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3 Download: 0

선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에서 소파술 또는 Er:YAG 레이저 박리 단독 요법과 자기유래 배양피부 이식 병용요법의 비교

Title
선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에서 소파술 또는 Er:YAG 레이저 박리 단독 요법과 자기유래 배양피부 이식 병용요법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ative treatment of giant congenital melanocytic nevi with curettage or Er : YAG laser ablation alone versus with cultured epithelial autografts
Authors
김명주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광
Abstract
선천성 멜라닌 세포성 모반은 출생 시부터 존재하는 표피와 진피의 멜라닌세포들로 구성된 색소성 질환이다. 모반은 크기에 따라 소형은 직경 1.5 cm 미만이며, 중형은 1.5 cm 부터 20 cm 미만이고, 20 cm 이상 되는 것은 거대모반이라 한다. 거대모반에서는 피부의 악성흑색종이 속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알려져 있으며, 크기가 작은 모반에서는 피부의 악성흑색종과의 관련성은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미용적인 측면에서 치료가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치료법으로는 완전 절제, 소파술과 더마톰을 이용한 상층부 부분 절제, 냉동외과술 및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멜라닌 세포성 모반의 여러 치료법 중 소파술 이나 Er:YAG 레이저로 박리한 단독방법과 이와 함께 자기유래 배양피부(HolodermⓇ)를 이식한 병행방법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원에 내원한 선천성 멜라닌 세포성 모반 환자 중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소파술 이나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단독 박리를 시행한 환자(non-CEA 군)와, 2002년 이후 소파술 이나 Er: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모반 세포를 제거한 후 자기유래 배양피부를 이식한 환자(CEA 군)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 16주의 회복정도, 모반의 색깔변화, 흉터조직의 생성, 기타 부작용, 환자 및 의사 만족도 등을 각각 후향적,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두 군에서 모반색이 현저히 옅어졌으나, 특히 자가피부 배양세포를 이식한 군에서 수술 후 색소 침착, 흉터조직 생성, 육아 조직 형성, 홍반 정도, 피부결 변화 및 감염 발생률에 있어 상당한 잇점을 보였으며, 창상회복 속도도 더 빠르고(p<0.05), 수술 후(16주) 환자와 의사의 만족도에 있어서도 CEA 군에서 더 높았다. 이상으로 소파술 이나 Er:YAG 레이저 박리 단독 방법 보다 자기유래 배양피부 이식을 병행하는 방법이 선천성 모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며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된다.;Background : Treatment options for congenital melanocytic nevi (CMN) include complete surgical excision, dermabrasion, curettage, and laser therapy. Fresh cultured epithelial autograft (CEA) after curettage or erbium:yttrium-aluminum-garnet (Er:YAG) ablation presents a novel option in the management of large sized or giant CM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 of CEA after curettage or Er:YAG ablation of CMN and to compare the safety, efficacy, and side-effect profile of CEA with the non-CEA group. Methods : Ten patients with CMN were treated with curettage(one patient), Er:YAG ablation(four patients) or both(five patients) followed by CEA and 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curettage(two patients), Er:YAG ablation(one patient) or both(five patients) without CEA. All 18 patients were evaluated at week 16 after the operation with respect to pigmentation, erythema, hypertrophic scarring, textural change,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infection, and healing time. Global Assessment Scale scores were graded before and 16 weeks after the operation by physicians and patients. Results : Reduced pigmentation in the treated areas was seen in both groups, but the time to complete healing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CEA than in the non-CEA group(p < 0.05). There was less hypertrophic scar formation,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and other side effects in the CEA group. Conclusion : In view of the favorable outcome of CEA combined with curettage or Er:YAG laser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giant CMN, CEA is a safe and effective novel treatment adjunct that accelerates healing with fewer side eff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