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에 따른 24시간 및 식후 2시간 뇨중 C-peptide 측정의 유용성

Title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에 따른 24시간 및 식후 2시간 뇨중 C-peptide 측정의 유용성
Other Titles
(THE) USE OF TWENTY-FOUR HOUR AND TWO HOUR URINARY C-PEPTIDE AFTER CONTROL OF BLOOD SUGAR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uthors
金順玉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인슐린당뇨병혈당조절C-peptid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적 혹은 상대적 부족으로 발생되는 질환으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췌장 β세포의 감소에 의한 절대적인 인슐린 부족에서 기인하지만,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과 함께 인슐린 분비능의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췌장 β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을 평가하는데 24시간뇨중 C-peptide를 측정하여 왔다. 저자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서 혈당을 조절한 후에 뇨중 C-peptide 배설량 측정을 통해서 인슐린 분비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식후2시간뇨 C-peptide가 24시간뇨 C-peptide 배설량을 대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자 당뇨병이 없는 정상대조군 8명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환자 16명중 각각 인슐린 비요구군 6명, 인슐린 요구군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24시간뇨중 C-peptide 배설량과 아침식전 배뇨후부터 식후 2시간 동안의 뇨중 C-peptide 배설량을 측정하고, 당뇨병 환자를 일정기간 혈당을 조절한 후에 24시간뇨중 C-peptide 배설량과 식후 2시간뇨중. C-peptide 배설량을 다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 대조군에서 24시간뇨중 C-peptide배설량과 식후 2시간뇨중 C-peptide 배설량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r=0.94, P〈0.001 ) 2. 당뇨병 환자군의 혈당조절 전에 시행한 24시간뇨중 C-peptide 배설량과 식후 2시간뇨중 C-peptide 배설량 사이에는 인슐린 비요구군 및 인슐린 요구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 r = 0.87, P〈 0.05, r = 0.91. P〈0.001 ). 3. 당뇨병 환자군의 혈당조절후 24시간뇨증 C-peptide 배설량과 식후 2시간뇨중 C-peptide 배설량 사이에는 인슐린 비요구군과 요구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 r = 0.94, P〈0.01, r=0.92, P〈0.001 ) 4.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비요구군에서 치료로 혈당이 조절된 후 24시간뇨중 C-peptide 농도와 식후 2시간뇨중 C-peptide 농도는 91.33 ± 26.79 ㎍/gm·Cr와 118.17 ± 23.75㎍/gm·Cr로 치료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 P<0.05). 5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요구군에서 혈당조절후 24시간뇨중 C-peptide농도와 식후 2시간뇨중 C-peptide 농도는 93.51 ± 62.79 ㎍/gm·Cr와 99.80 ± 58.13㎍·Cr로 치료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o observe whether the Insulin secretory capacity improves after control of blood sugar and postprandial two hour urinary C-peptide can represent twenty-four hour urinary C-peptide before and after control of blood sugar in 16 patients with NIDDM com-pared to 8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24 hour and 2 hour urinary C-peptide in normal controls, insulin non-requiring and insulin requiring group of NIDDM with coefficient of 0.94(P < 0.01), 0.87(P < 0.05), 0.91(P < 0.001) respectively and after control of blood sugar, also positive correlation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4(P < 0.01) in insulin non-requiring group and 0.92(P < 0.001) in insulin requiring group. 2) 24 hour urinary C-peptide and 2 hour urinary C-peptide were increased in insulin non-requiring group of NIDDM after control of blood suga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ulin requiring group of NIDDM. The results suggest that control of blood sugar can improve the endogeneous insulin secretory capacity in insulin non-requiring group of NIDDM and measurement of postprandial 2 hour urinary C-peptide seems to be a simple and reliable measure to eva1uate endogeneous insulin secretary capac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