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회음부 초음파 검사에서 자세 및 배뇨의 영향에 대한 연구

Title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회음부 초음파 검사에서 자세 및 배뇨의 영향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Influence of Posture and Continence on Perineal US in Patients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uthors
이근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서 회음부 초음파 검사에서 환자의 자세와 배뇨에 따른 방광 충만 정도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적절한 자세와 배뇨 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5년 11월에서 2006년 10월까지 회음부 초음파를 시행한 121명의 환자 중 임상적으로 증상 및 요역동학 검사를 통해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된 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주관적 증상 정도에 따른 Stamey classification을 기준으로 Grade I부터 III까지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회음부 초음파는 환자의 자세 (누운 자세와 선 자세)와 방광 충만 정도 (최대로 소변을 참은 후와 배뇨 직후)에 따라 네 가지 조합으로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조합에서 휴식시와 발살바 조작시 정중앙 시상면 영상을 촬영하였다. 회음부 초음파 영상을 통해 방광경 하강과 후요도방광각 및 휴식시와 긴장시의 후요도방광각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두 번의 반복 검사에서 이들 변화가 더 큰 경우를 선택하였다. 카이 제곱 검정 (x2-test)과 대응 표본 티검정 (Paired samples t-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84명 환자의 방광경 하강과 후요도방광각 및 휴식-복압 상승시 후요도방광각 변화는 증상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후요도방광각은 휴식시와 발살바 조작시에 방광 충만 정도와 무관하게 누운 자세보다 선 자세에서 유의하게 컸다. 방광경 하강은 선 자세에서 측정한 경우에만 배뇨 후가 배뇨 전 방광 충만 상태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후요도방광각 변화는 누운 자세에서는 배뇨 전 방광 충만 상태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자세와 배뇨 상태에 따른 연관성은 분명치 않았다. 결론적으로 배뇨 후 선 자세에서 후요도방광각 및 방광경 하강이 유의하게 컸으며 이는 방광경 이동이 더 잘 재현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배뇨 후 선 자세에서 회음부 초음파를 시행함이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방광-요도 이행부 평가에 보다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patient’s posture and the degree of continence on perineal ultrasound (US) in patients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to determine the reliable examination method of perineal US. Total 8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linically and by urodynamic study between November 2005 and October 2006 were include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Stamey classification based on severity of symptom. We made the four combination states on the perineal US examination, according to patient’s postures(supine or erect) and degrees of bladder distension(before urination with holding urination maximally or after urination): 1. supine before urination, 2. supine after urination, 3. erect before urination, 4. erect after urination. Perineal US was performed at each of four combination states and mid-sagittal images were obtained during rest and Valsalva’s maneuvers. We repeated the US examination by the same protocol twice. As perineal US parameters, we calculated a posterior urethro-vesical angle(PUVA) on rest(PUVArest) and on Valsalva’s maneuver(PUVAstrain), difference between PUVArest and PUVAstrain(Dpuva), and a descent of bladder neck(Dbn) on Valsalva’s maneuver, compared with on rest. We analyzed PUVArest, PUVAstrain, Dpuva, and Dbn, using x2-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All perineal US paramet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 to Stamey classification. In erect position, Dbn increased after urination compared with that of before urination. But Db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 supine and in erect positions. Both PUVArest and PUVAstrain were measured larger in erect position than that of supine position, independent of degrees of bladder distension. PUVArest was bigger before urination than that of after urination in supine position. PUVAstrain did not demonstrate chanted with varied degrees of bladder distension. Before urination, Dpuva increased in supine position compared with that of erect postion. In supine position, Dpuva increased before urination compared with that of after urination. In conclusion, PUVA and Dbn showed the significantly larger value in erect position after urination, and it means bladder neck mobility is demonstrated well in erect position after urination. So we suggest that perineal US is suitable to be performed in erect position after urination for evaluation of junction between bladder and urethra in patients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