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여성 간질환자의 대사 및 월경장애

Title
여성 간질환자의 대사 및 월경장애
Other Titles
Metabolic and Menstrual Disturbances in Women with Epilepsy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Epilepsy;Menstrual;Metabolic;Insulin resistance;Antiepileptic drug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기덕
Abstract
간질을 경험하는 여성 환자들은 같은 연령대의 정상 여성 환자들에 비하여 생리주기의 이상이 흔하며, 호르몬이나 대사변화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저자는 이 연구를 통해 특정한 간질증후군이나 항간질약물을 복용하는 여성 간질환자들이 대사적, 생리주기 장애의 위험성이 있는지 그 여부를 알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이 된 여성 간질환자들은 15세에서 50세까지의 가임기 여성들 중에서 항간질약물을 최소 6개월 이상 복용한 환자들이었다. 대상자들은 매일 아침에 구강체온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대상자들은 생리기간 동안 2 또는 3일째에 공복 상태에서 혈중 지질수치, 인슐린, 혈당, 렙틴, 알부민, 갑상선호르몬,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이하 SHBG), 난포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에스트라디올(이하 E2), 테스토스테론(이하 testosterone),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이하 DHEAS) 농도 등에 대한 검사를 시행 받았다. 그리고 생리주기 21일과 23일 사이에 혈중 프로제스테론 농도에 대한 검사를 받았다. 인슐린저항성의 표지자로서 대상자들의 공복 혈중 인슐린과 혈당 수치를 이용하여 Homa-index를 계산하였다. 대상이 된 여성 간질 환자는 총 57명이었고, 그 중 일차성전신간질(primary generalizaed epilepsy, 이하 PGE) 환자군은 19명, 국재성간질(localization related epilepsy, 이하 LRE) 환자군은 38명이었다. 환자들 중 단일약물을 복용한 환자군은 42명으로 카르바마제핀(이하 CBZ)군 19명, 발프로익산(이하 VPA)군 12명, 라모트리진(이하 LTG)군 11명이었다. 신체질량지수(이하 BMI)는 CBZ군(22.03±2.45)이나 LTG군(21.68±2.14)에 비하여 VPA군(24.43±3.61)에서 높았고(p=0.046), 대사성증후군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CBZ군(1/19, 5.3%)이나 LTG군(0%)보다 VPA군(5/12, 41.7%)과 더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p=0.005). VPA을 복용하는 환자군이 CBZ군(4/19, 21.1%)이나 LTG군(3/11, 27.3%)에 비하여 더 불규칙한 생리주기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았다(7/12. 58.8%)(p=0.089). 그러나 PGE군과 LRE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중 SHBG 농도는 VPA군(58.00±27.72 mmol/L)이나 LTG군(62.79±22.00mmol/L) 보다 CBZ군(95.27±37.61 mmol/L)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E2와 DHEAS 농도는 다른 군에 비해 CBZ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이는 반면, testosterone은 VPA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VPA을 복용하는 여성 간질환자들이 다른 CBZ이나 LTG을 복용하는 환자들에 비해 더 비만인 경향을 보였고, 그 외 대사적, 생리주기의 장애를 가질 위험성이 있어, 여성 간질환자에게 특히 장기간의 VPA를 처방할 경우 대사 및 월경장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Backgrounds: Women with epilepsy (WWE) tend to have hormonal and metabolic disturbanc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epileptic women with specific epileptic syndromes or antiepileptic drugs (AEDs) are at risk for metabolic and/or menstrual abnormalities. Methods: WWE aged 15 to 50 years old, currently on AED medications for more than 6 month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Subjects checked their oral temperature each morning. Serum tests for lipid profiles, insulin, glucose, fasting leptin, albumin, thyroid hormone (T3, T4, TSH), sex-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follicle-stimulationg hormone (FSH), lutenizing hormone (LH), estradiol (E2), testosterone,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were performed on menstrual cycle days 2 to 3. And serum progesterone level was checked on menstrual cycle days 21 to 23. HOMA-index, as a marker of insulin resistance, was calculated. Results: In total 57 patients, 19 women were diagnosed as primary generalized epilepsy (PGE) and the other 38 as localization-related epilepsy (LRE). Among them, 42 patients were on monotherapy; 19 women on carbamazepine (CBZ), 12 on valproate (VPA), and 11 on lamotrigine (LTG). BMI increased in VPA group (24.43±3.61) compared to CBZ (22.03±2.45) or LTG (21.68±2.14) groups (p=0.046), and metabolic syndrome was more commonly associated in VPA group (5/12, 41.7%) than in CBZ (1/19, 5.3%) or LTG (0%) groups (p=0.005). WWE on VPA more often experienced menstrual irregularity (7/12, 58.8%) compared to CBZ (4/19, 21.1%) or LTG (3/11, 27.3%) group (p=0.089).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PGE and LRE groups. SHBG increased significantly in CBZ group (95.27±37.61 nmol/L),than in VPA (58.00±27.72 nmol/L) or LTG groups (62.79±22.00 nmol/L)(p=0.046). Whereas E2 and DHEAS tended to decrease in CBZ group, testosterone tended to increase in VPA group. Conclusions: WWE on VPA tended to be more obese, and more frequently have metabolic and/or menstrual abnormalities than epileptic women on CBZ or LTG. Key Words: Epilepsy, Menstrual, Metabolic, Insulin resistance, Antiepileptic dru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