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9 Download: 0

데리다 해체철학의 논리

Title
데리다 해체철학의 논리
Other Titles
Deconstructive Logic in Derrida's Philosophy
Authors
이규은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데리다해체철학DerridaPhilosoph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두가지이다: 하나는 데리다의 해체적 논리가 서양형이상학의 전통적인 토대론적, 혹은 결정론적 사고를 비판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의 해체적 사고가 갖는 비판적인 힘과 한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왜 해체인가?", "해체는 어떻게 작용하는가?(어떻게 해체하는가?)", 결과적으로 "해체는 무엇을 할 수 있/없는가?" 라는 세가지의 물음을 묻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배경적 이해를 위해서 Ⅰ에서는 해체적 사고의 등장과 관련이 있는 20세기 유럽철학의 세가지 모티브- 반토대주의적 철학, 관계적 사고, 의식철학적 패러다임으로부터 언어철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회가 지적된다. 여기서 필자는 데리다의 해체적 프로그램이 현대 유럽철학의 토대주의적 철학 전통에 대한 비판과 맥을 같이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Ⅱ에서는 그가 토대주의적 철학의 전통을 비판하고 그 전통을 해체해야만 하는 필연성을 주장하게 되는 방식이 논의된다. 여기서 전통적 철학의 해체는 두가지의 모순적인 작업에 관여하는 데, 그것은 서양의 전역사에 걸쳐서 철학이 구성되어온 방식을 상세하게 밝혀냄과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이 구성될 수 없는 이유를 증명하는 것이다. 즉, 한편에서, 해체는 철학의 가능성의 조건을 보여주고, 다른 한편에서는 철학의 불가능성의 조건을 보여준다. 데리다에 의하면, 철학이 가능해왔던 이유는 그것의 활동이 토대론적 논리에 의거했기 때문이고, 철학이 불가능한 이유는 철학은 해체적 논리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토대론적 논리"란 자의 규정을 위해서 우선 자를 타와 구별하고, 그리고 자에 대해 타를 차별함으로써 자의 권위에 의해 타를 자에 종속시키는 논리이다. 그리고, 이 논리를 통해서, 자의 동일성의 세계는 존재자의 토대적 지반이 된다. 이러한 권위적 논리에 포함되는 것은 이분법적 논리와 헤겔의 변증법적 논리다. 그러나, 해체적 논리에 의하면 동일성의 세계는 없다. 해체적 논리에 의해서 드러나는 것은 일자는 항상 그리고 이미 타자의 영향 혹은 보충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는, 다시말하면, 일자의 영역에 항상 타자의 계기가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동일성은 타자성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순수하고 배타적이라고 여겨졌던 일자의 세계는 결정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해체적 논리는 동일성의 세계를 분열시킨다. 이런 관점에서, 토대주의적 논리는 결정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반면 해체의 논리는 일자와 타자간의 결정불가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Ⅲ에서 토대주의적 논리와 해체주의적 논리간의 이러한 차이점이 비교 분석된다. 데리다는, 그가 플라토의 텍스트, 「파이드러스」를 분석할 때, 결정불가성의 논리로서의 이러한 해채적 논리를 적응시키는데, Ⅳ에서는 데리다의 해체적 논리가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서 그가 「파이드러스」를 읽는 방식이 해체적 독법의 한 예로서 논의된다. 데리다의 해체철학은 철학의 한계에 대해 성찰하는 철학이다. 데리다가 강조하는 철학의 한계는 주로 이분법적 논리에 의거한 이성적 언어의 규정성이 갖는 한계이다. 그는 차연, 보충, 파종, 원본적-글, 일반적 텍스트등의 새로운 언어를 통해서, 이성적 담론들이 그것에 근거하고 있으나, 동시에 그것들이 자신의 존립을 위해서 배제하거나 회피할 수 밖에 없는, 이성의 역설적이고 불가피한 타자적 영역을 소개한다. 그가 말하는 철학 혹은 이성의 타자란 형이상학적 담론에서 동일성의 논리로는 모두 소화될 수 없는, 이미 그리고 항상 초과되어 있는 부분들이다. 이성의 타자가 항상 초과적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그것에 대한 지적인 표상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어떠한 이성적 담론도, 그것이 있음/없음, 안/밖, 앞/뒤, 현전/부재등등의 틀안에서 작용하며, 또한 지적인 표상이 그 틀로부터 가능한 한에서, 그 틀자체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없다. 이는 마치 우리가 눈으로 사물들을 인식하지만, 눈자체는 볼 수 없다는 사실과 유비를 갖는다. 토대론적 사고의 해체가 드러내는 것은 전통적 철학의 담론은 자기자신-그가 선험적 기의라고 하는 것을 근거로 하고 있다는 것, 그러나, 자기자신은 자기의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해체철학은 이성적 반성의 가능성의 조건과 동시에 그것의 불가능성의 조건을 드러낸다. 데리다의 해체는 하나의 극단적이고 엄격한 형태로 전개되는 철학의 자기비판적 활동이다 일상생활에서 당연한 것들로 받아들여지는 관계들, 원리들, 개념들의 진리성 및 정당성에 물음을 던지고 그것들을 낯설게 만드는 것이 의심하고 논구하는 이성만이 할 수 있는 작업이고, 그러한 이성적 반성을 넓은 의미의 철학적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면, 해체는 이성적 반성자체의 가능성을 논구의 대상으로 하는 일종의 메타철학이다. 칸트적 인식비판의 전통에 있는 논구적 이성은 해체라는 일종의 철학적 전략을 통해 물음을 자기 자신의 위상에로 던진다. 칸트의 선험철학이 인식의 가능성의 조건을 묻는다면, 데리다의 해채는 바로 그러한 칸트적인 물음을 가능하게 하는 철학적 언어 및 체계의 가능성의 조건을 묻는다; 그에 의해 글은 언어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차연은 현존 및 차이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보충은 근원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부각된다. 그러나, 글, 차연, 보충등은 의식과 인식의 토대로서의 칸트의 선험적 의식과는 달리 어떤 것의 토대가 될 수 없다. 오히려 해채적 사고는 토대 및 근거를 요구하는 이성의 요구자체가 필연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아포리아, 역설, 아이러니들을 드러냄으로써, 그러한 이성의 원칙을 비판하는 사고이다. 데리다에 의하면, 이성에 의한 존재자에 대한 근거지움이 불가능한 이유는 근원이 근원일 수 있기 위해서는 근원적인 것의 타자-비근원적인 것에 의한 보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보충이 근원에 선행한다고 하는 데리다의 주제는 이러한 원본적 보충성에 대한 인식을 촉구하는 것이다 해체적 논리-보충의 논리, 결정불가성의 논리는 근거의 자리는 결정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토대와 근원에 대한 이성의 요구자체를 반성하는 해체가 갖는 비판적 힘은 절대적이고 선험적 토대로 존재자들을 결집하고 그것들간의 권위체계를 수립하려는 형이상학적, 이론적 담론들을 분열시킬 수 있다는 데에 있다. 