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인터뷰 담화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연구

Title
인터뷰 담화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연구
Authors
박성원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고의 목적은 그 동안 가장 일반적인 말하기 평가 유형으로 사용되어 온 인터뷰 평가 유형이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목적을 반영하고 있는 형태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인터뷰 평가 유형이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목적을 반영하는 바람직한 형태라면, 인터뷰 평가 형태로 구성된 말하기 숙달도 평가는 실생활 맥락 내의 의사소통 상황을 제공하여 평가 지침에서 제시하는 수험자 등급에 따른 대화 능력의 차이를 가늠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 유형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말하기 숙달도 평가 도구인 ACTFL OPI(Oral Proficiency Interview)의 과정을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용하여 인터뷰 담화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수험자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타당하게 평가하기 위해 전제 조건이라 할 수 있는 바람직한 평가 유형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앞으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도구의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I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소개하였다. 그 동안 한국어 평가 분야에서 말하기 평가 유형에 대한 연구가 그 중요성에 비해 실질적으로 부족했음을 지적하고, 이에 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이 인터뷰 평가 유형이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목적을 반영하고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음을 밝혔다. II장에서는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실생활 언어 사용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일상 대화 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또한 인터뷰 평가 유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터뷰 담화 분석에 근거한 선행 연구에 대해 살펴보고, 인터뷰 담화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된 Young & Milanovic(1992)의 상호작용 담화 모델 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실험 도구로 사용되었던 ACTFL OPI 평가에 대해 기술하였다. III장에서는 OPI 인터뷰 담화 분석을 위해 연구의 방법과 절차를 소개하였다. 먼저 연구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A인력 개발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12명의 일본어권 화자를 대상으로 OPI를 시행하였다. IV장에서는 인터뷰 담화 분석 결과로서, 인터뷰 담화를 지배(dominance), 상호작용 결속성(interactional contingency), 목표 지향(goal orientation)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고, OPI 평가에 임한 수험자들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해 수렴된 의견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와 수험자 의견에 대해 종합적 논의를 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드러난 인터뷰 평가 유형의 제한점들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OPI는 수험자들에게 실생활 맥락 내에서의 대화 상황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OPI 내에서 전개되는 대화 상황은 자연스런 상호작용 의사소통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면접관과 수험자의 말하기 권리와 의무가 동등하게 분배되지 않은 유형화된 인터뷰 구조는 수험자의 등급별 대화 스타일의 차이를 구별해 주지 않는다. 셋째, 대부분 질문과 응답으로 구성된 인터뷰 형태는 평가 유형이 단순하고, 인터뷰 내의 발화에 따라 화제가 주관적으로 전개될 수 있기 때문에 평가 경험이 있는 수험자들로 하여금 평가 상황을 예측하게 하여 말하기 평가가 자칫 암기력 평가가 될 소지를 마련한다. 넷째, 면접관의 일방적인 질문과 수험자의 응답을 통한 반응은 불균형적인 상호작용을 이끌어 자연스런 대화 분위기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것은 수험자에게 더욱 긴장된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 수험자가 말하기 실력을 충분히 발휘하는데 방해 요인이 될 수 있다. V장에서는 OPI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상호작용 대화 상황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도입을 위해 평가의 참여 인원과 말하기 숙달도 평가 유형의 측면에서 몇 가지 제언을 하고, 평가 유형을 제시하였다. Ⅵ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 정리하였다. 그리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view test format, which has been used widely in foreign language testing, assessing the oral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If the oral proficiency test constructed by a interview is valid, it has to provide communicative situations in real-life context and distinguish between the conversational styles of novi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the ACTFL OPI carried out in September, 2001 and then the interview discourse was analyzed. In the first chapter, I focused on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ough the studies of the test format are important in foreign language testing, these studies are nearly non-exis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Therefore more in-depth studies and research are required. In the second chapter, I reported the characteristics of real-life conversation. Then I reviewed previous studies of interview as a test format based on interview discourse analysis and described a interactive discourse model which has been applied through analyzing interview discourse. In addition, I reported the rating scale, the assessment criteria, and the procedure of the ACTFL OPI. In the third chapter, I described the method and the procedure of this study for analyzing interview discourse. To examine its purpose, I set hypothesis based on the previou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The subjects were 12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tudents of Japan. The subjects oral proficiency was measured by the ACTFL OPI, ranging from novice to advanced. Eight different interview discourses, which had been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nalyzed. In the fourth chapter, I reported the results which were analyzed through the interview discourses in terms of three features: interactional contingency, goal orientation, and dominance. In addition, I described testees opinions regarding the test and background information from a survey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of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the oral proficiency interview has very little resemblance to the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alk between interlocutors in natural conversations.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novice,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the frequency of initiation of new topics, nor in the reactivity to topics introduced by the interviewer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goal orientation of the interviewer and the reactiveness of the testee. Third, since the OPI is structured by interviewer s questions and testees answers in a controlled context, it doesn t provide alternative methods and formats of other test, therefore it s possible that the testees who have experienced the OPI talk freely with prepared and memorized stories. Fourth, an interview on a question-and-answer basis is authoritative and contrary to the original purpose of being communicative . For this reason, testees feel uncomfortable and anxious during the test, which implies the possible underestimation of the testees latent competence. In the fifth chapter, I made some suggestions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OPI. I suggested participation of one interviewer-one assessor and two testees. And oral proficiency test constructed by different test formats and interactive tasks was proposed In the last chapter, a brief summariz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ade and some suggestions are offer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