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윤희-
dc.creator강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1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2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152-
dc.description.abstract단순한 판단에서부터 복잡한 관념을 다루는 사유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사유는 심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심적 이미지를 표상하는 활동이 우리 사유에 있어 필수적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정작 심적 이미지 자체에 대한 연구는 드물게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러한 직관적이고 자명한 듯 보이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기 위해서는 심적 이미지 자체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심적 이미지 자체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적 이미지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적 이미지와 사유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심적 이미지를 통한 사유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심적 이미지에 대한 고찰은, 사유함에 있어 그것을 ‘표상하는지 안 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질문보다는 주체에게 의식되건 의식되지 않건 간에 심적 이미지가 표상된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전제한 상태에서 ‘심적 이미지가 어떻게 표상되는가’에 대한 질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심적 이미지가 회화적pictorial 방식으로 표상되는가 아니면 기술적descriptional 방식으로 표상되는가를 둘러싼 현대의 심적 이미지 논쟁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전통적으로 그리고 일상적으로 ‘마음의 눈에 비친 내적인 그림’으로 모호하게 신비화되어 있던 심적 이미지는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제안하는 심적 이미지는 대립되는 듯 보이는 위의 두 입장으로부터 절충적 관점을 견지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이다. 본고에서 고찰한 결과, 심적 이미지가 회화적으로 표상한다고 말할 때 ‘회화적임’이란 심적 이미지가 그것이 표상하는 대상에 대한 ‘복사물’이라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그보다 심적 이미지는 ‘심적 그리기mental drawing’를 수행함으로써 ‘심적으로 그려진 그림’이라는 점에서 회화적 속성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심적 그리기’가 기술론자들이 주장하는 언어적·기술적 표상 방식과 대립하지 않고 오히려 그러한 언어적 표상 과정을 포함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밝힘으로써, 결국 심적 이미지가 ‘구조적으로 언어적이되 회화적으로 현상되는 표상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주장할 수 있었다. 즉, 기술론적 입장과 회화론적 입장 중 어느 하나를 배격하지 않으면서 모순되지 않게 이들을 절충하여, 더 충분한 설명력을 갖출 수 있게 된 것이다. 심적 이미지를 오로지 기술적이기만 한 것으로 보거나 단지 회화적이기만 한 것으로 본다면 심적 이미지 자체의 특성을 제대로 규명할 수 없으며 나아가 심적 이미지가 사유와 관련하여 제안하는 다양한 가능성들을 결코 온전히 고찰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절충적 관점을 구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렇게 언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회화적으로 표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심적 이미지는, 우리의 폭넓은 사유 활동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자 가장 적절하게 그러한 심성 활동을 뒷받침해줄 수 있다. 인간의 심성 활동은 우리가 ‘언어’라고 간주하는 구체적인 매개에 의한 것보다도 그 외연이 훨씬 넓다. 언어 활동은 인간 심성 활동의 일부분이며 언어가 언어로서의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심성 활동이 존재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포괄적인 심성 활동의 영역은 바로 심적 이미지를 통해서만이 적절히 포착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심적 이미지는 그 구조적 특성상 ‘언어적 사유’의 특성을 포섭하되, 심적 그리기를 통해 현상적으로 나타내는 성격 덕분에 언어적으로 포착되기 어려운 것들을 그려낼 수 있다는 점에서 ‘비언어적 사유’까지도 설명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심적 이미지의 시각화하는 특성은 사유 내용을 시공간적으로 구체화하면서도 그에 관한 전체적인 조망을 가능하게 해주며, 심적 이미지 특유의 불확정성은 개방적이고 창조적인 사유 활동의 원천이다. 이렇게 심적 이미지를 통한 사유는 언어적·비언어적 사유를 포괄하며 구체적이면서도 또한 개방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는 이로부터 분절적인 언어성에 갇히지 않는 자유로운 사유 활동 및 그것을 표현하고 그에 대해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Mental images are necessary for every mental activities. Especially in thinking, representing related mental images is a foundational factor. To say these undeniably and intuitively true facts with conviction, sophisticated investigation on mental images is needed first. Hen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nature of mental images. After specifying their nature, their role in thinking can well be illuminated. The first two parts of this paper deal with the historical approach on mental images in the philosophy. Mental images, traditionally and ordinarily have been postulated as inner pictures that can be seen by inner eyes. By and large, philosophers historically held that mental images are picture-like representations similar to those occurring in perception. Their heavy reliance on introspection and isolating their accounts from any empirical works left their accounts of the nature and the role of mental images without a secure foundation. There have been strong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objections on that pictorial approach and even in the heyday of behaviorism theoretical discussions on mental images have disappeared . After a long period of