텍스트의 간섭적 읽기로서 해체는 적어도 그러한 실천적 활동성을 결여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실천적인 관점에서 해체적 전략이 할 수 있는 것은 이성의 원칙에 의해 특권을 부여받아온 우월한 존재자들, 이를테면, 지성, 인간, 어른, 남자, 자본가등의 안전했던 지위들을 그 뿌리에서 전복시키는 일이다. 해체적 논리-보충성의 논리, 차연의 논리, 결정불가성의 논리는 이들의 절대적 지위를 가능하게 했던 이분법적 구별/차별의 논리를 와해시킬 수 있다. 해체적 논리는 지성/감성, 두발 달린 동물/그 이외의 동물, 어른/아이, 백인/유색인, 남자/여자, 자본가/노동자 양자들간의 결정불가능한 원본적 보충 관계 및 상호의존성을 밝혀냄으로써, 양자들간의 구별 및 차별에 의해서 소외당하고 주변화되어왔던 후자들-타자들을 전자들-동일자, 절대자의 영역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해체적 논리의 해방적 기능이 "실제로" 실현가능한가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론화의 불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이론적 종결로부터 자신을 열어놓는 동시에 이론적 발언을 해야하는 해채 전략의 이중적 모습은 실천적 담론으로서의 해체적 담론에 불가피한 딜레마를 유발한다. 파종과 결정불가성은 일원적 논리에 묶여 있던 개별적 차이들을 드러낼 수 있다고 하지만, 그 차이들은, 해체적 논리에 의하면, 결국 결정불가적인 차연이 되어버린다. 해체가 권위주의적 담론을 분열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그것이 권위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다고 하는 타자들은 실제로 어떤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가? 차연이 되어버리는 차이들이 어떠한 실천적 힘을 가질 수 있는가? 데리다는 위에서 해체적 간섭이 담론을 적극적으로 변형시킬수 있다고 했지만, 해체가 그러한 적극적 힘을 갖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해체적 논리자체에 내재해 있다. 말하자면, 해체적 논리는 그것이 비판하는 결정론적 논리에 대한 대안적 논리가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또한 데리다의 해체는 하나의 불가피한 논리적 모순을 안고있다. 현전의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의 프로그램으로서의 해체의 필연성은 "전통적 형이상학의 역사는 존재를 현전으로 결정하는 역사이다" 라는 그의 명제의 타당성에 의존해 있는데, 그가 말하는 해체적 논리는 결정불가성의 논리인 이상 그가 형이상학의 역사를 현전의 형이상학의 역사로서 "결정" 하는 순간 그는 자기모순에 빠진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데리다가 주창하는 해체적 논리는 형이상학의 역사를 현전의 역사로 결정하는 그 자신의 결정론적 사고를 비판할 수밖에 없는데, 형이상학의 역사가 현전의 역사로 규정될 수 없다면 현전의 형이상학 비판으로서 해체가 갖는 의의는 약화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해체적 논리는 이러한 점에서 자기반박적이라는 문제를 갖고 있다.;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One is to understand the way that Derrida's deconstructive logic criticizes traditional foundationalist, or deterministic thinking in western philosophy, and the other i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 of his deconstructive thinking. For this pourpose, the study starts by rais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hy deconstruction?, How to deconstruct?, and What can and cannot deconstruction do?. The first two chapters presents the preliminary consideration. In Chapter Ⅰ, three motives of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relevant to the emergence of deconstruction, are considered: anti-foundationalist philosophy, relation-oriented thinking, and the paradigm shift from the philosophy of conciousness to the philosophy of language. This chapter offers an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which Derrida's deconstructive program can be understood as a continuation of contemporary critique of foundationalist philosophical tradition. Next, chapter Ⅱ traces the way that Derrida criticizes foundationalist philosophical tradition and that he claims the necessity of deconstructing the tradition. Here deconstruction of philosophical tradition involves the double contradictory works which, on the one hand elaborate how philosophy is constituted throughout the entire western history and, on the other hand prove the reason why philosophy cannot be thus constituted. That is to say, deconstruction shows the condition of the impossibility of philosophy as well as the condition of the possibility of philosophy. According to Derrida, philosophy has been possible since its activity was based on foundationalist logic and it is impossible because foundationalist logic cannot escape from the more 'originary" deconstructive logic. Foundationalist logic designates the world of one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t distinguishes the one from the other, sencond, discriminates the one against the other, and finally founds the possibility of the other upon