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詩經》의 女性話者 작품 연구

Title
《詩經》의 女性話者 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emale Narrators' Works in Shi-Jing
Authors
최지원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진
Abstract
Shi-Jing is the oldest anthology of China which collected the poems recited in the territory of Zhou Dynasty, for about 600 years from the end of Shang Dynasty (ca. 1,100 B.C.) till the middle of Spring and Autumn Period (ca. 570 B.C.). There are numerous Yanshi(love poems) in Shi-Jing which sang about various aspects and emotions of women. Hence the anthology plays a critical role in investigating the life, figure, and sentiments of women. The previous approaches to Shi-Jing were made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and many researchers attempted to find the historical relics of the late kings, and the lessons left by the sages. Meanwhile, few of those studies tried to examine the pure feelings of women revealed in the works. In this regard, this thesis recasts a light on the women's life in a deep and multilayered manner, by looking into the way the ego, sentiment, social status, and general life of women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topics of the selected works by female narrators of Guo-Feng and Xiao-Ya in Shi-Jing. Chapter Ⅱ examines the advent and literary implications of the female narrators' works. The works by female narrators,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appeared first in Shi-Jing,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composed approximately 100 years after King Ping, during the end of Western Zhou and Zhou Dynasty, transferred the capital to Luo-yang. The female speakers' works literally described the natural and artless images of the contemporary women.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matters are diverse, ranging from love and marriage between man and woman, duty imposed on women, and grief of the women who were married off to foreign countries, even to patriotism. These female narrators' works in Shi-Jing gave rise to male authors' "poetry of entrustment," i.e., Jituoshi, in the later literature, and paved the way to the advent of female writers. Chapter Ⅲ classifies the female speakers' works in Shi-Jing by topic, due to the female speakers' dispositions. The age of Shi-Jing seems to be the transition period when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was changing into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ased on the clan constitution and feudalism of Zhou Dynasty. Therefore, there appear positive and active female voices and negative and passive voices at the same time in Shi-Jing. The former displays the female figures who were relatively unrestricted in love and marriage, and independent in their own lives. Meanwhile, the latter depicts the women who were passive and submissive, lacking personal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female speakers' works of Shi-Jing, chapter Ⅳ approaches them from the perspectives of phonetics, vocabulary, and phrasal and sentential syntax. First, the phonetics exhibits that the high front vowel /i/, which is called Xi yin, is generally used in rhyme so that female voices can be recognized. Overall, the female narrators' works are felt simple and ingenuous due to the void of rhetorical technics upon vocabulary. In terms of phrasal syntax, the speakers unveil the themes in an obvious way, via questionnaire and antithesis. Besides, it was found out that the "law of phrasal reiteration," called Futazhangfa which is one of the biggest features of Shi-Jing, was originated in women's labor songs. It also influenced other literary works, where the theme was emphasized through the repetition of phrases, or the speaker's feelings were gradually expressed. The authors of female speakers' works made use of these various methods, and they could bring women's