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崑崙神話 硏究

Title
崑崙神話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Kunlun(崑崙) Mythology
Authors
김보경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study the myths in the sacred space done in national or international researches, analyze the Kunlun(崑崙) mythology’s structure and characters, and clarify the diverse meanings on Kunlun(崑崙) mythology. For these purposes the discussion of the thesis can be organized 5 groups. The introduction of this thesis suggested the research’s method and scope. The chapter 2 examined the origin of the word "Kunlun" before the "Kunlun" research. Analyzing the root based on double-consonant word [kl-] of ex-ancient times and investigating diversely the root of "Kunlun" showed on several words having the meaning of "round" and some objects of round-shaped such as "Sky." Besides, the thesi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Kunlun is not a word for a certain mountain but a general noun for high and rough mountains. After analyzing the meaning of Kunlun, the thesis briefly estimated some ancient history books and geography books which are including the real location of "Kunlun" as a premise of Kunlun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sis found out that Kunlun has not been on the fixed location but moved to west gradually by times and by the influences of ideologies. In addition, the thesis compared these with the Kunlun in mythology. The Kunlun is the space from which Yellow River (symbolized as a "mother body") started and the center of world developed from the ideas of worship of mountain where all nature created. In chapter 3, the thesis focused how the scenes of Kunlun and the description of shapes of Gods related to the Kunlun mythology changed in some literatures, such as Shanhaijing(山海經), including abundant mythology factors. The Kunlun is the place for religious events beyond the nature views. It has changed into the Gods’ sacred residence and the capital of the lower world ruled by the lord of heaven. The prevailing of Taoism changed the Kunlun into an enchanted land. The ways of describing Kunlun had been also developed from general explanation to more detailed description with the comments on its complicated structure and real height. Also Zauang-zi(莊子) described the Kunlun as a morality(道境) for spiritual awakening. That is, the Kunlun is the space of philosophical reasoning, above the mythological space. After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n Kunlun mythology, this thesis investigated how the shapes of typical Gods like "Xiwangmu"(西王母) and "Huangdi"(黃帝) were described. The early "Xiwangmu" lived in Mt. yu(玉山) related to Kunlun but later the Kunlun was directly described as the mountain where Xiwangmu lived. In Liezi(列子), and Mutianzizhuan(穆天子傳), the Xiwangmu was no longer the god of half-man and half-animal shape but a human. It was changed into goddess, who contactedwith the emperor like King mu, the hero. After Han Dynasty, the Xiwangmu was described as a beautiful and mysterious Taoist hermit who coming down in front of a son of Heaven who called the hermit. On the other hand, the Huangdi was describedas not the King in god’s world but a common god in the Kunlun mythology. The residence was also represented as Mt. Mi(밀山) where Zhongyu(種玉) and Shiyu(食玉) are grown, not the Kunlun, the center of holy places. However, in the Zhuang-zi(莊子) the relationship between Huangdi(黃帝) and Kunlun was more closely connected and succeeded the conception of considering that Huangdi was the greatest man of honor and a sage king in human history. At the same time, he is described as a man who pursued the Tao, the basic philosophical idea of Taoism, between the sanctity