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0 Download: 0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와 자기능력지각의 관계

Title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와 자기능력지각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of elemetary school children
Authors
張靜媛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초등학교아동친구관계자기능력지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f elementary students' friendship quality and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show difference by age, sex and friendship type (mutual / unilateral friendship 1 and by showing the relations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and thus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children's desirable friendship and improve self- perception. To achieve above purpose, the questionnaire were set up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 in friendship quality in regard to age, sex, and friendship type? ( mutual / unilateral ) 2. What is the difference in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in respect to age, sex and friendship type ? 3. What is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friendship and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hose of the 3rd and 6th graders of public primary school students, total of 599 children. This was achieved by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 As the testing method, first classified friendship to mutual friends and unilateral ones using the nomination method, then to judge the friendship quality, 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FQQ) designed by Bukowski, Hosa, Newcomb (1987) and modified by Parker and Asher (1989), was used with a little modification by the researcher. As the testing method of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SPPC) was employed which has been designed by Susan Marter (1982)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the investigator was employed. The data analysis was made by using three way ANOVA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iendship quality and the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in terms of age, sex and friendship type. Also,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see the relations between the friendship quality and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In general, friendship quality of the 6th graders than their 3rd counterparts, boys than girls and unilateral friends than mutual friends showed higher quality of friendship. Of course, there were difference following the variables and subvariables. First, by age, 6th graders than 3rd graders showed higher quality in 2 aspects of intimacy, support and helpness but in the rest 3 aspects of common activity, self-esteem enhancement and attachment, trust and conflict resolution, there were no substantial difference but by sex, girls showed higher results in intimacy, support and helpness than boys, but in other 3 parts of common activity, self esteem enhancement and attachment, trust and conflict resolution, no difference were shown. 2. By friendship typ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5 aspects. Mutual friends than unilateral one marked higher in all common activity, self-esteem enhancement and attachment, trust and conflict resolution. However .in common activity, interaction effect could be identified. Boys of the 3rd graders showed lower rates of common activity marks compared to girls, but when the 6th graders showno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x. In account of variables and subvariables, among the two different ages of 3rd graders than 6th showed higher perception by marking a substantial difference in cognitive competence, physical competence and general self-worth but not much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Second, in regard of sex, boys were more perceptive than girls in physical competence and general self-worth but in social and cognitive competence no distinctive variance was shown. Lastly, in friendship types, only in social competence a substantial difference can be noticed which shows that children sharing mutual friendship are more perceptive about their social competence than their unilateral counterparts. Also, in terms of social competence, by sex and age children showed improved social competence perception as they got older whereas girls marked the opposite. 3. The findings of the friendship quality and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proves that among subvariables, a substantial positive correlation can be identified. Especially, respective subvariables of friendship and perception on social competence showed highest positive correlation.;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자기능력지각이 학년, 성별, 친구관계 유형(상호관계/일방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친구관계의 질과 자기능력지각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아동들의 바람직한 친구관계와 자기지각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은 학년, 성별, 친구관계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아동의 자기능력지각은 학년, 성별, 친구관계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자기능력지각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1개 공립 초등학교 3, 6학년 아동 총 599명을 연구대 상으로 하였고 질문지에 의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로는 우선, 지명법을 통해 친구관계를 상호관계와 일방관계로 분류한 후, 친구관계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Bukowski와 Hosa, Newcomb(1987)가 개발하였고 Parker와 Asher(1989)가 수정한 "Friendship Quality Qustionare(FQQ)"를 본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기능력지각 측정도구로는 Susan Harter(1982)가 고안한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SPPC)"을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학년, 성별, 관계유형에 따른 친구관계의 질과 자기능력지각의 차이를 파악하기위해 삼원변량분석을 하였고 친구관계의 질과 자기능력지각과의 관계를 알아보기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친구관계의 질을 전체적으로 보았을때, 3학년보다 6학년이, 남아보다 여아가, 또 일방관계보다는 상호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각의 변인과 하위범주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는데, 첫째, 학년별로는 6학년이 3학년보다 친밀감, 지지 및 원조 두 영역에서 더 높은 질을 나타냈다. 그러나 나머지 세 영역, 공유활동, 자아감 상승 및 애착, 신뢰 및 갈등해소에는 학년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친밀감, 지지 및 원조를 나타냈다. 그리나 나머지 세 영역, 공유활동, 자아감 상승 및 애착, 신뢰 및 갈등해소에는 성별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친구관계 유형간에는 다섯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상호관계가 일방관계보다 더 많은 공유활동, 친밀감, 자아감 상승 및 애착, 지지 및 원조, 신뢰 및 갈등해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유활동 영역에서는 성별과 학년의 상호 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남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공유활동 점수가 크게 높아졌으나 여아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능력지각은 전체적으로 3학년이 6학년보다 높게,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상호관계가 일방관계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변인과 하위영역별로 볼 때, 먼저, 학년간에는 사회적 능력을 제외한 인지적 능력, 신체적 능력, 전반적 자아가치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3학년이 6학년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두번째로 성별에 따라서는 신체적 능력과 전반적 자아가치 영역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고 사회적 능력과 인지적 능력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관계유형간에는 사회적 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상호관계의 아동이 일방관계의 아동보다 자신의 사회적 능력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또 사회적 능력에서는 성별과 학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는데 남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사회적 능력지각이 높아졌으나 여아는 오히려 더 낮아졌다. 3. 친구관계의 질과 자기능력지각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각각의 하위영역들같이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친구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자기능력지각도 높게 하고 있었다. 특히 친구관계의 질 각각의 하위변인과 사회적 능력 지각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종합해 볼 때 아동의 친한 친구와의 관계성의 질은 아동의 자기능력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와 학부모는 아동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친구관계를 맺어갈 수 있도록 지도해 나가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