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초등교사가 인식한 단위학교별 질 관리 정도와 학부모 만족도와의 관계

Title
초등교사가 인식한 단위학교별 질 관리 정도와 학부모 만족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Management of School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uthors
윤정미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과 학교 경영에서의 학부모 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현 교육환경에 대비하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질 향상을 위한 질 관리와 학부모의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학부모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질 관리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가 인식한 서울시 단위학교별 질 관리와 그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7개의 질 관리 요인 중 학부모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질 관리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질 관리 하위 요인과 학부모 만족도 요인을 추출하였다. 질 관리 요인은 목표 설정 및 정보공유, 지속적 개선, 교사의 전문성, 총체적 참여, 수요자 기대, 보상 및 동기부여, 관리자의 리더십 등 7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학부모 만족도 영역은 교육시설 및 복지, 교육과정, 교육 행․재정, 교사-학부모 관계 등 4개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각 하위요인들을 가지고 교사용 설문지는 김용석(2003)의 총체적 질 관리 하위요인이 학교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의 사용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학부모용 설문지는 유주선(2003)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교육청별로 총 13개 초등학교의 교사와 학부모들로 각각 235명으로 교사에게는 그들이 근무하는 학교에 대해 질 관리 설문을 실시하였고, 학부모들에게는 학교 경영 영역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설문하였다. 13개의 학교의 특성으로는 학교규모와 설립유형을 살펴보았다. 규모는 학급을 중심으로 24학급 이하의 소규모 학교와 25학급이상 42학급이하의 중간규모의 학교 그리고 43학급 이상의 대규모 학교로 구분하였고 설립유형은 사립과 공립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학부모의 만족도는 학교 경영 영역을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그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학교별 질 관리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하였고 학부모에 영향을 주는 질 관리 하위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개의 학교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위학교별 질 관리와 학부모 만족도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가 0.8~0.9 사이로 통계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교 특성인 설립유형과 학교 규모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교사들이 인식한 질 관리 점수가 가장 높은 학교가 학부모 만족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둘째, 학부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질 관리 요인을 확인하기위해 독립변수로서 질 관리의 하위요인을 목표 설정 및 정보공유, 지속적인개선, 교사의 전문성, 관리자의 리더십, 수요자의 기대, 보상 및 동기부여, 총체적 참여로 채택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학교는 수요자의 기대와 지속적인 개선, 보상 및 동기 부여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의 질 관리는 학교의 규모나 설립유형과 같은 학교 특성에 상관없이 학부모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학교 경영에서 모든 구성원들의 참여, 특히 학부모 참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금의 교육환경에 대비하여 학교는 학부모의 참여의 전제조건이 되는 학부모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의 질적 향상을 이루어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그 방법으로는 평가제를 도입하여 학교교육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로서 사용하거나 교사들 간의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개선 방법에 대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멘토링 제도, 다른 학교와의 질 관리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벤치마킹, 또한 질 개선에 헌신적으로 참여하는 교사에 대한 보상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학교장은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교 교육의 질 관리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질 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겠다. 둘째, 13개의 학교별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질 관리의 하위요인은 수요자 기대, 지속적인 개선, 보상 및 동기부여 요인 등 세 가지로 요약을 할 수 있다. 이는 수요자 기대, 지속적인 개선, 보상 및 동기부여가 학부모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적합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수요자의 기대와 지속적인 개선 요인은 10개의 학교에서 학부모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가 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 학부모 만족도를 높기 위해 질 관리를 시행하고자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인이 바로 수요자 기대와 지속적인 교육의 질 개선이라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질 관리와 학부모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학부모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질 관리 요인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첫째, 본 연구의 학교 경영의 질 관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우리나라 학교 조직에 적용된 질 관리 이론 및 적용사례를 찾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학교의 질 관 리에 관심이 모여진 교육환경에 보다 많은 학교 조직에서의 질 관리 이론과 모형 개발을 개발하고 정립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 특성에 따른 학교 조직의 질 관리에 제시할 수 있는 질적 지수(quality index)를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학교 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질 관리에 대해 양적연구를 추진하였으나, 학생의 성취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 내에서의 질 관리와 학생 만족에 대해서 인터뷰와 참여관찰과 같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연구 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학교 교육의 질 관리는 학교 조직 문화에 따라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이에 학교 조직문화에 따라 학교 교육의 질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교사와 학부모를 설문 대상으로 조사하여 교사가 인식한 질 관리 정도와 학부모가 느끼는 만족도와의 관계연구로 학부모의 설문지 조사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교사와 학부모 설문지를 조사하는 과정에 있어 학교 조직의 질 관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교장을 비롯한 교사에게 학교 교육의 질 관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극적인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는 13개의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에서만 실시하는 등 표집에 제한이 있었기에 다른 학교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조사 대상자를 확대하여 실시하는 추후의 연구가 필요하다.;To prepare the change of education environment that it prevails the interest in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this study want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Management of School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ries to find out what factor of quality management is affecting the parent satisfaction.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Quality Management of School and Satisfaction of Parents? 