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張秉雨-
dc.creator張秉雨-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1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30-
dc.description.abstract조기진통과 조기 양막파수로 인한 조산은 주산기 이환 및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조산을 방지하는것은 산과의의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감염으로 인해 유발되는 조기진통과 조기 양막파수의 병리학적 기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며 특히 임신조직과 양수내 cytokines의 출현및 그 역할에 관한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 1993딘 8월부터 1994년 3월까지 20개월간 이화대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조기진통 환자 (13명. GroupⅠ)과 조기 양막파수 환자 (26명. GroupⅡ)를 대상으로 하고 정상대조군으로 산전진찰을 위해 외래로 내원한 8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혈청내 IL-6의 생물학적 활성도 검사, CRP점사, 백혈구 수치의 측정 및 태반조직에서 IL-6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Group Ⅰ,Ⅱ의 연령분포, 산과력, 입원시 임신주수, 입원시 자궁경부의 개대 및 소실 정도에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Bishop score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혈청내 CRP 농도가 0.8 mg% 이상일 때를 양성으로 정의할 때 Group I과 GroupⅡ에서 각각 23.1%, 38.5%의 양성률을 보였으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백혈구 수치의 평균값은 Group I이 12,9431±3,440 cells/mm^(3), GroupⅡ가 12,308 土 3,954 cells/mm^(3)으로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백혈구 추치가 15,000 cells/mm^(3) 이상일때 임상적으로 융모양막염이 발생한 경우로 정의 한 바 Group I과 GroupⅡ에서 융모양막염의 발생율은 각각 38.4%, 15.3%를 보여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태반조직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검사는 GroupⅠ,Ⅱ 모두에서 염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탈락막 간질세포에 강한 양성을 보였으며, 일부 융모막 융모와 영양배엽 그리고 염증세포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CRP검사와 백혈구 수치 결과에 따른 반응에서 음성의 결과를 보인 경우에서도 태반조직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강한 양성반응을 보인 경우가 있었다. 5. 혈청내 IL-6의 생물학적 활성도 측정결과 정상 대조군에서 742±503 u/ml, 대상 환자군 (Group I과 GroupⅡ)에서는 6,991±3,773 u/ml의 활성도를 보여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신생아의 체중은 Group I과 Group Ⅱ에서 각각 1.94±0.6kg, 2.63士1.0kg으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 1분 및 5분 Apgar score도 Group I에서 각각 1.6士2.9점, 8.2±3.5점, Group Ⅱ에서 각각 8.4±2.0점과 9.4±1.9점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감염에 의한 임신조직의 염증반응은 임부 혈청내 IL-5의 생물학적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CRP 양성반응과 백혈구 수치 상승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임신조직(태반조직) 자체에도 강한 염증반응의 결과로 인한 IL-6의 과발현 현상을 일으킴을 알수 있다.;The prevention of premature deliveries still remains a major problem in obstetrics. This study was purposed to evaluate total 39 pregnant women with premature labor(13 cases, Group Ⅰ) and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26 cases, Group Ⅱ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or control group, eight normal pregnant women were selected via OP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2 to December, 1992 and from August, 1993 to March, 1994. The author confirmed the IL-6 bioactivity and IL-6 expression on placenta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method in premature labor group and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 Ⅰ and groupⅡ, except in terms of Bishop score. 2. CRP positive rate was 23.1% in group Ⅰ and 38.5% in group Ⅱ.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3. Mean values of WBC count in group Ⅰ and groupⅡ were 12,943±3,440 cells/㎣ respectively,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4. Placental IL-6 expression in premature labor group and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group was similar. It showed stronger positivity on decidual stromal tissue as the inflammatory processes progress more severely. 5. Serum IL-6 bioactivity was in 742±503 u/ml in control group and 6,991±3,773 u/ml in comparative group (groupⅠ groupⅡ). The IL-6 levels of comparativ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6. In terms of birth weight, 1 min and 5 min Apgar score of neonate premature labor and SPRM groups, there were no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1.94±0.6kg, 7.6±2.9 and 8.2±3.5 in group Ⅰ: 2.63±1.0kg, 8.4±2.0 and 9.4±1.9 in group Ⅱ) In conclusion, infection induced preterm labor has been attributed to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nterleukin-6 liberated from gestational tissues in response to bacterial products. In premature labor and SPRM groups, serum IL-6 bioactivity was more markedly elevated than in control group (normal pregnant woman). Strong positive expression of IL-6 in immunohistochemical stain was showed in decidual stromal cells of placent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2 1. 연구 대상 = 2 2. 연구 방법 = 3 Ⅲ. 연구결과 = 7 1. 대상환자의 임상적 특징 = 7 2. CRP 양성률 = 8 3. 백혈구 수치와 양성도 = 9 4. 태반조직의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IL-6의 과발현 양상 = 10 5. 혈청내 IL-6 생물학적 활성도 = 15 6. 신생아의 예후 = 17 Ⅳ. 고찰 = 18 Ⅴ. 결론 = 23 References = 25 Abstract = 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74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기진통-
dc.subject조기양막파수-
dc.subject임부-
dc.subject혈청-
dc.subject태반조직-
dc.subjectInterleukin-6-
dc.title조기진통 및 조기 양막파수 임부의 혈청과 태반조직에서의 Interleukin-6 발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IL-6 Expression in sera and placentas of premature labor and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group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