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한 화상석의 신화적 제재 연구

Title
한 화상석의 신화적 제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ythological Motifs in the Stone Carvings of Han Dynasty
Authors
장현주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서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study mythological motifs among several motifs represented from the stone carvings of Han(漢) Dynasty and to read the conception and thought inherited in this mythological motifs of this period. For these purposes, here borrowed the method of Iconology by Erwin Panofsky to analyze for the research and advanced on comparative study between literary myth and stone carvings. Setting these purposes forth as a premise, in this thesis, the chapter I as an introduction, provides the purpose and the way of study and stipulate the research area and introduces the data used in the study. Also, here examines the trend of the study on the stone carvings of Han Dynasty until nowadays together. Chapter II has the general survey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tone carvings with the distributed range in Han Dynasty and classify various motifs appeared on the stone carvings of Han Dynasty. These stone carvings are carved images on the stone used in building the grave, the indigenous characteristic is the specific art pattern found only in Han Dynasty. With economic prosperity of Han Dynasty and the appearance of the various thought gave rise to a change and a development in the motifs of stone carvings. However, the direct effect on the appearance of stone carvings was resulted from the prevalence of a luxurious funeral(厚葬), stone carvings were developed as a splendid burial accessories of grave to satisfy luxurious trend of a luxurious funeral that days. Stone carvings are discovered from centralized 4 districts in Chinese entire area and these were all the central places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tone carvings was accomplished when all the elements including social, economical & cultural aspects were concentrated. The main material which appears in stone carvings could be classified with approximately 5 themes regarding as the heaven world, a myth and a good omen, a historical story, social life and decoration pattern. In chapter III, among the mythical motifs of the stone carvings of Han Dynasty, Fuxi-Nüwa(伏羲-女媧)myth, Xiwangmu(西王母) myth and Sun-moon myth are treated as main subjects, which are most frequently appeared and significantly mattered. With more progressed approach, here attempted the comparative study to literary myth. Fuxi-Nüwa is often presented as mating form with the basic figure of human-snake. This indicates they are in a conjugal relation on the stone carvings. The meaning of mating feature of Fuxi-Nüwa is as follows; Coincidence of Yin-Yang(陰-陽). On the other hand, it is the indefinite reproduction & extinction. As time goes by, their divinity is gradually weakened, they took the trivial role to complete the immortal world of Xiwangmu. Xiwangmu showed up as a humanized feature in early period. After mid-term of Han period, Dongwanggong(東王公) is presented as the husband of Xiwangmu with the influence of Yin-Yang and Five Phases(五行). All the motifs appeared in Xiwangmu icon followed structure of Yin-Yang and Five Phases. The icon of Xiwangmu, was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fter age and become a front form, which was resulted from the influence of Buddhism. This stands for the powerful ability of Xiwangmu as a goddess. Sun-moon icon is also found everytime, which symbolized the reproduction and circulation through the crossing and sexual intercourse of Yin-Yang.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thesis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literary myth. The main theme of stone carvings is the reproduction and circulation because it belongs to decoration art of grave to pursuit the eternal life after death. Therefore there happens difference between literary myth in the aspects of purpose and the way of expression. The stone carvings celebrate eternal life of the dead man more effectively and clearly with the power of visual icon image than any other literal language. Chapter IV, with the research result from above, discusses the thought of Han Dynasty which penetrates these whole things. Their view for the immortality of the soul extended the grave as a life space for the dead as he led the life in this world. Also the stone grave advanced very rapidly in the period of Eastern Han, which was caused from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 of stone is immortality & eternity. With the development