2. What factor of quality management has the effects on the parent satisfaction? To answer further the above questions, this report extracts the sub-factor of the quality management and the parent satisfaction factor. That is 7 subordinate factors of setting the objectives and sharing the information, continuous enhancement, general participation level, expertise of teacher, demander expectation, compensation and motivation, manager leadership, compensation and motivation. This is generated into the 4 factors of the education facility, welfare, process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finance, parent-teacher relationship. With this sub-factors, to meet the objective this study, the survey template for teachers restructures the researches of teacher's reaction to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by YongSeok Kim(2003). And the template for parents, the survey templates of the research of JuSun You(2003). The research had been done for 13 elementary school at Seoul by the each Office of Education, and 235 teachers and parents each. To ask TQM awareness estimation of each 235 teacher, and how much each parent is satisfied with the management of school. And it looks into the capacity of school and the style of foundation of school for 13 school attributes. The capacity unit, based on the number of classroom, is composed of lower than 24 classrooms(Small), from 25 to 42 classrooms(Middle), and above 43 classrooms(Large). And the foundation style is classified intoPrivate school and Public school. The parent satisfaction was surveyed to know how much school management affects it.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management of each school and the parent satisfaction, this study use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for the subordinate quality management factors that give effects on the parent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done. The result from the abov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13 school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management of each school and the parent satisfaction shows 0.8~0.9, which means positive relationship statistically. There were no differences at the foundation style and the capacity of the school. The highscored school in quality management points show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parent satisfaction. Second, to check the sub-factors that affects the parent satisfaction, as the independentvariables, the subordinate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was chosen, like setting the objectives and sharing the information, continuous enhancement, general participation level, expertise of teacher, demander expectation, compensation and motivation, manager leadership, compensation and motivation. From the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each school has been known to be subject to demander expectation, continuous enhancement, and compensation and motivation. The study reaches the results as follow. First, the quality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is not correlated with the school foundation style or the capacity of school, but with parent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in the circumstances that the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and especially parent in school management has much more important roles, to enhance the parent satisfaction that could be pre-requisite of parent participation, the development of quality at school management should be done inevitably. The preferred methods for this is to implement the Evaluation system of quality management as an objective data, mentorship through which the teachers can share information for increasing quality and help each other upgrade, benchmarking from which the school can learn the best practice, or compensation that is given to the best quality management teacher. The principal should understand what is quality management for quality enhancement of the school and set up the clear rules and system for it. Second, the major subordinate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that affect the parent satisfaction per each 13 school can be summarized into 3 ones of demander expectation, continuous enhancement, compensation and motivation. This means that demander expectation, continuous enhancement, compensation and motivation are the most proper thing for enhancing the parent satisfaction. Especially, the expectation of demander and continuous enhancement were give th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parent of 10 schools. This results are representing that every school should take a deep consideration of those 2 factors when it wants to develop the quality of school. The reporter wants to suggest the next ones to this study, like the followings. First, for the research period there have been much difficulty in searching for quality management theory and case applied. Thus, there should be development of theory and model at more schools at which the quality management was focused. And based on this, we should make the Quality Index that enables us to suggest the customized quality model fit for the school attribute. Second, we need to see how much the quality management which affects the performance of student giving an effect on the student satisfaction. More in detail through the interview, participation and look, and other various research method. Third, from the preceding research the quality management of school was known to be affected by the school culture. There are needs for looking into how well the quality management is being done according to the culture attribute of each school. Fourth, the parent survey was required to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management and the parent satisfaction. But, in the process of survey, the researcher had much difficult time because of low understanding of the quality management of school organization. So, we need to focus on enhancing the exact knowledge of the principal and teacher about how the quality should be managed at the school educa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chool.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