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6 Download: 0

폐경기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로젠 투여후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

Title
폐경기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로젠 투여후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Biological effect of transdermal estradiol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Authors
申晶現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폐경기 여성경피적에스트로젠생물학적영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ystemic side effects that result from oral administration of estrogens to postmenopausal women may be minimized by use of the transdemal route. We administered transdermal estradiol, 50ug (to 23 postmenopausal women), 100ug (to 20 post menopausal women) cyclically for 3 months to 43 postmenopausal women to study the biological effect. The results were follows : 1. The plasma estradiol and estrone after transdermal estradiol therapy in Group Ⅱ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ut difference of changes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2. The plasma FSH and LH after transdermal estradiol therapy in Group Ⅰ and Group Ⅱ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but difference of changes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3. The change of plasma SHBG and Renin substrate after transdermal estradiol therapy in Group Ⅰ and Group Ⅱ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and difference of changes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4. The changes of plasma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after trancdermal estradiol therapy in Group Ⅰ and Group Ⅱ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but plasma LDL-cholesterols after transdermal estrasiol therapy in both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The difference of changes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5. The changes of urininary calcium, calcuim/creatinine ratio hydroxyproline/creatinine ratio were not statis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p<0.05), and the differnce of changes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These data indicate that transdermal estradiol can elicit many of the desirable actions of estrogen while avoiding the pharmacologic effects of oral estrogens on hepatic proteins.;폐경기란 난포 호르몬의 감소로 일어나는 내분비 장애로 인한 여러 가지증상, 즉 열성 홍조, 비뇨 생식기 위축 및 장기 후유증으로 골다공증과 심혈관 질환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호르몬 대치 요법으로 효과적으로 치료 되는 데 투여 방법으로 경구적 요법과 비경구적 요법을 들 수 있다. 경구적 호르몬 대치요법을 간에서 치료 용량의 70%가량이 대사되고 혈증 치료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투여량이 요구되며 이에 따르는 간 및 위장에 대한 부작용이 있어 근래에는 간을 경유하지 많고 피부를 통해 직접 혈류로 흡입 되어 지속적으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경피적 호르몬 대치 요법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폐경 여성 43례를 대상으로 경피적 에스트로젠 투여 제제인 Estaderm Transdermal Therapeuic System을 사용하여 치료군 Ⅰ에서는 50ug을, 치료군 Ⅱ에서는 100ug을 투여하여 혈청 에스트로젠 (estrone, estradiol), FSH, LH, 간단백질,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renin substrate와 지질, 지단백질, 골밀도를 간접적으로 보기위해 소변의calcium, calcium/creatinine 비, hydroxyproline/creatinine 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혈중 에스트론 치의 변동은 치료군 Ⅰ,Ⅱ에서 각각 34.2±3.42 pg/dl, 34.0±5.2pg/dl로 치료 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0.05)양 군 간에 치료 후 변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혈중 에스트라디올 치의 변동은 치료군 I에서 14.9±1.54pg/dl이고 치료군 Ⅱ에서 15.3土0.89 pg/dl로 치료 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P<0.05) 치료군 Ⅰ,Ⅱ간의 치료 후 변동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2. 혈중 FSH의 변동은 치료군 Ⅰ과 치료군 Ⅱ에서 각각 23.5±4.55mIU/ml, 24.5土3.05mIU/ml, LH의 변동은 치료군 Ⅰ과 치료군 Ⅱ에서 각각 14.5±2.19mIU/ml, 22.0±3.53mIU/ml로 FSH 와 LH 모두 치료 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P<0.05), FSH와 LH 모두 양 군 간에 치료 후 변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3. 혈중 renin substrate 치의 변화는 치료군Ⅰ과 치료군 Ⅱ에서 각각 0.13土0.002ng/dl, 0.1 土0.02ng/dl, sex hormone binding globuline(SHBG) 치의 변화는 2.3±0.35 nM/1, 0.2±0.53 nM/1 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P>0.05) 양 군 강에 치료후 변동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4. 혈중 총 콜레스테롤, triglyceride, 고밀도 지단백 농도의 변화는 치료군 I에서 각각 9.6±1.58 mg/dl, 1.4土0.01 mg/dl, 6.5±0.29 mg/dl, 치료군 Ⅱ에서 1.5±5.20 mg/dl, 24土0.02 mg/dl, 1.0±1.55 mg/dl로 치료 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P>0.05) 저밀도 지단백 농도의 변화는 치료군 Ⅰ과 Ⅱ에서 각각 18.2土16.36 mg/dl, 18.5土0.94 mg/dl 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양 군간의 치료 후 변동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5. 골밀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한 소변 내 칼슘, calcium/creainine비 hydroxyproline/creatinine 비는 양 치료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경피적 에스트라디올 투여법은 경구적 투약법이 필요로 하는 일일 용량보다 적은 량으로 치료 혈중 농도를 유지하며 지속적인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며 간에서의 'first pass effect'을 최소화 시키면서 효과적인 여성 호르몬의 증가 및 이에 따른 심혈 관계 질환의 예방과 골다공의 예방에 적절한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