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수술 전후의 수혈이 대장 및 직장암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Title
수술 전후의 수혈이 대장 및 직장암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erioperative blood transfusion on the prognosis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Authors
崔熙貞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수술전후수혈대장직장암환자예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절제술이 가능한 고형암에서 수술 전후시기에, 수혈이 현재까지 알려진 암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 이외에 새로운 인자로 작용한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후향적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수혈이 암의 전이를 증가시키고 생존율을 감소시킨다고 하였으며, 이는 장기 이식전 수혈이 이식거부 현상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근거로 시도되었고, 수혈이 단핵구 세포 기능에 변화를 가져와 자연 살세포 ( Natural killer cell ) 활동을 억제시킴으로써 일어난다고 하였다. 수혈이 암의 재발이나 사망과의 관련이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지의 여부와 관련이 원인관계인지 혹은 간접적인 관계인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수혈이 암에 미치는 영향이 정립 되어있지 않은 상황에서,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한 고형암중 가장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어 온 대장 및 직장암에서 수술 전후 시기에 수혈을 받은 경우에 비수혈군에 비한 생존율의 저하 여부와 수혈자체가 암의 예후인자가 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1982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대장및 직장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받았던 10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대상 환자는 수혈을 받았던 군 53명과 비수혈군 51명으로 나누어 각 군의 성별, 연령, 원발 병소의 위치, 조직 분화도, 수술전후의 혈색소, 헤마토크리트, 수술방법, 수술시간, 수술후의 보조요법 등을 비교하였고, 양군의 전체 생존율을 먼저 비교한 후, 수혈자체가 다른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는 다른 변수들과 함께 독립적인 예후인자가 될 수 있는 지를 검토하였다. 성별로는 수혈군이 남자 29예 여자 24예이고, 비수혈군은 각각 41예와 10예로 비수혈군에서 남자가 많았고, 수출전 혈색소치는 수혈군이 12.7±1.7(g/dl), 비수혈군이 14.4±4.2(g/dl), 헤마토크리트는 수혈군이 38.2土5.0(%), 비수혈군이 40.7±6.0(%)로 수혈군에서 더 낮았다. 5년 생존율은 수혈군이 46.2%, 비수혈군이 73.8%로 비수혈군에서 생존율이 높았다 ( P<0.05). 연속해서 실시한 병기별 생존율은 AJC/UICC 병기를 Ⅰ,Ⅱ,Ⅲ 로 나누어 본 결과, 병기 Ⅱ,Ⅲ에서 수혈군과 비수혈군의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수혈의 종류 및 양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적혈구와 전혈을 비교하고 각각을 2 파인트 이하와 3 파인트 이상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수혈군과 비수혈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혈이외에 생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이 많기 때문에 다중분석을 하여 종양의 조직 분화도가 가장 큰 상대 위험도 ( Relative risk, RR : 2.16,p=0.03)를 보였지만, 수혈자체가 독립적 예후인자는 되지 못했다 (RR:1.02, p=0.312). 수술 전후의 수혈이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대장및 직장암 환자의 독립적 예후인자는 되지 못했으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무분별한 수혈을 피하고 전혈보다는 성분수혈과 백혈구 세포가 적은 냉동 적혈구를 투여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더 많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Except for the well known prognostic factors of cancer, the studies that perioperative transfusion of surgically resectable cancer could influence the survival of cancer patients were continued to be investigated. The explanation of deleterious effects of transfusion has been supported by the results that the incidences of renal allograft rejection were decreased by pretransplantation transfusion, and transfusion resulted in changes of mononuclear cell function and inhibite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Blood transfusion may adversely affect the prognosis of patients treated surgically for colorectal cancer, although definite proof of this adverse effect has not been settled. The author investigated whether perioperative transfusion can diminish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in transfusion group and transfusion itself can become prognostic factor of cancer by way of retrospective analysis for 104 patients from January, 1982 to December, 1993. The author compared the patients in transfusion group (53 patients) to non-transfusion group (51 patients). The male to female ratio is 29:24 in transfusion group and 41:10 in non-transfusion group. Preoperative hemoglobin is 12.7±1.7(g/dl) in transfusion group, 14.4±4.2(g/dl) in non-transfusion group, the less in transfusion group. Five year survival rate of 46.2% in transfusion group i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rate of 73.8% in non-transfusion group (P<0.05). In subgroup analysis, there is no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y stage, the amount and component of blood transfusion. There are many other variables that can affect survival rate of cancer patient except for transfusion,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tumor differentiation is the greatest relative risk, but transfusion itself is not independent prognostic value. In conclusion, perioperative transfusion and the survival rate did not show direct relationship in these surgically resected colorectal cancer patients. Since the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transfusion group and non-transfusion group is significant, the larger prospective investigations are thought to be needed. And this study suggest that judicious use of blood products, use of frozen washed red blood cells that are totally lacking in white cells, is necess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