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성애-
dc.creator이성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0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535-
dc.description.abstract소아에서 succinylcholine의 사용은 그 부작용으로 인하여 FDA에서 응급 기도관리 시에만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Rocuronium은 스테로이드 계통의 비탈분극성 근이완제로 역가가 낮아 그 작용발현시간이 이전의 비탈분극성근이완제들에 비하면 빠르지만 succinylcholine을 대체할 정도로 빠르지 않다.따라서 작용발현시간 단축을 위해 고용량을 주는 방법, 충진 원리, timing principle, 진정제나 정맥마취제를 보조적으로 투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용량을 주는 방법 외에는 그 효과에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고용량을 사용하는 경우 작용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Lidocaine은 성인에서 신경근 접합부위에서 근이완제의 신경근 차단을 증진시키며 기관내삽관 시 인두와 후두반사를 줄이고 교감성 반사작용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소아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저자는 소아에서 rocuronium을 이용한 기관내삽관 시 전처치한 lidocaine이 기관내삽관 환경과 rocuronium의 작용발현시간 및 혈역학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무작위로 28명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Propofol 3 ㎎/㎏와 fentanyl 1 ㎍/㎏로 마취를 유도한 후 propofol 10 ㎎/㎏/h로 마취를 유지하였다. 의식소실을 확인한 후 100% 산소로 용수환기를 하면서 제 1군은 saline 1.0 ㎖/㎏, 제 2군은 lidocaine 1.0 ㎎/㎏, 제 3군은 lidocaine 1.5 ㎎/㎏를 투여한 2분 후에 rocuronium 0.6 ㎎/㎏를 투여하였다. 2분간 마스크를 통한 용수환기를 한 뒤 기관내삽관을 시행하면서 삽관 환경을 평가하였다. Acceleromyography (TOF-Watch)를 사용하여 15초마다 TOF 반응을 측정하여 신경근 차단의 정도를 평가하고 rocuronium 투여 후부터 TOF 반응수치가 3개 이하로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을 작용발현시간, 그 수치가 0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최대차단시간으로 하였다. 모든 군에서 수술실 도착 직후와 기관내삽관 전후의 심박수와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간에 기관내삽관 전후의 혈역학적 변화는 차이가 없었고 lidocaine 투여군과 대조군간 작용발현시간 및 최대차단시간에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lidocaine 용량 증가에 따라 기관내삽관 환경은 향상되는 추세이긴 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소아에서 rocuronium을 이용한 기관내삽관 시 lidocaine 전처치가 근이완 발현시간이나 심혈관계 안정성에 영향이 없었으며 기관내삽관 환경도 향상시킬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lidocaine directly relaxes airway smooth muscle by decreasing Ca2+. Lidocaine is well known as an agent to decrease the neuromuscular transmission and potentiate the neuromuscular block of muscle relax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idocaine on the onset time of rocuronium and intubating conditions in children. 84 children, ASA physical status 1 or 2,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Group 1, 2 and 3). Anesthesia was induced with fentanyl 1 ㎍/㎏ and propofol 3 ㎎/㎏ and we maintained anesthetic states with 10 ㎎/㎏/h of propofol. We intravenously injected saline (1.0 ㎖/㎏) to Group 1, lidocaine 1.0 ㎎/㎏ to Group 2 and lidocaine 1.5 ㎎/㎏ to Group 3. After 2 minutes, all patients received rocuronium (0.6 ㎎/㎏). Intubation was performed 2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rocuronium, and intubating conditions were evaluated. Neuromuscular blockades were assessed by train-of-four (TOF) at the adductor pollicis muscle with supramaximal stimulation of the ulnar nerve (2 Hz, 0.2 msec) every 15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onset time of Group 1 (107.8 ± 54.4 sec), Group 2 (112.0 ± 39.3 sec) and Group 3 ( 90.0 ± 39.5 sec). Intubating conditions and hemodynamic response to tracheal intubation were similar in all groups. In conclusion, additional 1.5 ㎎/㎏ lidocaine to 0.6 ㎎/㎏ rocuronium neither influences intubating condition nor accelerate the onset of rocuronium during induction of anesthesia in the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대상 및 방법 = 3 Ⅲ. 결과 = 7 Ⅳ. 고찰 = 14 참고문헌 = 21 Abstract = 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14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소아에서 전신마취 유도시 Lidocaine의 전처치가 Rocuronium의 근이완 발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Lidocaine on the Onset Time of Rocuronium-induced Neuromuscular Blockade and Intubation Condition in Children-
dc.creator.othernameLee, Sung Ae-
dc.format.pageviii, 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