the one by the given authority of one. And the world of identity becomes a founding ground of beings. This kind of authoritative logic includes binary logic and Hegelian dialectic logic. But deconstructive logic claims that there is no world of identity. By deconstructive logic, it is shown that the allegedly pure and exclusive nature of the one cannot be determined since identity presupposes alterity in the sense that the one is already and always affected and supplemented by the other, or that the one has a inevitable substratum of the other in itself.Deconstructive logic disrupts the determinacy of the world of identity.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foundationalist logic is deterministic about oneness. whereas deconstructive logic shows indeterminacy between oneness and othernes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oundationalist logic and deconstructive logic is shorn in chapter Ⅲ. Derrida deploys his deconstructive argument by adopting this logic of the undecidable when he analyzes traditional philosophical texts. In chapter Ⅳ. his deconstructive reading of Plato's text, 「Phaedrus」, is analyzed as an instance of deconstruction of text. Derrida's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reflects the limits of philosophy. The limits of philosophy which he draws, result from determinacy of rational language based on foundationalist logic. He introduces the paradoxical and unerasable area within rationality, upon which rational discourse depends, but, simultaneously, which it has to evade or exclude for the sake of the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of rationality. What he calls the Other of philosophy or reason, is what cannot be exhausted by the logic of identity in philosophical discourse and what always and already exceeds the logic of identity. The impossibility of intelligible representation of the Other of rationality renders it inevitably excessive. As far as a rational discourse operates within frameworks such as being/non being, presence/absence, inside/outside, and so on, and intelligible representation is possible only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s, the discourse cannot reflect upon the frameworks themselves. This impossibility is analogous to eyes seeing themselves, even though we see through them, What the deconstruction of foundationalist thinking reveals, is the fact that traditional philosophical discourses are founded upon themselves-what Derrida calls "transcendental signified", but that self-foundation is impossible Hence, Decosstructive philosophy simultaneously clarifies the conditions of both the possibility and the impossibility of rational discourses. Derrida's deconstruction is a form of philosophical activity which criticizes philosophy itself in an extreme and rigorous way. Provided that only reason can raise questions upon the truthfulness or validity of not-yet-doubted ordinary attitudes toward concepts, relationships, and principles, so that it can defamiliarize them, and so that, in a broad sense, this kind of rational reflection can be rightly considered as philosophical activity, then it cannot be denied that deconstruction is a metaphilosophical work whose subject matter is concerned with questioning the possibility of rational reflection. By deconstructive thinking, discursive reason situated in the Kantian tradition of the critique of reason, directs its inquisitiveness toward questioning its own status. While Kantian transcendental philosophy seeks after the conditions of possibility of knowledge, Derrida's deconstruction inquires into the conditions of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systems and language out of which the very Kantian questions arise. Deconstructive inquiry comes to find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of language in writing, the condition of presence or difference in diffe´rance, and the conditionof origin in supplement. However, "writing", 'diffe´rance", and "supplement" cannot be a certain founding ground of