of this stone grave, stone carvings reached its prosperity. The very thing which influenced the whole aspects of life in Han Dynasty was Yin-Yang and Five Phases, so, besides the conjugal relationship of Fuxi-Nüwa and Xiwangmu-Dongwan ggong, we can find every image icon of Xiwangmu and Sun-moon myth material is composed as the way of following the principle of Yin-Yang harmony. However, Yin-Yang and Five Phases originally puts in the patriarch ideology of Confucianism, from the icon of Fuxi-Nüwa, we can read the restraint and the control against the woman. Also with the reason that immotal thought(神仙思想) was widely popular in Han from Zhanguo(戰國) period, the ardent wish for the immortal life of Han's people was developed toward religious belief of Xiwangmu, consequently Xiwangmu was drawn as an unforgettable element for the dead's eternity. As the essence of the art of Han Dynasty, the stone carvings during this period provide basic understanding of ancient China, and it will help further understanding in dynamic and interesting manners. I finalizes its thesis with greater expectation that more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with lively discussions in Korea.;本稿에서는 漢 畵像石에 등장하는 여러 제재 중 神話的 題材를 분석하고, 이러한 신화적 제재에 내재해 있는 漢代人의 意識을 읽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에르빈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의 圖像解釋學의 방법을 원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문헌 신화와 畵像石과의 비교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전제로, 本稿에서는 Ⅰ장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범위를 정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자료를 소개하였다. 아울러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漢 畵像石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漢 畵像石의 성립과 발전 및 그 분포지구에 대한 개관을 하고, 畵像石에 나타난 다양한 제재들을 분류하였다. 畵像石은 墳墓의 축조에 사용된 石材 위에 畵像을 새긴 것으로, 漢代에만 나타는 漢代의 고유한 예술 양식이다. 漢代의 경제적 번영과 다양한 사상의 출현은 畵像石 제재에 변화와 발전을 일으켰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畵像石의 출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바로 厚葬의 성행이며, 畵像石은 당시 厚葬에 대한 사치스러운 풍조에 부응하여 무덤의 화려한 부장품으로 발생되고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畵像石은 중국 전역에 걸쳐 4개의 구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당시 사회, 경제, 문화의 중심지였다. 따라서 畵像石의 성립과 발전은 당시의 모든 사회, 경제, 문화적 요소들이 결집해서 이룩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畵像石에 나타나는 주요 제재로는 天上世界에 관한 것, 神話 및 祥瑞에 관한 것, 歷史故事에 관한 것, 社會生活에 관한 것, 裝飾무늬 의 대략 5가지 제재로 분류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漢 畵像石의 신화적 제재 중에서 가장 출현 빈도수가 많고 중요한 의의를 지닌, 伏羲ㆍ女媧 神話, 西王母 神話 그리고 日月 神話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문헌 신화와의 비교연구를 시도하였다. 伏羲와 女媧는 人首蛇身의 형태를 기본형으로 하여 交尾像이 많이 출현하고, 이것은 이들이 畵像石 상에서 그들이 配偶神의 관계임을 말한다. 伏羲ㆍ女媧의 交尾圖像은 陰陽의 相合과 끊임없이 재생과 소멸의 반복을 나타내며, 후대로 갈수록 이들의 神格은 점차 약화되어, 西王母의 不死의 세계를 완성하는 데에 부수적인 神으로 畵像石 상에 등장하게 된다. 西王母는 畵像石에 이미 인간화된 모습으로 나타나고, 東漢 中期 이후에는 東王公이 西王母의 配偶神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는 陰陽五行說의 영향으로, 西王母 圖像에 등장하는 제재들은 모두 陰陽五行說에 따른 구성을 하고 있다. 西王母 圖像의 배치는, 후대로 갈수록 화면의 正中央에 놓이고 正面 형상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佛敎의 영향으로 당시 西王母의 강력한 神力을 말해준다. 日月 圖像은 畵像石墓에서 항상 발견되며, 이것은 天上世界의 상징이자 陰陽의 交差와 交合을 통한 再生과 循環의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문헌 신화와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다. 畵像石은 長生不死의 바람과 死後世界에서의 永遠을 추구하는 墳墓의 장식성 예술이기 때문에, 再生과 循環을 주제 의식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따라서 문헌 신화와 목적 및 표현 방법에서 차이를 지니며, 그것은 문자화된 언어보다 훨씬 유효하고 확실하게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시각적 이미지의 힘을 빌어, 死者의 死後세계에서의 不死와 安寧을 기원한 것이다. Ⅳ장에서는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들 신화적 제재를 관통하는 漢代의 思想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漢代人들의 靈魂不滅의 來世觀은 무덤을 死者가 生前의 생활을 그대로 연장하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또한 東漢代에 이르러 石墓가 급속히 발전하게 되는데, 이것은 돌이 가지는 不死와 永遠이라는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러한 石墓의 발전과 함께 畵像石도 전성기를 이루게 된다. 漢代의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친 思想은 바로 陰陽五行說이다. 陰陽五行說은 畵像石 상에서 伏羲・女媧와 西王母・東王公의 配偶神의 관계를 형성하는 한편, 西王母 圖像 및 日月 神話의 제재들은 모두 陰陽 조화의 규칙을 따르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陰陽五行說은 본래 儒敎의 家父長的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 사상으로, 伏羲ㆍ女媧 圖像을 통해서, 여성에 대한 견제와 제어를 볼 수 있었다. 또한 戰國時代부터 이어진 神仙思想이 漢代에 널리 유행하여, 不死를 향한 漢代 사람들의 열망은 西王母 信仰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그 결과 畵像石墓에서 西王母는 死者의 升仙을 위한 하나의 요소로서 반드시 그려지게 되었다. 漢代 예술의 精髓라고 할 수 있는 漢 畵像石은, 고대 중국의 사상을 이해하는데 기초를 제공해 주는 한편, 중국문학에 대해 보다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이해를 도울 것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이 방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면서 論考를 맺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