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프로그램학습 자료를 활용한 참고정보원 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프로그램학습 자료를 활용한 참고정보원 교육에 관한 연구
Authors
노진영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참고봉사 교육에 있어 가장 중시되는 요소인 참고정보원에 관한 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참고봉사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이수해야 하는 두 대학의 2학년 학생 78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고 각각 강의/토론과 프로그램학습의 두 가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참고정보원의 유형 중 사전, 백과사전, 서지, 색인 및 초록의 4가지 유형을 학습하도록 하였다. 강의/토론 교육방법은 학습해야 할 참고정보원의 서지적 특성을 교과담당자가 학생들에게 설명한 후, 학생들이 참고정보원의 내용과 관련된 연습문제를 도서관에서 풀어 오면 이에 관해 교실에서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전통적 강의수업 형태이다. 이에 반해 프로그램학습은 교과담당자가 개발한 프로그램학습 자료를 사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의 편리한 시간에 그리고 자기의 속도에 맞게 독자적으로 참고정보원을 학습하는 개별화된 자율적 학습방식이다. 이러한 두 가지 학습방법에 의한 참고정보원의 학습효과와 학습에 소요된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참고정보원의 학습에 있어 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내고, 자율적 학습매체로 개발된 프로그램학습 자료가 참고정보원의 학습에 효과적인가를 알아 보았다. 학습자의 특성과 교수방법 및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수방법과 관련된 학습양식 요소에 대한 학습자들의 선호도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 보았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학습 자료의 계속적인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는 관점에서 프로그램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전, 백과사전, 서지, 색인 및 초록의 4가지 유형 62개 타이틀의 참고정보원을 포함하는 부첨형 프로그램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평가하기 위한 사후검사지와 프로그램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학생들의 학습양식 검사를 위해서는 Canfield의 학습양식 검사지를 본 연구자가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고정보원의 학습에 있어서 전통적 수업방식인 강의/토론 방법에 의한 학습효과와 프로그램학습 자료에 의거한 자율적 학습의 효과는 동등하였다. 따라서 참고정보원 교육에 있어 전통적인 강의/토론 방법 이외에도 프로그램학습과 같은 개별화 교수방식의 적극적인 활용이 바람직하다. 둘째, 참고정보원의 유형 중 서지, 색인 및 초록을 프로그램학습 자료로 학습한 실험집단이 강의/토론방법으로 학습한 통제집단보다 학습시간을 더 적게 사용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학습 소요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학습 소요시간 면에서 프로그램학습이 강의/토론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셋째, 교수방법과 관련이 있는 학습양식 구성요소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학생들의 선호도에 있어서 학업성취 수준별 집단 간에는 아무런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학업성취도가 교수방법과 학습양식의 일치 여부에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학습으로 학습한 학생들은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감을 보였으며 프로그램학습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음이 설문조사를 통하여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학습자 개인의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개별화 교수방식의 하나인 프로그램학습을 참고정보원의 교육에 실증적으로 시도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교수 자료는 기존의 참고봉사 관련 교재와 더불어 참고정보원의 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med instruction versus lecture and discussion method on the knowledge of basic reference sources among undergraduat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1. Programmed instruction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e lecture/discussion method with regard to academic achievement. 2.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tim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3.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preference to the elements of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venty-eigh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the two universities in Chungchong Province. A programmed instruction manual, including 4-types of reference sources--dictionary, encyclopaedia, bibliography, indexes and abstracts, 40-item multiple choice post-test, and a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programmed instruction were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is research. The post-test only control-group design was selected for this experimental study. Students were given instruction on the specific reference titles in dictionary, encyclopaedia, bibliography, indexes and abstracts.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by the lecture and discussion method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a programmed instruction manual by themselves. Both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ested right after the instruction of 4-types of reference sources. And also, in order to assess students learning style, a learning style inventory which identifies 9 learner types in 17 variables was administer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asking students attitude toward programmed instruction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the post test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programmed instruction is viable as an alternative method of instruction in the teaching of reference sourc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time spending for the learning of bibliography, indexes and abstract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ly, programmed instruction proved to be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lecture/discussion method in terms of learning tim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udents preference to the elements of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us, learning style does not seem to affect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nment. 4.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programmed instruction and evaluated it very interesting and challenging. In conclusion, the programmed instruction method was just as effective as the lecture/discussion method in the teaching of reference sources. And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programmed instruction was favorable enough to secure a continued use of this method for the teaching of reference sour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