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4 Download: 0

임신성 융모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결과에 관한 연구

Title
임신성 융모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결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Authors
梁承禧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임신성융모질환조기진단치료결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data presented are based on the 83 cases of the trophoblastic disease admitted into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during 5 years of period from 1981 to 1985. In this study,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ge, parity, gestational age, antecedent pregnancy, uterine size, treatment, serum β-hCG Level and persistent trophoblastic sequelae were discuss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rophoblastic disease was, one case per 112 deliveries and annually there was a trend of increased incidence. 2. Remission was obtained in 64 case (77.1%), and persistent trophoblastic sequelae developed in 29 cases (22.9%). 3. The peak incidence of trophoblastic disease was in the twenties (71.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persistent trophoblastic sequelae among the maternal age. 4. Sixty five point one percent of trophoblastic disease had parity 0-1, 34.9% of thophoblatic disease had parity above 2. Persistent trophoblastic sequelae was developed in 14.8% in parity 0-1 group, 37.9% in parity above 2 group. The frequency of persistent trophoblastic sequelae increased with parity (p=0.0555). 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persistent trophobkastic sequelae among the maternal age, gestational age, antecedent pregnancy, uterine size, treatment and serum β-hCG level. Best prognosis may be expected by early recognition as well as proper treatmant. In conclusion,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the clinically suspected abnormal pregnancies doting the first trimester was significantly accurate and it was considered to be very valuable;본 연구는 과거 5년간 이화대학병원에서 초음파검사에 의하여 융모질환으로 확진된 입원 환자 총 83예를 대상으로 융모질환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여러 요소 즉 환자의 연령, 경산회수, 임신주수, 최종선행임신, 임상증후, 자궁의 크기, 혈청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치와의 관계 및 치료방법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융모질환 83예를 事後관찰하여 혈청 β-hCG치가 연속 2주이상 변화하지 않거나, 상승하는 경우 또는 轉移의 소견이 나타날 경우를 지속성 융모질환이 속발된 것으로 인정하였으며 경쾌(remission)의 기준은 연속 3주, 즉 3회에 걸쳐서 검출된 혈청 β-hCG치가 5 mlU/ml 또는 그 이하로 하였다. 혈청 β-hCG치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 융모질환의 발생빈도는 1 : 112분만(0.9%)이였다. 2. 융모질환 83예중 경쾌(remission)율은 64예(77.1%), 지속성 융모질환(persistent trophoblastic sequelae) 발생율은 19예(22.9%)였다. 3. 융모질환의 호발연령은 21∼30세로 71.2% 였고, 지속성 융모질환의 발생과 환자 연령과는 통계학적으로 아무런 상관성이 없었다(P=0.6752). 4. 융모질환은 경산회수가 0∼1회인 경우가 54예(65.1%)로 이중 지속성 융모질환의 발생은 8예(14.8%)며, 경산회수가 2회 이상인 경우가 29예(34.9%)로 이중 지속성 융모질환의 발생은 11예(37.9%)로 경산회수가 증가 하는데 따라 지속성 융모질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5. 지속성 융모질환의 발생이 임신주수 12주 이하에서는 23.5%(34예중 8예), 13∼16주 에서는 20.0%(20예중 4예), 16주 이상에서는 24.1%(29예중 7예)였다. 6.지속성 융모질환의 발생은 최종선행임신이 반복융모질환 후에 속발된 경우가 2예(50%)로서 제일 많았고 그외 정상만삭 임신이 6예(31.6%), 유산후가 7예(17.1%), 초임부에서도 4예(21.1%)가 발생 되었다. 7. 융모질환의 임상증후는 이상질출혈이 대부분 이었고(86.7%), 임신오조증(25.3%) 및 하복통(14.5%)등 이었다. 8. 지속성 융모질환의 발생은 무월경 기간에 비해 자궁의 크기가 증대된 군에서 24.3%(37예중 9예)로 자궁의 크기가 같거나 더 작아진 군(21.7%)에서 보다 약간 높았다. 9. 지속성 융모질환의 발생은 소파술만으로 치료한 군에서 14.8%(27예중 4예), 소파술 및 화학요법을 겸행한 군에서 25.6%(43예중 11예), 소파수술후 자궁적출술을 겸행한 군에서는 없었고 자궁적출술만으로 치료한 군에서 40.0%(10예중 4예)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