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청소년 복부비만 진단을 위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과 여러 지표와의 상관성 연구

Title
청소년 복부비만 진단을 위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과 여러 지표와의 상관성 연구
Other Titles
The Usefulness of the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for the Diagnosis of Adolescent Obesity and Its Correlation with Various Parameters of Obesity
Authors
심윤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복부 비만은 고혈압, 인슐린 저항, 고인슐린혈증,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많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복부 비만을 측정하는 지표로 허리/둔부 비가 사용되고 있으나, 관상동맥 질환의 예측인자로 복부 비만의 상한치가 청소년에서는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복부 지방을 측정하고, 여러 비만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복부 비만의 합병증으로 초래되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평가 방법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비만한 청소년 27명과 나이와 성별이 대등한 정상 체중을 가진 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체질량 지수와 비만 지수, 상완둘레 및 삼각근에서 피부 두께를 비교하였다. 또한, 12시간 공복 상태에서 혈중 지질 및 혈당, 인슐린, 비만과 연관된 4가지 사이토카인을 측정하고, 인슐린 저항 지수를 구하였으며, 생체 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체지방량, 체지방율, 복부지방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비만군에서는 복부 초음파로 배꼽부위 피하지방 두께와 복강 내 지방 두께를 측정하고,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얻은 횡단면 스캔에서 전체 지방 면적을 구하였고, 이 중 피하지방의 면적을 감산하여 복강 내 지방 면적을 구하였다. 소아에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총 지방 면적과 생체 전기 저항법으로 측정한 총지방량과 상관성이 매우 높았다(r=0.954, P<0.05).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복강 내 지방 면적은 상완둘레, 복부비만율, 초음파로 측정한 복부 내 지방 깊이 및 피하 지방량, 체질량 지수, 중성지방 등과 상관성이 높았다. 소아에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총 지방 면적과 생체 전기 저항법으로 측정한 총지방량과 상관성이 매우 높았다(r=0.954, P<0.05).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복강 내 지방 면적은 상완둘레, 복부비만율, 초음파로 측정한 복부 내 지방 깊이 및 피하 지방량, 체질량 지수, 중성지방 등과 상관성이 높았다.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은 복강 내 지방을 측정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임상적으로 유용하지 못하므로, 이와 상관성이 높은 복부 초음파로 대치할 수 있다. 외래나 학교 신체검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별 검사로는 생체 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 측정, 상완 둘레, 체질량 지수, 허리/둔부 비 등이 있다. 생활 습관병의 심혈관 위험 예측 지표로는 공복시 leptin, 중성지방, 인슐린 농도 등을 사용할 수 있다.;Abdominal obesity is encountered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However, the anthropometric cut-off value to estimate the cardiovascular risk has not been suggest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fat and various parameters of obesity and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lated to abdominal obesity. Twenty seven obese Korean adolescents of moderate to severe degree and 22 healthy adolescents were enrolled. The body mass index (BMI), arm cir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 were measured. Furthermore, blood lipid, glucose, insulin, adiponectin, leptin, TNF-α, IL-6 levels were checked and the distribution of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The subcutaneous and intra-abdominal fat thickness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US) and the total and intra-abdominal fat area by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were measured in the obese group. The most accurate method to measure abdominal fat in children is abdominal CT and the fat mas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it (r=0.954). It was also correlated with arm circumference, fat thickness measured by abdominal US, BMI, and triglyceride level. Abdominal CT is the most accurate method in measuring intra-abdominal fat, and it can be replaced by abdominal US for cost effectiveness. The screening methods that can be used at school or in outpatient basis include bioelectrical impedance, waist/hip ratio, and arm circumference.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clude leptin, triglyceride and insulin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