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6 Download: 0

유도 분만시 질식 초음파하 자궁 경부의 Weding이 분만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유도 분만시 질식 초음파하 자궁 경부의 Weding이 분만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study on assessment of cervical weding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n predicting duration of induced labor
Authors
康惠升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유도분만질식초음파하자궁경부Weding분만시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유도 분만 시행시 성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가를 예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점이며 이를 예측하기 위해 과거에는 임상의의 내진에 의한 여러 저자들의 scoring system이 이용되어 왔다. 특히 여러 연구자들이 유도 분만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특히 자궁 경관 상태를 연구하여 왔다. 1964년 Bishop, 1966년 Burnett, 1966년 Field, 1967년 Friedman등, 1986년 Dhall등이 각각 scoring system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진찰자의 주관적인 면이 많이 개입되면서 실제와 많은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에 초음파가 도입되면서 자궁 경관의 길이와 형태의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관찰이 가능해짐에 따라 유도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1994년 Ludmir 등에 의해 자궁 경관내로 양막의 돌출과 함께 내자궁구의 10㎜ 이상의 개대와 함께 V형 혹은 U형의 자궁 경관 형태인 wedging이 정의되었고 wedging이 유도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Boozarjomehri 등,1994). 이에 본 연구는 1994년 10월 1일부터 1995년 3철 31일까지 6개월동안 이화여자대학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한 유도 분만의 적응증이 되는 임신 35주에서 43주까지의 임신부 50례를 대상으로 질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 경관 wedging의 유무를 관찰함으로써 wedging의 존재가 유도 분만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입원시 자궁 경관 개대및 자궁 경관 소실 정도는 wedging군이 1.7土0.4㎝, 64±6% 로써 nonwedging군의 1.4±0.4㎝, 58±6% 보다 유의하게 더 진행되어 있었다(p=0.027, p=0.001). 2. 질식 초음파로 측정한 자궁 경관 길이는 wedging군에서 3.0±0.2㎝, nonwedging군에서 3.3±0.3㎝으로 wedging군이 유의하게 더 짧았다 (p=0.0001). 3. 질식 초음파로 측정한 자궁 경관 길이 감소와 내진으로 진찰한 자궁 경관 소실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0.33, p=0.02). 4. 잠복기 시간(latent phase)은 wedging군에서 5.6±3.1시간, nonwedging군에서 8.7±3.9시 간으로 wedging군에서 유의한 단축을 보였다(p=0.0031). 5. 전체 분만 시간은 wedging군에서 10.6土3.2시간, nonwedging군에서 17.4±4.6시간으로 wedging군에서 유의한 단축을 보였다(P=0.000001). 6. 입원시 자궁 경관 개대 정도는 잠복기 시간과(r=0.27, p>0.05), 전제 분만 시간과(r= -0.23, p>0.05) 상관 관계가 없었다. 7. 자궁 경관 소실은 보다 짧은 잠복기 시간과(r=-0.28, P=0.04), 전체 분만 시간과(r= -0.33, p=0.019)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8. 자궁 경관 길이가 길수록 잠복기 시간과(r=0.24, p=0.003), 전체 분만 시간(r=0.52, p=0.0001)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9. 연령, 재태기간, 출산 경력등은 잠복기 시간및 분만 시간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질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 경관의 wedging 존재를 관찰함으로써 wedging의 존재가 잠복기와 전제 분만 시간의 단축과 유의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유도 분만 실시할때 질식 초음파를 이용한 자궁경관 상태의 평가 즉, wedging의 존재 유무의 관찰은 성공적인 유도 분만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outcome during labor induction. For prediction of induction outcome, several scoring systems by digital examination were used. But these scoring systems were not helpful in predicting the response to induction of labor exactly because there were subjective evaluations. Studies have demonstrated differences between digital and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the cervix. High resolution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has demonstrated cervical assessment in pregnancy accurately and reproducibly. A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at the presence of cervical wedging as assess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n candidates for induction of labor are associated with shorter duration of labor induction. The 50 cases of pregnant women between gestation 35 weeks and 43 weeks who were indicated to labor induction and admitted at Ewha Womans Hospital from October 1,1994 to March 31,1995 were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Cervical dilatation and effacement were more progressed in wedge group than nonwedge group(p=0.027,p=0.001). 2.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cervical length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wedge groups than nonwedge group(p=0.0001). 3. The more cervical effacement by digital examination was correlated with a significantly shorter cervical length by transvaginal sonography(r=-0.33, p=0.02). 4. The presence of a wedge, as demonstrat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was correlated with a significantly shorter duration of the latent (5.6±3.1 vs 8.7±3.9 hours, p=0.0031) and total labor (10.6±3.2 vs 17.4±4.6 hours, p=0.00001) than the absence of wedge. 5. Cervical dilatation by digital examinat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uration of either latent or total labor (r=0.27, p>0.05 and r=-0.23, p>0.05). 6. Cervical effacement by digital examin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uration of either latent or total labor (r= -0.28, p=0.04 and r=-0.03, p=0.019). 7. Increasing transvaginal sonographically measured cervical lengt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longer latent phase and total labor duration (r-0.24, p=0.003 and r=0.52, p=0.0001). 8. Age, gestational age and parity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of latent and total labor. In conclusion, by means of transvaginal sonographically defined characteristics of the cervix, we studied the preinduction cervical condition and demonstrated the association of the presence of wedge with significantly shorter induced latent and total labor time. Therefore we can assess that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cervical assessment of wedging may be helpful in planning labor induction for pregnant wom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