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梁璿伊-
dc.creator梁璿伊-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8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2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813-
dc.description.abstractA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normal size of the secondary yolk sac and to assess the value of yolk sac measurement in predicting pregnancy outcome in the first trimester. We performed two hundred six consecutive women who underwent endovaginal sonography when their fetuses were less than 10 weeks menstrual age were evalu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relationship between yolk sac diameter and menstrual age was significant in non-bleeding group(r=0.8992, P<0.05). The yolk sac size wa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menstrual age. 2. The relationship between yok sac diameter and menstrual age was not significant in bleeding group(r=0.267649, P>0.05). 3. There is a rapid growth of yolk sac diameter up to 42-44 days menstrual age, after which the curve levels off. 4. The relationship between yolk sac diameter and crown-rump length was significant(r=0.6198, P<0.05). 5. The relationship between yok sac diameter and mean sac diameter was most significant(r=0.92285, P<0.05). 6. The values above and below the 95% confidence limits for the abnormal group are superimposed on the curve for normal yolk sac diameter versus mean sac diameter. 7. For a yolk sac diameter more than two standard deviations the mean, the sensitivity of predicting an abnormal outcome was 15.4%, the specificity was 96.4%, and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50%. 8. For a yolk sac diameter more than two standard deviations below the mean, the sensitivity of predicting an abnormal outcome was 53.8%, the specificity was 96.4%,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77.8%. 9. When these two groups were combined, the sensitivity of predicting an abnormal outcome was 69.2%, the specificity was 92.8%,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69.2%.;최초 1979년에 Mantoni와 Pederson이 복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황낭의 존재를 보고하였으며 그 후 난황낭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 왔다. 초기 임신에서 난황낭의 관찰을 통해 정상 임신의 경우 배아가 보일때 항상 난황낭을 함께 관찰할 수 있으며, 난황낭이 보이지 않을때는 비정상 임신이 의심되며 연이은 태아 손실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Nyberg, 1986; Cadkin, 1984). 그렇지만 복부 초음파를 이용한 난황낭 크기 측정은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비정상적인 임신 예후를 결정하는데 있어 많은 오차가 있으므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질식 초음파가 도입되면서 초기 임신에서 임신낭, 배아 관찰뿐 아니라 난황낭의 자세한 관찰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1993년 6월 1일 부터 1994년 5월 31일까지 1년 동안 이화여자대학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중 임신 6주에서 10주에 이르는 206명을 대상으로 질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임신일수, 두둔부 길이, 평균 임신낭 크기에 따른 난황낭 크기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로부터 임신 제 1 기(first trimester)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하여 위의 항목들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일수와 난황낭 크기사이에는 출혈이 없었던 군에서는 비례적인 관계로 임신일수가 증가할수록 난황낭 크기가 증가하였다(r=0.89992, p<0.05). 2. 임신일수와 난황낭 크기사이에는 출혈이 있었던 군에서는 서로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r=0.267649, p>0.05). 3, 두둔부 길이와 난황낭 크기 사이에는 비례적인 관계로 두둔부 길이가 증가할수록 난황낭 크기가 증가하였다(r=0.6198, p<0.05). 4. 평균 임신낭 크기와 난황낭 크기 사이에는 가장 비례적인 관계로 평균 임신낭 크기가 증가할수록 난황낭 크기가 증가하였다(r=0.92285, p<0.05). 5. 평균 임신낭 크기에 따른 난황낭 크기의 비례 관계에서 벗어난 경우 70%에서 비정상적인 임신으로 나타났다. 6, 평균 임신낭 크기에 따른 난황낭 크기가 평균보다 2 표준편차(2SD) 높은 경우에 비정상 임신을 예측하는 민감 또는15.4%이고 특이도는 96.4%이고 양성 예측도는 50 %였다. 7. 평균 임신낭 크기에 따른 난황낭 크기가 평균보다 2 표준편차 낮은 경우에 비정상 임신을 예측하는 민감도는 53.8 %이고 특이도는 96.4 %이고 양성 예측도는 77.8 %였다. 8. 평균 임신낭 크기에 따룬 난황낭 크기가 평균보다 2 표준편차 높거나 낮은 경우에 비정상 임신을 예측하는 민감도는 69.2 %이고 특이도는 92.8 %이고 양성 예측도는 69.2 %였다. 이상의 결과로 임신 10주 이전에 초음파를 시행하여 난황낭 크기, 모양의 관찰을 통해 난황낭의 이상이 관찰되는 경우 유산등의 비정상적인 임신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Ⅲ. 연구 결과 = 5 Ⅳ. 고찰 = 17 Ⅴ. 결론 = 21 Reference = 23 = Abstract = = 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26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질식초음파-
dc.subject난황낭측정-
dc.subject초기임신-
dc.subject임신예후-
dc.title질식 초음파 검사시 난황낭 측정이 초기 임신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linical study on assessment of yolk sac measurement by endovaginal Ultrasound in predicting pregnancy outcome in the first trimester-
dc.format.pagevii, 2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