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宋仁玉-
dc.creator宋仁玉-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1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32-
dc.description.abstract산과학의 발달로 극소체중아의 생존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극소체중아가 신생아 사망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산과의 및 소아과의가 극소체중아의 생존에 관한 정보및 노력이 있어야만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극소체중아의 분만을 결정할때 생존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표로서 극소체중아의 출생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들에 관한 임상경험과 최신의 통계자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저자는 1989년 1월 1일부터 1992년 12월 31일까지 만 4년간에 걸쳐 이화대학병원에서 생존분만된 극소체중아 95명을 대상으로 극소체중아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임상적,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극소체중아의 출생빈도는 1.1%였고 생존율은 44.2%였다. 2. 성별출생빈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여아에서 남아보다 생존율이 더 높았다. 3. 출생시 체중과 제태연령이 증가할수록 생존율이 높았다. 4. 경산부에서 초산부보다 높은 출생빈도를 보였으나 분만횟수에 따른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질식분만보다 제왕절개로 분만한 경우에 생존율이 높았다. 6. 5분 Apgar치가 7 이상인 군에서 생존율이 높았다. 7. 극소체중아의 산과적 원인으로는 조기양막파수가 가장 많았고 원인미상, 다태임신, 임신중독증, 자궁경관무력증의 순이었다. 또한 생존율은 임신중독증에서 90.9%로 가장 높았다. 8. 출산시 조기양막파수가 있는 군과 없는 군 사이에 체중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9. 임신 28주에서 34주에 태어난 극소체중아중에서 산전 당성피질호르몬 치료를 한 군이 치료하지 않은 군보다 호흡곤란중의 발생빈도가 낮았고 생존율도 증가하였다. 10. 신생아 사망원인은 미숙, 호흡곤란증, 원인미상, 선천성기형의 순이었다.;A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survival of 95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ho were delivered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ipital, during 4 years from Jan. 1989 to Dec. 1992.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ere 1.1% of total live birth and survival rate was 44.2%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stribution by sex but survival rate was higher in female than male. 3. The survival rate was higher proportional to birth weigh and gestational age. 4. The distribution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ere higher in multiparity than primiparity but survival rate was not different in two groups. 5. The survival rate was higher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elivered by C-section delivery than by vaginal delivery. 6.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Apgar score 7 more at five minutes. 7. The frequency of etiologic factors of VLBWI wer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multiple pregnancy, preeclampsia or eclampsia and incomplete internal os of cervix in that order. The higher survival rate was preeclampsia and eclampsia. 8. The survival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ither the PROM and non-PROM groups. 9.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as less frequent in glucocorticoid treated gorup from 28 or 34 weeks. 10. The frequency of cause of death was prematurity,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unknown and congenital anomalies in that 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Ⅲ. 연구결과 = 5 Ⅳ. 고찰 = 16 Ⅴ. 결론 = 23 Reference = 25 Abstract = 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59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극소체중아-
dc.subject생존-
dc.subject인자-
dc.subject임상연구-
dc.title극소체중아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임상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linical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Survival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