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학교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Title
학교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Other Titles
(The) analyze the views of teachers about School-Level-Curriculum
Authors
신무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학교수준교육과정초등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수준 교육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학교수준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수준 교육과정 계획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수준 교육과정 실행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수준 교육과정 평가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학교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8개 교육구에서 표집된 총 25개교, 250명의 교사들에게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219명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볼 때 교사들에 의해서 학교수준 교육과정 계획 과정이 적극적이라고 인식된 학교는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공립학교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소극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운영위원회는 절반 이상이 조직하고 있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획수립시엔 대부분의 학교가 교장, 교감, 주임교사만이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교사와 지역사회의 의사는 별로 반영되고 있지 않았으며, 계획수립을 위한 자료수집은 대부분 설문지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획된 학교수준 교육과정은 대체로 실행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교사들이 많았으며, 실행과정에서 학교교육과정 계획서의 활용도 역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공립학교는 사립학교보다 활용도가 낮게 나타나 학교교육과정 계획서의 형식적으로 작성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육과정 계획이 잘 실행되지 않는 것은 계획수립이 형식적이고, 계획수립시 교사들의 참여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교육과정 계획은 보통 학기별로 수정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수준 교육과정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평가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설문지를 통한 형식적인 참여에 그치고 있었다. 교사의 의견과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평가결과를 다시 교사들에게 알리거나 다음계획 수립에 반영하는 것도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교수준에서 교육과정이 계획, 실행, 평가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접 참여하기를 원하였다. 이들은 학교수준 교육과정이 보다 잘 실행되기 위해서는 모든 교사들이 계획과 평가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참여자들 가운데 평교사가 지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s of teachers who should undertake the central role in school-level-curriculum, thus grasping the problems of school-level-curriculum planning, execution, and evaluation followed by the teachers' thoughts concerning the matter. The specific methodology designated for such a study-purpose is th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realities with regard to school-level-curriculum planning? Second, what are the facts concerning the execution of school-level-curriculum ? Third, what are the actual conditions with respect to school-level-curriculum evaluation? Fourth, what are the views of teachers concerning school-level-curriculum ? This study has analyzed answers to 219 returned questionnaires which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25 schools, and 250 teachers from 8 educational districts in Seoul. The results deduced from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from an overall point of view, schools with a positive school-level-curriculum planning system were not many, especially in the case with public schools. The Curriculum Adminstration Commitee(CAC) answered that more than half the schools have no planning system at all, and most of the schools that plan involve only the principal, vice-principal during the process. The opinions of teachers concerning municipal society are hardly reflected, and data-gathering to make plans are done through the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Secondly, it was perceived by many teachers that most of the planned SLC's are executed, and application of SLC plans in the execution process also produced similar results. However, those of public schools were shown to have lesser application rates than those of private schools, thus disclosing the fact that SLC plans were prepared in a superficial manner. Ⅲ execution of SLC plans were shown to be due to procedural planning, and inadequate participation on behalf of the faculty. SLC plans were shown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every semester. Thirdly, although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 faculty took part in the evaluation process, most of them had only gone so far as to take part in it in a procedural. manner. It was answered that the opinions of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the municipal society were hardly ever reflected, and that evaluation results were seldom divulged nor were they reflected in the next planning process. Fourthly, most of the faculty understood the necessity of SLC planning, execution, and evaluation, also wanting direct participation. They think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execution of SLC's, the entire faculty must participate and that among the participants, a normal teacher should assume a leading ro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