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서 뇨중 C-peptide의 임상적 의의

Title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서 뇨중 C-peptide의 임상적 의의
Other Title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24 HOUR URINARY C-PEPTIDE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uthors
林良禧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인슐린비의존형당뇨병C-peptid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치료는 체중조절등 인슐린 저항성의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나, 혈당조절을 위해 인슐린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인슐린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인슐린 분비 양상을 파악해야 한다. 24시간 뇨의 C-peptide가 인슐린 분비능을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인슐린 사용지표로서의 유용성과 당뇨병의 다른 임상상과의 관계에 대한 관찰은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는 신기능이 정상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인슐린 비요구군과 인슐린 요구군으로 나누어 혈당, 당화혈색소, 혈청 C-peptide. 혈청 인슐린, 24시간 뇨중 C- peptide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연령은 인슐린 비요구군에서 57.10 ± 9.29세, 인슐린 요구군에서 58.36 ± 5.75세로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뇨중 C - peptide와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2. 당뇨병의 유병기간은 인슐린 비요구군은 3.23 ± 2.36년이고, 인슐린 요구군은 5.36±5.53년으로, 인슐린 요구군의 유병기간이 비요구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길었으나, 뇨중 C - peptide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3. 비만지수는 인슐린 비요구군은 21.75 ± 3.12㎏/㎡, 인슐린 요구군은 20.98 ± 2.92㎏/㎡로 양군간에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뇨중 C - peptide와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4. 인슐린 비요구군의 당화혈색소는 11.42 ± 1.97%, 인슐린 요구군의 당화혈색소는 12.31±1.59%로 양군간에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당화혈색소치가 높을수록 뇨중 C - peptide치는 적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5. 공복시 혈당치, 식후 2시간의 혈당치, 공복시 혈청 C - Peptide, 공복시 혈청 인슐린 모두 인슐린 비요구군과 인슐린 요구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뇨중 C - peptide와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6. 24시간 뇨중 C - peptide치는 인슐린 요구군에서 인슐린 비요구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다.;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24 hour urinary C-peptide as an index of insulin treatment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d the relation to the other disease features, 32 patients were studied as insulin required group and insulin non-required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o age, there was no difference in each groups and no correlation with 24 hour urinary C-peptide. 2) Duration of diabete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insulin required group than in insulin non-requir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24 hour urinary C-peptide. 3) Body mass index of each groups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nd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24 hour urinary C-peptide. 4) Glycosylated hemoglob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s and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24 hour urinary C-peptide,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5) As to fasting blood sugar, post-prandial blood sugar, fasting serum C-peptide and fasting serum insulin, there was no difference each groups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24 hour urinary C-peptide. 6) 24 hour urinary C-peptide was significantly lower in insulin required group than in insulin non-required group. It was concluded that 24 hour urinary C-peptide was the useful index of insulin treatment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and was not influenced by other disease feat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