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고해상 전산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중두개와 두개저공의 정상변이에 대한 연구

Title
고해상 전산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중두개와 두개저공의 정상변이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kull-Base Foramina of the Middle Cranial Fossa : Assessment of Normal Variation with High-Resolution CT
Authors
김혜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고해상전산단층촬영술중두개두개저공정상변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두개저부의 중두개와에는 중요한 신경과 혈관 구조물이 통과하는 수많은 공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공은 개인간에 차이가 있으며 양측 사이에도 차이가 있어 비정상적인 소견으로 오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상변이를 인지하는 것은 두개저의 복잡구조를 이해할 뿐 아니라 정상과 비정상구조를 감별하는데 중요하다. 저자는 두개저부 질환이 없는 92명의 환자에서 두개저부의 고해상전산단층촬영(HRCT)을 시행하고 두개저공의 정상변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난와공은 5-l0㎜로 크기가 다양했으며, 32예(34.8%)에서 비대칭성을 보였다. 중파열공개존을 포함한 2예에서 접추체연결결합과 융합되어 있었다. 극공과 융합된 경우가 7예(7.6%), 소정맥공과 융합된 경우가 14예(15.2%) 있었고, 부경막정맥이 지나가는 구가 18예(19.6%)에서 후외측으로 관찰되었다. 2. 극공은 크기가 다른 경우가 37예(40.2%)였고, 극공이 없거나 작을때 난와공이 큰 경우가 10예(10.9%), 내측벽이 없는 경우가 8예(8.7%)였다. 난와공과 합쳐진 경우는 7예(7.6%)였고, 극공이 없는 환자도 4예(4.3%)였다. 3. 소정맥공은 41예(44.6%)에서 없었고 33예(35.9%)에서 일측에 존재했으며 18예(19.6%)에서 양측에 있었다. 이 중 이분화된 경우가 3예(3.3%)에서 관찰되었다. 무명공은 모두 12명(13%)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는데 양측에 존재하는 경우가 3예(3.3%) 있었다. HRCT는 미세한 골피질까지 묘사할 수 있으므로 두개저공들의 정상변이를 검사하는데 적당한 방법이며, 두개저공의 다양한 정상변이에 대한 지석은 복잡한 두개저 해부의 이해에 필수적일 뿐 아니라 정상과 비정상의 감별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In the middle cranial fossa, especially in greater wing of sphenoid bone, there are numerous openings or foramina that transmit vital neural and vascular structures. Many normal variants of these foramen have been well described in the early anatomic and radiologic literature. Recognition of these variants is important not only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regional neurovascular anatomy but also for distinguishing normal from potentially abnormal structures. Although anatomic conformation was unavailable, cases of skull base HRCT scans from September 1994 to November 1994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imaging findings and established anatomic knowle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foramen ovale is 5-10mm in diameter. Author observed asymmetry in size in 34.8%. Dificency of the medial bony wall including persistent foramen lacerum medius was seen in 2 cases. Confluence of the foramen ovale and the foramen spinosum was seen in 7.6% and confluence of the foramen ovale and foramen vesalius occured in 15.2%. Posterolateral groove for accesory meningeal artery was observed in 19.6%. 2. There was assymetry in size of foramen spinosum in 40.2%. Small or absent foramen spinosum with larger ipsilateral foramen ovale was observed in 10.9%. Medial bony defect was seen in 8.7% and the confluence between foramen ovale and foramen spinosum was in 7.6%. Absence of the foramen spinosum was in 4 cases. 3. In 44.6%, the foramen of vesalius was absent. We observed that the foramen of vesalius was present unilaterally in 35.9% and bilaterally in 19.6%. 3 of 92 cases(33%) showed the duplicated foramina. Canaliculus innominatus was seen in 13 % and was present bi laterally in 3 cases. In conclusion, HRCT del ineats bony structure clearly and is suited to display the rich spectrum of anatomic variation in the skull base. Recognition of these normal variants will result in a better understanding of skull base neurovascular anatomy and diminish speculation as to their true nature during interpretation of CT examin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