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僧肇의 實相과 般若

Title
僧肇의 實相과 般若
Other Titles
(The) Prajna and Nature appearance of Sheng chao
Authors
성기은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승조실상반약철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글의 관심은 현상과 實相에로 모아진다. 이에 따라 먼저 현상을 이 글의 핵심문제로 다루고 있는 이유와 현상 및 현상과 實相의 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의 의의를 Ⅰ에서 밝힌다. 여기에는 이와 함께 이 글의 대강이 실려 있다. 위의 문제는 주로 僧肇의 『 肇論』의 견지에서 논의를 전개하려 한다. 따라서 Ⅱ에서는 僧肇思想의 배과 그 大要를 살펴보고 있다. 먼저 『 肇論』이전의 格義佛敎 등의 중국불과 상황을 고찰한 후, 『肇論』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인도의 中觀思想·中道思想의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 肇論』의 "完本義"에서 나오는 '綠起', '般若', "涅槃"등의 개념을 연구함으로써 그 사상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 본다. Ⅲ에서는 『 肇論』의 '움직임 없는 움직임'을 논하는 '物不遷論을 연구하면서 대상 세계·현상 세계로 접근한다. 여기서는 먼저 '物不遷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본 후 '不遷'을 시간에 적용하여 시간에 대한 고찰이 '不遷'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인다. 다음으로 '不遷'의 관점에서 因果현상에 접근하여, 보이는바 그대로의 세계를 부정하는(無相)근거와 그 의미를 밝힌다. Ⅳ에서는 먼저 마음을 연구하는 수단으로서 '마음(心)'의 적합성을 검토한다. 다음 『肇論』의 '아는 것 없는 앎'을 논한는 "般若無知論 "을 통해 '般若'(인식)라는 현상이 '眞諦', '언어'와 맺고 있는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般若'는 실체성이 부정된 '無知', '綠起的 앎' 이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와 함께 Ⅳ장의 논의는 '앎' 현상이 구체성을 회복하면 '앎'과 '행위'가 분리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대승불교의 菩薩과 六波羅密의 관계를 통해 밝힌다. Ⅴ에서는 『 肇論』연구를 통해 드러나는 '현상' 및 體用相卽으로서의 '현상과 實相' 의 의미를 정리한 후, 현상과 實相이 둘 아닌 상태에서 발생하는 '樂天'의 성격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僧肇思想의 현재적 의의를 밝힌다.;A phenomenon is appearance of direct and concrete world -the world also includes human being and, - to him. Because of this (directness, immediateness) phenomenon, however, human being will become indifferent to a phenomenon and so they ignorant of it. Generally, if a existent form and property of phenomenon were unsufficiently recognized, the phenomenon becomes imperfect thing, so substance is supposed as it's fundamental. It is a superficial knowing of phenomenon that divides world in two, the world of phenomenon and substance. And it makes phenomenon abstract thing with losing nature appearance and concreteness of phenomenon. By the way, 'being abstractness of a phenomenon' causes mstters, because of man conventionaly keeps in contact with and reifies the world. On account of that phenomenon is primary form of existence, if we affirmed phenomenon, the appearance of man and world will be affirmed. But we could not affirm it. the circumstance is reversed. the former, exists only 'this world(此岸)', the latter, exists 'that world(彼岸)' beyond 'this world'. The problem is condensed such as we regard phenomenon as sufficient or not. It is the recovery of concreteness of abstract phenomenon which is And this recovery also reveals man's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position and principle of act in in-world. 「Chao lun(肇論)」, written by Sheng chao(僧肇, 384~414), is taken as a guide to this work. The text exposes Madhyamaka Buddhism(中觀佛敎), which has its origin in Mahayana Buddhism(大乘佛敎). The characteristic of this thought is that criticizes substantialism, and establishes the view that phenomenon - substance, function - essence are 'not the one and not the two(不一不二)'. First, we choose 'movement', 'knowing' as an ordinary phenomenon, second, investigate the nature appearance of this phenomenon. And for that, we deal with "Wu pu-ch'ien lun(物不遷論)" and "Pan-jo wu-chin lun(般若無知論)'', then the former is ontology, the latter is epistemology of Mahayana Buddhism(大乘佛敎). Wu(無), pu(不), the negative experssions act as critique of substantial W'u(物, objection), pan-jo(般若, subjection), and discover phenomenon itself. Commonly, phenomenon itself is called Pratitya-samutpada(綠起), and we can use affirmative predication on it. Then this two moments, objection and subjection, are fundamental to the relation of human and phenomenon. Accorcingly, they provisionaly conclude, the conclusion could be expanded the whole. :"abstractness of phenomenon, namely, a substance is negated, and concreteness recovered, in this state or world, there is not dualistic opposition and essence and function are mutual(體用相卽)" Last, it has to be noted that the view which relation of phenomenon with nature appearance shows this following point : essence and function are mutual(體用相卽), distinctly turned out characteristic of Buddhism, through the conception of Boddhisattva(菩薩) which is a word of knowing and practice are 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