽관에 의한 혈압 및 심박수에 미치는영향

Title
Propofol로 마취유도시 Lidocaine, Fentanyl, Esmolol이 기관내 삽관에 의한 혈압 및 심박수에 미치는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Lidocaine, Fentanyl, and Esmolol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hanges owing to endotracheal intubation with propofol induction
Authors
최희령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Propofol마취유도LidocaineFentanylEsmolol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신 마취 유도시 직접 후두경하 기관내 삽관은 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혈압과 심박수의 증가 및 부정맥 등의 심혈관계의 변화를 나타내어 좌심실 부전, 심근 허혈, 뇌출혈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혈역학적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마약제제, 국소마취제, 혈관확장제, 베타 수용체 차단제 등의 사용은 각각 단점 및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아직 만족할만한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기관내 삽관에 의한 심혈관계 반응을 둔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정맥 마취제 propofol은 급격한 심혈관계 반응이 바람직하지 않은 환자에서 thiopental sodium을 대치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propofol로 전신 마취 유도시 lidocaine, fentanyl, esmolol을 투여하여 기관내 삽관에 따른 혈압 및 심박수의 변동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관찰하기로 하였다. 연구대상 환자 80명을 20명씩 네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을 제 1군, lidocaine 1.5㎎/㎏ 투여군을 제 2군, fentanyl 2㎍/㎏ 투여군을 제 3군, 그리고 esmolol 1.0㎎/㎏ 투여군을 제 4군으로하여 마취 유도 전에 시험 약물을 투여하고 propofol 2.5㎎/㎏과 succinylcholine 1.5㎎/㎏을 정주하여 기관내 삽관 후 각각 2 L/분의 산소와 아산화질소 및 1.0 vol%의 isoflurane으로 마취 유지를 하였다. 수술실 도착시의 혈압과 심박수를 기준치로 하고 마취 유도 후 기관내 삽관 전, 삽관 직후, 삽관 후 1, 3, 5, 7, 9, 11분에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였고 저혈압, 서맥, 기관지 수축 등의 부작용 유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기관내 삽관 후 수축기 혈압 및 심박수는 제 3, 4군에서 제 1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propofol 마취 유도시 기관내 삽관에 의한 혈압과 심박수의 변동을 의의있게 둔화시켰다(p<0.05). 그러나 fentanyl 사용시 저혈압에 대한 주의와 지속적 감시가 필요하다.;Laryngoscopy and endotracheal intubation for general anesthesia cause tachycardia and hypertension due to sympathetic stimulation. These changes are not problems in healty adult but greatly exaggerated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or cerebrovascular disease and can lead to myocardial ischemia, cardiac arrhythmia, left ventricular failure, and cerebral hemowhage.0 ordel'to reduce the,=e responses,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but none has been satifactory. A new intravenous anesthetic agent, propofol more reduce cardiovascular response to induction and tracheal intubation than thiopental sod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son of effects of lidocaine, fentanyl, and esmolol on cardiovascular response to tracheal intubation during propofol induction. Eighty ASA physical status 1 and 2 pateints were randomly divided in to 4 groups(n=20). Anesthesia was induced with propofol 2.5mg/kg, and intubation was facilitated with succinylcholine 1.5mg/kg Ⅳ, and then,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50% nitrous oxide in oxygen and 1.0 vol% isoflurane. In addition, patients were received one of the following study drug intravenously prior to induction : Group 1(control, normal saline 5ml), Group 2(lidocaine 1.5mg/kg) : Group 3(fentanyl 2μg/kg), Group 4(esmolol 1.Omg/k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preinduction, after induction, immediately after intubation, and 1, 3, 5, 7, 9, 11 minutes following intubation. In conclusion, lidocaine 1.5mg/kg Ⅳ was ineffective in controlling cardiovascular responses to tracheal intubation. After intubation, the increase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blunt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 in the group 3 and the group 4. After intubation, the increase in heart rate was not suppressed but modified in the group 3 and tachycardia was not prevented in the group 4. Fentanyl 2μg/kg was suppressed blood pressure changes and effective in attenuating tachycardia after intubation with propofol induction but, careful monitoring for hypotension should b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