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3 Download: 0

다낭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다낭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Body mass index as a trigger for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in women with PCOS
Authors
변건우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Background/Aims : Approximately 50 to 70% of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have some degree of insulin resistance, but it is uncertain whether insulin resistance is essential or obesity-relate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besity on insulin resistance in women with PCOS. Methods : One hundred twenty seven women with PCOS and twenty seven regular cycling normal weight women were recruited. Anthropometric measure, 75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measurement of insulin sensitivity by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technique were performed. Reproductive hormone and metabolic profiles were measured at early follicular phase. Results : 1. In lean women with PCOS, fasting glucose, postprandial insulin, triglyceride, total testosterone, LH and FSH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SHBG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 to controls. 2. Systolic BP, diastolic BP, fasting glucose and postprandial glucose in obese PCOS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HDL cholesterol was lower than that in lean PCOS. Fasting insulin, postprandial insuli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obese PCOS were higher than that in lean and over weight PCOS. 3. Insulin mediated glucose uptake (IMGU)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frequency of insulin resistance was increased according to BMI (P <0.05). 4. In lean PCOS, free testosterone in women with their BMI greater than 20 kg/m2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SHBG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 to women with their BMI lesser than 20 kg/m2. Fasting glucose and postprandial insulin in lean PCOS with their BMI greater than 20 kg/m2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SHBG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 to BMI-matched controls. 5. In lean PCOS, postprandial insulin and triglyceride in insulin resista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IMGU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insulin sensitive group. Conclusion : Obesity might be the trigger for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considering that mild increment of BMI lowered insulin sensitivity even in lean women with PCOS.;다낭난소증후군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환자의 약 50~70%에서 인슐린저항성이 있으나 인슐린저항성이 이 질환의 고유한 특징인지 혹은 이들에서 흔히 동반되는 비만과 연관된 요인인지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는 PCOS 환자에서 인슐린감수성과 연관된 요인, 특히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3년 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에서 제시한 기준에 의해 진단된 PCOS 환자 127명과 정상 월경주기를 가지고 정상체중의 건강한 여성 대조군 27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호르몬 검사, 75g 경구당부하검사, 정상혈당 고인슐린 클램프에 의한 인슐린감수성의 측정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상체중 PCOS 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슐린 감수성의 지표인 insulin mediated glucose uptake(IMGU)가 낮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공복혈당과 당부하 2시간 후 인슐린, 중성지방, 총 테스토스테론, 황체 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은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호르몬결합글로블린은 유의하게 낮았다. 2.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 공복혈당 및 당부하 2시간 후 혈당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낮았다. 비만군이 정상체중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공복인슐린, 당부하 2시간 후 인슐린,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높았다. IMGU는 비만군이 정상체중군과 과체중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과체중군도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3. 정상체중 대조군 IMGU의 10백분율에 해당하는 4.1 mg/kg/min 미만을 인슐린저항성으로 정의할 때,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P <0.05). 4. 정상체중 환자군을 BMI 20 kg/m2 미만과 그 이상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중성지방,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BMI 20 kg/m2 이상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성호르몬결합글로블린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환자군을 각각 BMI에 대응하는 대조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BMI 20 kg/m2 이상인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공복혈당, 당부하 2시간 후 인슐린이 유의하게 높았고, 성호르몬결합글로블린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20 kg/m2 미만인 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정상체중 환자군을 인슐린저항성군과 감수성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인슐린저항성 군이 당부하 2시간 후 인슐린과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높았고, IMGU가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정상체중 PCOS 환자에서 경도의 체중 증가도 인슐린 감수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인슐린저항성과 대사 이상이 없는 PCOS 환자도 연령의 증가나 출산에 의해 체중이 증가하면 인슐린저항성과 대사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