sentiments and claims into sharper relief, while endowing the works with refined beauty. Chapter Ⅴ considers the development and literary function of the female speakers' works since Shi-Jing. The female narrators' works in Shi-Jing, which sang women's pure sentiments, take on a new characteristic when in Chu-Ci Qu Yuan entrusted the relation of sovereign and subject to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woman. This served as a momentum to the tendency where male authors exploit a female voice to describe their pitiful plight of not being called upon by the monarch. This phenomenon can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women's pure and honest love and belief is, by far, the most effective medium that can convey poets' heart and thought. The female narrators' works in Shi-Jing reflect on the ancient Chinese women's feelings and life without affectation. In this light, they greatly help to understand the authentic image of the women's life. Considering their impact on the later literature including Chu-Ci,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the female speakers' works in Shi-Jing was the point of departure for the feminine literature of China.;《詩經》은 商말기(B.C 1,100년경)부터 春秋중엽(B.C 570년 전후)까지 약 600여 년간에 걸쳐 周왕조 영토 내에서 불리던 詩歌를 엮은 중국 最古의 詩歌集이다. 《詩經》에는 다양한 여성의 모습과 그녀들의 감정을 노래한 艶歌가 다수 수록되어 있어 先秦시기 여성의 생활 및 여성상․여성의식 등을 고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과거의 《詩經》연구는 유교적 관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詩經》에서 先王의 史蹟과 聖人이 남긴 교훈을 찾아내려고 노력했을 뿐, 작품 속에 드러나 있는 여성의 순수한 감정을 그대로 연구한 경우는 드물었다. 이에 本稿는 《詩經》의 〈國風〉 및 〈小雅〉속에 등장하는 여성화자 작품을 선별하여 여성의 자아, 정서, 당시 사회지위 및 생활상 등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주제별로 살펴봄으로써, 詩經時代 여성의 삶을 다층적으로 심도 있게 재조명해 보았다. 제Ⅱ장에서는 여성화자 작품의 출현과 문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중국문학에서의 여성화자 작품은 《詩經》에서 가장 처음 출현하였는데, 西周 末에서 周 平王이 洛陽으로 東遷한 후 100년 전후에 지어졌으리라 추정된다. 《詩經》의 여성화자 작품들은 當時 여성들의 자연스럽고 솔직한 모습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였다. 남녀 간의 戀愛․結婚 뿐 아니라, 當時 여성으로써 이행해야 할 의무, 타국으로 시집간 여성의 비애, 심지어 愛國心까지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했던 소재의 폭도 넓었다. 이러한 《詩經》의 여성화자 작품은 후세 문학에서 남성작가의 寄託詩가 등장하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여류작가가 출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詩經》의 여성화자 작품을 여성화자의 성향에 따라 주제별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詩經時代는 평등한 兩性관계가 宗法과 봉건에 기초한 周나라의 父系중심의 제도에 의해 종속관계로 변해 가는 과도기로 보인다. 그러므로 《詩經》에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여성화자의 작품과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여성화자의 작품이 함께 나타나 있었다. 前者에는 연애와 혼인에 있어서 비교적 자유롭고, 자신의 삶에서 주체적이었던 여성의 모습이 표현되어 있었고, 後者에는 개성을 잃어버린 소극적이고 순종적인 여성이 묘사되어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詩經》의 여성화자 작품의 수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語音, 語彙, 句法, 章法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語音면에서는 여성의 실제 목소리를 드러내기 위해 押韻字를 細音인 -i音으로 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여성화자 작품은 전체적으로 어휘에 수사를 가하지 않아 간결하면서도 담백한 느낌을 주었다. 句法면에서는 設問式과 排比式을 통해 화자가 드러내고 싶은 주제를 뚜렷하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詩經》작품의 큰 특성인 復沓章法이 여성의 노동요에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른 작품에도 영향을 미쳐 章의 반복을 통해 주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고, 화자의 감정을 점층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여성화자 작품의 작가들은 이와 같은 다양한 수사 방식을 이용하여 작품에 정제된 아름다움을 부여하면서 여성의 감회나 주장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었다. 제Ⅴ장에서는 여성화자 작품의 발전과 문학상의 기능을 알아보았다. 여성의 순수한 정서를 읊었던 《詩經》의 여성화자 작품은 《楚辭》에서 屈原이 남녀 관계에 君臣관계를 기탁하면서 그 성격이 바뀌게 된다. 이를 계기로 여성화자의 작품은 남성작가가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기탁하는 데 주로 쓰이게 되었다. 남성작가가 여성의 어조를 빌어 작품을 쓴 것은 순수하고 거짓됨 없는 여성의 사랑과 신의야말로 시인의 마음을 전달하는 가장 효과적인 매체이기 때문이다. 《詩經》의 여성화자 작품은 고대 중국여성의 인정과 세태를 솔직히 반영하므로 그들의 삶의 참모습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楚辭》를 비롯한 이후 문학에까지 끼친 영향을 생각하면 《詩經》의 여성화자 작품이 중국의 여성문학의 출발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