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이상태아 예측을 위한 비수축검사, 수축검사 및 혈청 total estriol치에 관한 연구

Title
이상태아 예측을 위한 비수축검사, 수축검사 및 혈청 total estriol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lue of Nonstress Test, Contraction Stress Test And Maternal Serum Total Estriol Level For The Prediction of Abnormal Fetal Outcome
Authors
弓美卿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이상태아비수축검사혈청estriol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아직 미해결된 과제로 남겨져 있는 태아장애(fetal distress)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비수축검사(nonstress test ), 수축검사(contraction stress test) 및 혈청 total estriol 검사를 적용함으로써 주산기 이환율 및 사망율(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의 감소에 기여코저 하였다. 고위험임부 3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들은 임신성 고혈압, 당뇨병, 연장임신등을 합병한 임부들이였다. 대상임부들에게 각각 비수축검사, 수축검사 및 혈청 total estriol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비수축검사시에 나타나는 비반응형(nonreactive pattern)이나 수축검사시에 나타나는 심박변이(variability )가 결여된 음성형(negative pattern), 또는 양성형(positive pattern)이 나타났을 때는 이상태아(abnormal fetal outcome) 예측율이 각각 82%, 86% 및 100%로 모두 신빙성이 높았다. 2. 모체의 진통전 혈청 total estriol치가 160 ng/㎖ 미만으로 나타났을 경우에는 이상태아 예측율이 비교적 높았으나(88%) 그 반면 160 ng/㎖ , 또는 그 이상으로 나타났을 경우에는 위 음성율(false negative rate)이 42%로 높았다. 따라서 이 때는 비수축검사의 병용이 필요하며, 이로써 이상태아 예측에 대한 신빙도를 보완할 수 있었다(83%). 3. 임신성 고혈압(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을 합병한 임부에 있어서 진통전 혈청 total estriol의 평균치는 정상임부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p<0.05). 그중 특히 자궁내 성장장애(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을 동반한 임신성 고혈압 임부에 있어서는 152.4 ng/㎖로 동반하지않은 단순 임신성 고혈압 임부(236.4 ng/㎖)에 비하여 더 낮은 경향이 있었다.;The precise evaluation of abnormal fetal outcome is still unresolved problem. In this paper, 30 cases of high risk term pregnancies including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with or without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12 cases), diabetes mellitus (2 cases) and others were studied. The abnormal fetal outcome was evaluated by means of nonstress test, contraction stress test and simultaneous measurement of maternal serum total estrio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In the prediction of the abnormal fetal outcome among high risk term pregnancies, the nonreactive pattern of nonstress test, the negative pattern associated with no variability or positive pattern of contraction stress test all appeared to be highly reliable indicators. 2. The high risk pregnancies revealing serum total estriol concentration less than 160ng/ml before labor showed fairly high predictability of abnormal fetal outcome (88 %). However, when the value of serum total estriol concentraion was 160ng/ml or above, the false negative rate was very high (42 %) and therefore, in such cases, we believe the additional nonstress test to be needed for the better prediction of the abnormal fetal outcome (83 %). 3. The mean serum total estriol concentration before labor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hypertensive disorders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pregnancies (P < 0.05). Especially, the mean value in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152.5 ng/ml ± 41.0) tended to be lower in comparison with that of without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236.4 ng/ml ± 36.2).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