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Lidocaine과 Fentanyl 전처치가 Rocuronium 정주통에 미치는 영향

Title
Lidocaine과 Fentanyl 전처치가 Rocuronium 정주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Lidocaine or Fentanyl on Withdrawal Movement during Rocuronium Injection
Authors
조화연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travenous injection of rocuronium produces various withdrawal responses in unconscious patient. We compared the efficacy of intravenous fentanyl with intravenous lidocaine as pretreatment for the prevention of withdrawal response after rocuronium injection. We recruited 80 patients aged between 18 and 60 yr, ASA physical status 1 or 2, who were scheduled for elective surgery requiring general anesthesia.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drugs as follows: group Ⅰ: 0.1 ml/㎏ of normal saline as a control, group Ⅱ: 1% lidocaine 0.5 ㎎/㎏, group Ⅲ: 1% lidocaine 1.0 ㎎/㎏, group Ⅳ: fentanyl 1 ㎍/㎏. Twenty seconds after the induction of anesthesia with 5 mg/kg of thiopental sodium, each pretreatment drug was injected. After twenty seconds, rocuronium 0.6 mg/kg was injected. We assesse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withdrawal responses. We recorded BIS value and heart rate at each points (T0: baseline, T1: pretreatment drug injection, T2: 10 seconds after pretreatment drug injection, T3: rocuronium injection, T4: 10 seconds after rocuronium injection, T5: 20 seconds after rocuronium injection). The incidence of withdrawal movement was significantly less in group Ⅱ (30%) (P < 0.05) and Ⅲ (0%) (P < 0.01) than in group Ⅰ (60%). The BIS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in group Ⅳ compared to group Ⅰ, Ⅱ and Ⅲ at T2 (P < 0.05) and groupⅠ at T3 (P < 0.05). Heart rate at T4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Ⅳ compared to group Ⅰ (P < 0.05). Assessment of BIS at withdrawal movem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in severe group compared with none and mild groups at T5 (P < 0.05). In conclusion, pretreatment with 0.5 mg/kg or 1.0 mg/kg of lidocaine effectively reduced the incidence of withdrawal response by rocuronium injection, but 1.0 mg/kg of lidocaine most effectively prevented the withdrawal response without causing significant hemodynamic changes.;Rocuronium bromide는 작용이 신속하게 나타나므로 여러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succinylcholine의 대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정주시 의식이 있는 환자에서는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심지어 의식이 소실된 환자에서도 회피반응이 나타나기도 하여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hiopental sodium으로 마취 유도후 투여된 fentanyl과 두 가지 용량의 lidocaine이 rocuronium 정주 시 발생하는 회피반응의 빈도와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보고, 이때의 심박수 변화와 함께 진정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bispectral index(BIS) 값을 측정해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 분류 1, 2에 속하는 18-60세의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무작위로 20명씩 네 군으로 나누었다. 수술실에 도착한 후 심전도, 맥박 산소 포화도, 비침습적 혈압을 측정하였고, BIS 값을 감시하였다. Thiopental sodium 5 mg/kg을 정주하고, 20초 후 Ⅰ군은 생리식염수 0.1 ml/kg, Ⅱ군은 1% lidocaine 0.5 mg/kg, Ⅲ군은 1% lidocaine 1.0 mg/kg, Ⅳ군은 fentanyl 1 ㎍/㎏을 투여하였고 이로부터 20초 후 rocuronium 0.6 mg/kg을 정주하였다. 이때 환자의 회피반응을 움직임이 없는 경우(none), 손목에만 국한된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mild), rocuronium을 투여한 팔 전체를 움직이는 경우(moderate), 한 팔 이상의 전신적인 움직임이 있는 경우(severe)의 4등급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수술실에 도착하여 어떠한 약물도 투여하기 전(T0), 전처치 약물 투여시(T1), 전처치 약물 투여후 10초(T2), rocuronium 정주시(T3), rocuronium 정주후 10초(T4), 20초(T5)에 BIS 수치와 심박수를 기록하였다. Rocuronium 투여 후의 회피반응의 발생은 Ⅰ군에 비해 Ⅱ군(P <0.05)과 Ⅲ군(P < 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마취유도전과 전처치약물 투여시 BIS 값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2에 Ⅳ군에서 Ⅰ군, Ⅱ군, Ⅲ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 < 0.05), T3에는 Ⅳ군에서 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각 군별 심박수는 T4에서 Ⅳ군이 Ⅱ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회피반응정도에 따른 BIS 값은 T5에서 severe의 반응을 보인 경우에 none과 mild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회피반응정도에 따른 심박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lidocaine 0.5 mg/kg와 lidocaine 1.0 mg/kg의 사전정주는 모두 효과가 있었으나 특히 lidocaine 1.0 mg/kg은 유의한 혈역학적 변화 없이 rocuronium 정주 시 발생하는 회피반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