neglect, there has been a remarkable revival of interest in mental images. In contemporary philosophy and psychology, the main question on mental images is about "how" they represent rather than about whether they represent or not. About the way of mental representation, theories fall into two groups: those that liken mental images to pictures and those that liken them to linguistic descriptions. Advocates of the former -pictorialists-suggest many experimental datum that show the pictorial property of mental images and insist that they are best explained by the hypothesis that our mental images represent in the manner of pictures; of course they didn't mean that mental image is literally just a picture in one's brain. Advocates of the latter-descriptionalist- think that all mental images are structural descriptions and argue that experimental evidences can be accommodated in a non-pictorial, descriptional way. Here, in dealing with this imagery debate between the pictorialism and descriptionalism, 'mental image as a functional picture' and 'resemblance condition' were critically reviewed. And 'image indeterminacy', an outstanding feature of mental images, was also treated more specifically. It was revealed that both pictorial and descriptional theories encounter some difficulties. It is too naive to consider mental images only in a phenomenal aspect, evidences from the conscious imagery experiences without concerning about the linguistic structure of them are very weak. However it is not sound to deny or overlook the mental images phenomenally represented. Therefore, here a 'mixed' view which is totally compatible with the two theories and more sophisticated and plausible explanation on mental images is suggested. According to this hybrid view, mental image is a mental entity phenomenally drawn picture whose underlying mechanism is descriptional. This view clarifies the meaning of the 'pictorial' property of mental image which was vague in the pictorialism by suggesting it not as a copy of its objects but as a 'mentally drawn picture'. And this mental drawing process which seems close to the pictorialist's view never rejects the descriptional-linguistic process, but rather it is based on the descriptional structure. It is true that mental activities, particularly in case of thinking activities, are mainly done through the medium of language. Language itself, however,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extensive realm of mental activities. This can be captured only by mental images, which are suggested here, pictorially phenomenalized mental representation based on the descriptional structure. The descriptional structure of mental images can support linguistic thinking and its phenomenally visualizing property through a mental drawing can capture non-linguistic thinking, id est having mental images of some thoughts which contain unconceptualized contents is not impossible as far as it can be drawn. By using mental images, the contents of thought can be embodied spatiotemporally. Problem-solving process also assumes manipulating mentally imaged array, and overall relations between the objects of thought can be sighted well by using visualized mental images(e.g. diagrams). Furthermore, the indeterminacy of mental images strongly supports thinking activities to be more extensive and creative. From these features of mental images, thinking, expressing and communicating ideas beyond the language also could be possib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ⅲ Ⅰ. 서론 1 Ⅱ. 심적 이미지에 관한 철학사적 고찰 5 Ⅲ. 심적 이미지 논의의 쇠퇴 38 1. 전통적 회화 이론의 쇠퇴 : 내성적 논변의 한계 39 2. 심적 이미지에 대한 행동주의와 라일의 비판 42 Ⅳ. 심적 이미지 논의의 귀환 50 1. ‘심적 이미지’를 둘러싼 모호성 51 (1) 심적 이미지의 표상 여부에 대한 동의 53 (2) 내적 표상으로서의 심적 이미지 54 (3) 심적 이미지와 지각 표상의 관계 55 (3.1) 심적 표상과 지각 표상이 공유하는 특성 56 (3.2) 심적 표상과 지각 표상이 공유하지 않는 특성 57 2. 현대의 심적 이미지 논쟁 60 (1) 기능적 공간으로서의 심적 이미지 63 (2) 심적 이미지의 닮음 조건은 필요한가? 70 (3) ‘그리기’와 ‘기술하기’에 있어서 심적 이미지의 불확정성 73 (3.1) 불확정성과 관련한 기술론자의 회화이론 비판 74 (3.2) 회화론자의 가능한 반박 77 (3.3) <기울어진 비커 실험>의 경우 84 Ⅴ. 심적 이미지와 사유 91 1. 심적 이미지에 대한 절충적 관점의 필요성 91 2. 심적 이미지와 사유와의 관계 96 3. 심적 이미지를 통한 사유의 증진 98 (1) 심적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사유의 구체화 98 (2) 심적 이미지의 불확정성을 통한 사유의 내용적 확장 101 4. 이미지적 사유의 가능성 104 Ⅵ. 결론 109 참고문헌 113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76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심적 이미지에 대한 철학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Mental Images-
dc.creator.othernameKang, Yoonhee-
dc.format.pageiv,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