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3 Download: 0

비 알레르기의 임상적 고찰

Title
비 알레르기의 임상적 고찰
Other Titles
(A) CLINICAL STUDY OF NASAL ALLERGY
Authors
서명숙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비 알레르기NASALALLERG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초부터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알레르기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알레르기성 비염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1983년 3월부터 1990년 1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 알레르기 진료실을 방문한 환자중 알레르기성 비염이 의심되어 설문조사와 피부반응검사를 시행한 125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여의 비는 1.1:1이었고 연령별로는 10대와 30대의 연령층이 가장 많았다. 2. 주 증상은 비폐색(52.8%), 수양성 비루(52.0%), 재채기(41.6%)이었고 기침(8.8%), 후비루(8.0%), 비소양감(8.0%)의 순이었다. 3.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은 계절성인 경우가 86명(68.8%)으로 통년성인의 경우 39명(31.2%)보다 많았다. 4. 가족력상 알레르기성 질환이 있는 경우는 64명(51.2%)이었다. 5. 비점막 소견상 정상 64명(51.2%), 창백 57명(45.6%), 자색 4명(3.2%)이었다. 6. 부비동 X-선 소견상 정상 73명(58.4%), 부비동 점막 비후 및 혼탁 52명(41.6%)이었다. 7. 혈중 호산구 증가는 37명(29.6%)이었고 1gE농도가 증가한 경우는 59명(47.2%)이었다. 8. 알레르기성 비염의 기원항원에 대한 피부반응검사 양성률은 대조군에서는 40.0%였으나 조사군에서는 74.4%였고 6종이상의 항원에 양성반응을 나타낸 경우는 49명(39.2%)이었다. 9. 기원항원에 대한 피부반응 검사상 먼지진드기에 양성인 경우가 82명(65.6%)으로 가장 많았고 집먼지에 양성인 경우가 40명 (32.0%), 건초먼지에 양성인 경우가 32명(25.6%)의 순이었다.;Much effort has been executed in the study of allergens which may cause or exacerbate allergic rhinitis. On these day, development of allergology and various studies for allergic rhinitis has been performed. There are various diagnostic procedures for allergic rhinitis, such as anterior rhinoscopic examination, skin test for specific allergen extract and detailed history taking which is most important. Above all things, correct diagnosis is clinically most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guidance of diagnosis and management for allergic rhinitis. 125 cases of allergic rhinitis diagnosed as allergic rhinitis at allergic clinic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ast 7 years from March, 1983 to January, 1990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ale to female ratio was 1.1: 1 and peak age incidence was in the age group 10 to 19 and 30 to 39. 2. Predominant symptoms were nasal obstruction, watery rhinorrhea and sneezing. 3. Sesonal predominance was observed in 68.8% and allergic symptom sustained in 31.2% throughout the year. 4. Family history for other allergic disease was observed in 51.2% of allergic rhinitis. 5. The color of nasal mucosa was normal in 51.2%, pale in 45.6% and congestive in 3.2%. 6 Finding of P.N S. X-ray was normal in 58.4% and abnormal in 41.6%. 7. Eosinophilia in blood was 29.6% and serum IgE level increased in 47.2%. 8. Positive response for allergic skin test was 74.4%. 9. Common positive allergens were house dust mite in 65.6% and house dust in 32.0%.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