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흡입 마취시 Neostigmine과 Pyridostigmine이 심혈관 반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흡입 마취시 Neostigmine과 Pyridostigmine이 심혈관 반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neostigmine and pyridostigmine on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in inhalation anasthesia
Authors
강효석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흡입마취neostigminepyridostigmine심혈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신 흡입마취는 기관내 삽관 목적으로 정맥 마취 유도제와 근이완제를 투여하고 주 마취제로 흡입 마취제와 보조제로 비탈분극성 근이완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흡입 마취제는 과거 150여년간 diethyl ether를 비롯하여 수많은 마취제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이들 마취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주로 halogen화 출입 마취제인 halothane, enflurane과 isoflurane이 세계 각국에서 널리 각광을 받으며 사용되고 있다. halogen과 흡입 마취제로 마취할 경우, 동맥압은 흡입용량에 비례하여 감소되며, 심박동수는 isoflurane, enflurane및 halothane순으로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Eger, 1981, 1984). 마취중 투여되는 비탈분극성 근이완제(d-tubocurarine, pancuronium bromide및 vecuronium bromide)의 작용은 마취가 끝난후에도 그 효능이 잔존할수 있으므로 이를 길항시키기 위하여 anticholinesterase(길항제)를 투여한다. 주로 임상에서 투여하는 anticholinesterase제제로는 neostigmine과 pyridostigmine이 있다 (Randall등, 1955). neostigmine과 pyridostigmine의 부작용은 심박동수 감소, 심근 수축력 감소, 혈압 하강, 위장관 운동 항진및 각종 분비선 증가등이 있으며, 이를 예방할 목적으로 항코린성 제제인 atropine, scopolamine과 glycopyrrolate를 병용하여 투여한다. 저자는 halothane과 enflurane 흡입 마취후에 비탈분극성 근이완제인 pancuronium bromide를 길항하기위해, g1ycopyrrolate와 병용하여 neostigmine투여군과 pyridostigmine투여군간의 심혈관 반응을 비교할 목적으로 심박동수와 수축기및 이완기 혈압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alothane과 enflurane마취시에 심박동수 변화는 4분이후 각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Ⅰ군과 Ⅲ군(neostigmine 투여군)이 Ⅱ군과 Ⅳ군(pyridostigmine 투여군)보다 의의있는 심박동수 감소를 나타냈다. 2. 빈맥은 모든 군에서 6분까지 나타났며, 서맥은 Ⅰ군과 Ⅲ군(neostigmine 투여군)에서 6분에 나타났고 Ⅱ군과 Ⅳ군(pyridostigmine 투여군)은 14분에 나타나서 각각 20분이후까지 지속하였다. 3. 수축기및 이완기 혈압은 시간경과에 따라 일시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각군간에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4. 동일한 길항제 사용시 흡입 마취제(halothane, enflurane) 선택은 심박동수, 수축기및 이완기 혈압 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halothane이나 enflurane 마취중 근이완 길항제로 g1ycopyrrolate와 pyridostigmine의 병용투여가 심혈관반응에 영향이 적을것으로 생각된다.;The modern-day anesthesiologist, in providing patient comfort, safety and optimal surgical conditions, uses a variety of drugs to produce the desired pharmacologic effect termed general anesthesia. The end of the operation, residual neuromuscular blockade may be antagonized by anticholinesterase(edrophonium, neostigmine and pyridostigmine). Neostigmine is probably commonly used antagonist of nondepolarizing neuromuscular blocking agents. But, because of an apparent longer duration of action and lesser muscarinic effects, pyridostigmine has been suggested as possibly superior to neostigmine as an antagonist of nondepolarizing neuromuscular blockade. Accordingly, present study observed the heart rat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changes following equipotent doses of pyridestigmine and neostigmine given with glycopyrrolate in inhalation anesthesiachalothane and enflurane. Eighty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 four groups as follows: Group Ⅰ : halothane, glycopyrrolate + neostigmine Group Ⅱ : halothane, glycopyrrolate + pyridostigmine Group Ⅲ : enflurane, glycopyrrolate + neostigmine Group Ⅳ : enflurane, glycopyrrolate + pyridostigm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halothane and enflurane anesthesia, the changes in heart rate were significant in each group after 4 minutes and especially, the group Ⅰ, Ⅲ(treated neostigmine group) showed more decrease than the group Ⅱ, Ⅳ(treated pyridostigmine group). 2. Tachycardia were observed until 6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ticholinesterase in each group. Bradycardia were appeared at 6 minutes in the group Ⅰ, Ⅲ and at 14 minutes in the group Ⅱ, Ⅳ and, each group showed bradycardia which continued over 20 minutes. 3. Even though the significant decrease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howed transiently with tim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in each group. 4. When the same anticholinesterase was administered,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alothane and enflurane anesthesia. In conclusion, pyridostigmine with glycopyrrolate seens to produce minimal changes in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in halothane and enflurane anesthes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