beings unlike Kantian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Rather, deconstructive thinking refutes the principle of reason which demands a foundational basis by unmasking aporias, paradoxes, and ironies immanent in its demands. According to Derrida to found beings upon a certain transcendental object, is logically impossible, for originis to be inevitably supplemented by its Other or non-origin. That is, the supplementarity of non-origin is inevitable because the existence of origin without having non-original substratum in itself, is unthinkable. The Derrida's thesis that supplement precedes origin. urges on us the recognition of this logic of originary supplementarity. Deconstructive logic, logic of the supplementarity or logic of the undecidable, reveals the fact that the place of origin is undecidable. An import of deconstruction which criticizes the philosophy's demand for a foundational origin, lies in the possibility that deconstruction can disrupt the homogeneity of metaphysical or theoretical discourses which arrange beings in a hierarchical order and base them on a certain transcendentally absolute and authoritative groun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for example, deconstructive strategy can overturn hierachical system in which allegedly superior beings(i.e. intelligence, human being, adult, man, capitalist) which are privilged by the principle of reason, are accorded a stable position. Accordingly, deconstructive strategy can destabilize those seemingly-unquestionable hierachies by operating its logic which dismantles sharp disticntions such as intelligence/ sentiment, bi-ped animal/the other animals, adult/child man/woman, capitalist/labourer. and so on. By clarifying the undecidably supplementary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two parties, deconstructive logic can function as an operative force by which the marginalized are to be liberated from the centered.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realize" this liberating function of deconstructive logic. Because the double gestures of deconstructive strategy place deconstruction in a dilemma: on the one side, deconstruction denies any kind of theoretical closure by showing the limit of totalization, but, on the other side, it has to theroize itself to prove the impossibility of theorization It has been argued that logic of dissemination and of the undecidable can serve to expose irreducibly individualized differences among beings which would otherwise be reduced to one being by foundationalist logic. By the operation of deconstructive logic, hierachical discourses would be subverted. However. is it principally possible for the Other to be liberated from the authority of the one to "occupy" a certain position where it can claim its own status? By what exceptional right can differences which are to be diffe´rances have practical power? Here the problem is th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constructive logic itself, are, in fact, undecidable ones -diffe´rance. That is to say, deconstructive interruption is more deconstitutive than constitutive. Then, it should be acknowleged that deconstructive logic cannot be an alternative to foundationalist logic.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from the starting-point Derrida's deconstruction bears an inevitably self-contradictory aspect. Necessity of deconstruction as a critique of metaphysics of presence, depends on the validity of his thesis that "the history of traditional metaphysics is that of the determination of Being as presence". And he refutes deterministic logic by deploying logic of the undecidable. Then, by his own logic, his "determination" of history of metaphysics as that of presence, is to be refuted. Here. the impossibility of determining history of metaphysics as that of presence, would render his motive of deconstrutive program less compelling or persuasive. At this point, deconstructive logic is under a threat of self-refu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