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선행 제왕절개술 후 질식 분만의 성공인자 및 분만 진행 시간에 관한 연구

Title
선행 제왕절개술 후 질식 분만의 성공인자 및 분만 진행 시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valu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the trial of vaginal birth and duration of labor in women with previous cesarean section
Authors
강은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Vaginal birth after previous cesarean section(VBAC) is vaginal delivery of a baby after the mother has previously had a child by cesarean section. With increasing complications along with rising rates of repeat cesarean section, enormous amount of studies about trial of labor after cesarean section have been reported in order to decrease the rate of operation. But, VBAC also has some risks; for example, a risk of repeat cesarean section and a risk of uterine rupture which dramatically increases morbidity of mother and her baby. So VBAC is not yet performed univers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influence the likelihood of successful trial of labor and to evaluate the risks of VBAC. And to evaluate the criteria of dystocia and the safety of VBAC, we compared the time length of active labor and the second stage of labor in women attempting VBAC with nulliparas or multipara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formed based on 61 pregnant women who succeeded VBAC, 37 VBAC failure women, 100 nulliparas and 100 multipar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parity, the number of previous cesarean section, gestational age, estimated fetal body weight by ultrasonography, and neonatal body weight had notable differences between the success and the failure group. In obstetric and historical factors, cervical effacement, dilation, and Bishop score at admission, spontaneous labor and method of induction of labor had differences. Among these factors, estimated fetal body weight by ultrasonography, cervical effacement and augmentation of labor using oxytocin were the mos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VBAC. 2. In VBAC group, the duration of active-phase, second phase and total duration of labor were 313.5, 36.4 and 350.2 minutes, which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nulliparas, but longer than multiparas. In conclusion, the trial of labor after cesarean section will decrease repeat operation, if it is performed under exact understanding of successful prognostic factors and the unique time length of labor. It will contribute to increase advantages for mother and economic benefits.;선행 제왕절개술 후 질식분만 (Vaginal Birth After previous Cesarean section; 이하 VBAC)이란 이전에 제왕절개로 분만한 과거력이 있는 임신부에게 질식분만을 시도하는 것으로, 제왕절개율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분만 및 산욕기 합병증, 그리고 의료비의 상승에 대한 한 방책으로 시도되어져 왔다. 그러나 VBAC은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시도분만 중 반복 제왕절개술을 시행할 수 있다는 면과, 임신부 및 신생아의 이환율을 상당히 올리게 되는 자궁파열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는 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BAC 성공률을 높이고, 무리한 시도분만에 따른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VBAC 성공인자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VBAC 성공군과 실패군에서의 산과적 및 신생아 합병증을 살펴보고, VBAC 군과 미분만부 및 다분만부 간의 분만 진행시간 비교를 통하여 VBAC의 난산 기준 설정 및 안전성에 대한 평가 기준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에서 2004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시행된 총 98례의 VBAC 시도분만 중 자연분만에 성공한 61례를 성공군으로 설정하였고, 자연분만에 실패한 37례를 실패군으로 설정하였다. 분만 진행시간 대조군으로는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단태아, 두위임신이면서 만삭 질식분만을 한 미분만부와 두 번째 질식분만을 한 다분만부 중 각각 100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비교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의무기록 및 분만 기록지를 검토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신부의 임상적 특징 중 분만력, 선행 제왕절개 횟수, 재태 연령, 초음파로 예측한 태아 몸무게, 신생아 몸무게, 그리고 산과적 요인 중에서는 입원 당시의 자궁경부 소실과 개대 정도, Bishop score, 자연 진통 유무 및 프로스타글란딘 혹은 옥시토신의 사용 유무가 VBAC 성공 예측에 의미 있는 인자로 나타났다. 그 중 초음파로 예측한 태아 몸무게와 자궁경부 소실정도 및 옥시토신을 사용하여 진통 증강을 시킨 경우가 VBAC의 성공과 실패에 가장 관련된 인자로 나타났다. 선행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에서는 두 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과 및 신생아 합병증의 경우 VBAC 실패군에서 1례의 자궁파열을 포함하여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분만 진행시간 비교 연구 결과, VBAC 성공군 및 미분만부군에서 분만 1기 활성기는 313.5분 및 330.2분으로 VBAC 성공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짧은 반면, 분만 2기 소요시간은 각각 36.4분 및 48.1분으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였다. VBAC 성공군과 두 번째 다분만부의 분만 진행시간을 비교한 결과 분만 1기 활성기 및 분만 2기 모두 VBAC 성공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결론적으로 VBAC의 성공인자 및 분만 진행의 특성을 바탕으로 VBAC의 기준안을 만들고 이에 따라 VBAC을 실시한다면 불필요한 반복 제왕절개술을 줄이게 되어 임신부 개인 및 사회 경제적으로도 이익을 주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