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현정-
dc.contributor.author이설아-
dc.creator이설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1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42-
dc.description.abstract예술 작품은 작가가 생각하는 바,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작품을 접하게 되는 관람자는 작품 앞에서 작가의 생각과 감정,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읽어내며 작품과 소통하게 된다. 이러한 작품과 관람자간의 소통을 생각할 때, 관람자가 전시장에 와서 작품을 대하며 소통하는 방법은 소극적인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21세기는 소통의 시대로 작품이 관람자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 소통할 수 있는 연구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소통은 형식적, 의미적인 부분에 있어서 적극적인 자세를 취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적극적인 소통의 형식적인 면은 작품이 보여지는 방법적인 측면으로 작품이 전시되는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전통적인 작품의 전시방법은 전시장이나 갤러리에서 보여지는 것이다. 최근에는 전시장를 벗어나 건축의 한 부분으로 조각이나 설치미술을 전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건물 내부에 회화나 설치미술로 인테리어를 하는 사례도 많다. 적극적인 전시방법은 거리의 전광판이나 보도 블록에 전시하거나, 건축물에 프로젝션을 하는 작품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적극적인 소통에 있어서 의미적인 측면은 작품에 작가가 가지는 생각과 가치관을 적극적인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작품의 구상에서부터 작가가 지향하는 목적과 의도를 가지고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작품의 예로 1980년대 민중운동의 일환인 민중미술 을 들 수 있다. 민중미술은 작가가 특정 이데올로기와 노동운동을 목적으로 하여 그 사상과 이념을 표출한 작품들이다. 사회 참여적인 작품은 작가의 생각만을 담는 소극적인 소통을 넘어서, 관람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작품 감상 이후에도 그에 따른 행동을 유도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의 사회적 참여에 있어서 예술가는 그가 속한 사회와 지역에 동떨어진 것이 아닌, 그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기에 사회적인 문제를 등한시해서는 안된다고 여겨진다. ‘나는 예술가가 조작과 유혹에 대한 책임감을 회복하길 바라며, 예술이 오락산업, 영화, 팝 음악과 광고 산업처럼 정치적 영향을 발휘할 수 있기 바란다’라는 제프쿤즈(Jeff Koons)의 말처럼 예술 작품이 사회적 영향력을 가져야 한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사회 참여적 예술에 대하여 내용적으로는 사회적 이슈를 가지며, 방법적으로는 공공 이익 추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대중적인 전달로 그 정의를 한정한다. 민중예술로 대변되는 일련의 작업과 구분 되어지는 점은 특정 이데올로기가 아닌 탈이념적이며 보편적인 공동체의 공공복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는 사회 참여적인 예술이 노동운동이나 민중예술로만 대변되는 왜곡된 인식에 대해 탈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작품은 소수의 관람자들에게만 접근하는 전시장 안을 벗어나 관람자들의 생활인 공공장소에서 전시하여, 작가의 생각을 전달하며 사회 문제에 대한 동참을 유도한다. 연구자의 작품은 사회 참여적인 내용과 형식을 담아내며, 비디오 아트인 영상으로 표현한다. 비디오 아트는 비디오를 표현 수단으로 하는 영상 예술이다. 영상은 이미지, 사운드의 결합으로 인간의 생각과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도 그 영향력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있다. 이에 연구자의 사회 참여적인 작품은 효과적인 내용 전달을 위해 영상의 영향력을 가진 비디오 아트로 구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 참여적 비디오 아트 작품에 대한 표현 연구이다. 작품의 주제는 북한 인권에 관한 것으로, 관람자들에게 북한 인권 탄압을 알리며 지속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사회 참여적인 목적을 가진다. 사회 참여적인 작품은 역사적으로 많이 등장하였으나, 사회 이슈에 대한 반영과 고발, 비판에서 그쳤던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사회 이슈를 알리고 대안을 제시하여 관람자로 하여금 동참하게 하는 연구자의 작품 연구가 이제까지 사회 참여적인 성격을 띤 다른 작품들과 차별화가 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artist is not separated from the society and region in which he lives, but affected by them, in the social participation of art, it is thought that the social issue must not be ignored. This research has social issue in the contents for social participatory art and restricts its definition to the popular transmission that corresponds to objective of pursuing public interest methodologically. The difference from a series of work represented by folk art is that it is non-ideological instead of specific ideology and pursues public welfare of universal community. This definition may be free from the perverted recognition in which social participatory art is represented only as labor movement or folk art. This research wishes to transmit the idea of author and participate in the public place of viewers without being confined to the exhibition hall where works are exposed to restricted viewers. Containing the social participatory contents and form, the work of researcher expresses by image which is video art. Video art is image art whose expression means are video. The research result of many people shows that image as the combination of image and sound affects the human thought and emotion as well as human behavior. Thus, the social participatory work of the researcher is embodied in video art that the influential power of image for effective transmission of contents. This research is expression research for social participatory video art works. Taking the human right in North Korea as its theme, it has social participatory objective to inform the oppression of human right in North Korea to the viewers and to induce constant behavior. Though there were many social participatory works, most of them were limited to reflection, accusation and criticism of social issue. However,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the researcher’s work resear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works in the character of social participation in that it informs social issue, presents alternative and encourages the viewers to participa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1 논문개요 1 1-2 작품의 목적과 필요성 3 1-3 논문의 범위 5 2. 비디오 아트의 사회 참여적 특징 7 2-1 역사적인 배경 7 2-2 형식적인 측면 9 2-3 매체적인 측면 10 3. 사회 참여적 작가 사례 연구 12 3-1 Jenny Holzer 12 3-2 Barbara Kruger 16 3-3 Shirin Neshat 19 3-4 Klaus vom Bruch 23 4. 작품연구 28 4-1 작품제작배경 28 4-2 작품의 표현 및 의미 33 4-3 작품표현 39 5. 결론 47 참고문헌 48 Abstract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801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 참여적 비디오 아트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expression of social participatory video art-
dc.creator.othernameLee, Sul Ah-
dc.format.pagev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