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의정-
dc.contributor.author임선진-
dc.creator임선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6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0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692-
dc.description.abstract1990년대 중반 Goldberg와 Young 등이 인터넷 중독(internet addiction)의 개념을 제안한 이후 이를 정신과 진단체계 내의 한 장애로서 규정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은 계속 되어 왔으며, 인터넷 중독군에서 보이는 여러 특성들 중 그 성격적 특성에 관한 국내외의 여러 연구들도 많이 보고되어 왔다. 최근에는 인터넷 중독군과 비중독군 간의 기질적 특성까지 그 범주를 넓혀 연구가 시행되었으나 그 대상이 청소년에 국한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타고난 기질을 평가 할 수 있는 Cloninger의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TPQ)를 적용하여 성인 인터넷 중독군에게서 TPQ로 설명 가능한 공통적인 성향이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무작위 off-line 설문에 참여한 286명과 자의로 on-line 설문에 참여한 144명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였다. On-line과 off-line의 설문 내용은 동일하였으며 사회 인구학적 정보와 인터넷 사용 시작에 대한 기초 설문, Young의 인터넷 중독 설문, 기질성향 평가를 위한 한국어판 단축형 TPQ가 포함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총 430명이었으며 그 중 189명(44%)이 남자였고 241명(56%)이 여자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Young의 인터넷 중독 척도 점수에 의해 분류된 중독(70-100점), 과사용(40-69점), 비중독(0-39점) 세 군 간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의 유의한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저연령군일 수 록, 미혼일 수 록, 무직일 수 록, 정신과 질환력이 있을 수 록, 흡연 및 음주량이 많을 수 록, 인터넷 시작 연령이 낮을 수 록 인터넷 중독에 포함 비율이 높았다. 2. TPQ 척도 중 첫째, Harm avoidance(HA)는 비중독군과 중독군 간, 비중독군과 과사용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중독군보다 과사용군과 중독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Reward dependence(RD)는 오직 비중독군과 중독군 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중독군이 비중독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Novelty Seeking(NS)은 비중독군과 중독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독군이 비중독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NS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종전에 청소년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높은 HA와 낮은 RD로만 설명 되던 인터넷 중독 행위에 높은 NS로 설명되는 또 다른 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높은 NS 요소가 인터넷 중독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 좀 더 명확하게 알기 위해서 앞으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연령의 인구군을 통해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Objectives : Since mid-90s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to understand and establish the concept of internet addiction as one of diagnostic classifications in psychiatry. Among them, especially many studies o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internet addiction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interests are expanding to temperament characteristics of internet addiction but the subjects have been limited to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temperament characteristics of internet addiction in adults were investigated using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TPQ). Methods : Four hundred thirty participants(189 males, 241 females) answered the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5.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demography and the onset of internet use,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Korean Contracted Version of Cloninger's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TPQ).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psychiatric history, smoking history, alcohol history and onset age of internet use among non-addiction, overuse and addiction groups by Young's scale. Of the TPQ items harm avoidance(HA)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ddiction and overuse groups than non-addiction group. Reward dependence(RD)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ddiction group than non-addiction group. Novelty seeking(N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ddiction group than non-addiction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novelty seeking in temperament characteristics between adults and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Further studies on the difference are expected for profound understanding of internet addi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II. 연구 대상 및 방법 = 3 III. 연구 결과 = 6 IV. 고찰 = 12 V. 결론 = 16 참고문헌 = 18 ABSTRACT = 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78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인 인터넷 중독자의 기질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Temperament Characteristics In Adult with Internet Addiction-
dc.creator.othernameYim, Seon-Jin-
dc.format.pagevi, 23-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