and the mundane world. The chapter 4 analyzed the vision of the universe and symbolism reflected on Kunlun mythology, which is based on some myths and literatures portraying the shape of Kunlun discussed on chapter 3. First, it assumed that Kunlun is the Mountain of World symbolized "the center" on the assumption that Kunlun reflected the vision of universe, "the Kunlun is the center axis". Second, it discussed that the Kunlun as the vehicle for connecting sky and earth and communicating two spaces as a heaven-ladder(天梯). After that,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Kunlun mythology in chapter 3,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Kunlun appeared to be the Paradise. And, with the analysis of former Kunlun mythology research showing the Kunlun as a place where diverse tribes were mixed, the chapter 4 criticized that some researches about Kunlun mythology are influenced by the political ideology of Sino-centrism In conclusion of the thesis, it reviewed the change of structure of the Kunlun mythology and the meaning of Kunlun as a center of mythological space.The Kunlun and the Kunlun mythology are not only the core of the ancient Chinese ideology but also the origin of all nature. This study attempted to alert that the Kunlun and the Kunlun mythology of deep and various meanings should not be understood under the spectrum of national and political ideology of Sino-centrism. It also expected that the research on Kunlun and Kunlun mythology carried out with the multilateral ways.;본고는 중국 신화에 나타나는 신성한 공간 중에서 崑崙山을 배경으로 하는 신화에 대한 지금까지의 국내외 연구를 검토하고, 崑崙신화의 구조 및 특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崑崙 및 崑崙신화가 담고 있는 다양한 의미를 밝히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전제로 본고는 서론에서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를 제시하고, 이어서 Ⅱ장에서는 崑崙신화 연구에 앞서 우선 ‘崑崙’의 어원을 살펴보았다. 먼저 崑崙이 上古시대 이전의 [kl-]라는 겹자음[複聲母]의 단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어원을 분석하고, 하늘을 비롯하여 둥근 모양의 사물과 ‘둥글다’라는 의미를 가진 여러 단어에서 崑崙의 어원을 다각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밖에도 崑崙을 기록한 일부 문헌을 예로 제시함으로써 고대에는 崑崙이 특정한 하나의 산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높고 험준한 산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語義 분석에 이어 신화적 공간으로서의 崑崙 연구의 전제가 되는 작업으로 고대의 歷史書 및 地理志에 기록된 실제 崑崙의 위치를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 결과 崑崙이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리고 사상의 영향 아래 지리적 공간의 좌표가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신화 속의 崑崙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는데, 崑崙이 고대로부터 중국 문명의 요람을 상징하는 黃河가 시작되는 공간인 동시에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었던 근거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山海經』을 포함하여 신화적 요소가 풍부한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崑崙신화에 나타난 崑崙의 경관 및 崑崙과 관련된 신들의 형상에 대한 묘사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崑崙은 단순한 자연경관의 의미를 넘어서 종교적 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신들의 신성한 거주지이자 天帝의 下界 都邑으로 변화하였으며, 道敎가 성행하면서 점차 仙境의 장소로 바뀌었다. 崑崙을 묘사하는 방법도 단순한 설명에서 발전하여 점차 崑崙 자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구체적인 높이를 기록하는 등 입체감 있게 그려내었다. 또한 『莊子』와 같은 문헌에서 나타나는 崑崙은 신화적 공간의 의미를 초월하여 得道를 위해 올라야만 하는 道境으로 묘사됨으로써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崑崙신화의 구조의 분석에 이어 崑崙과 관련된 신들 중 대표적인 신인 西王母와 黃帝의 형상이 어떻게 묘사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초기에 西王母는 崑崙과 관련된 玉山에 거주하였으나, 후대에는 직접적으로 崑崙이 西王母가 거주하는 산으로 나타난다. 『列子』, 『穆天子傳』 등의 작품에서 西王母는 더 이상 半人半獸의 神이 아닌 인간의 모습을 한 신성한 존재로서 穆王과 같은 역사적 영웅과 교류하는 女神의 모습으로 변화하고, 漢代에는 神仙을 열망하는 武帝 앞에 강림하는 아름답고 신비로운 자태의 女仙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黃帝는 초기에는 崑崙신화에서 神界의 至尊이 아닌 평범한 神靈으로 그려지고, 거주지 역시 神境의 중심인 崑崙이 아닌 種玉, 食玉이 나는 밀山 등으로 그려졌다. 그러나 『莊子』에서는 崑崙과의 관계가 보다 긴밀해졌으며, 黃帝를 인류 역사상 뛰어난 聖王이자 君主로 여기는 관념을 표현함과 동시에 道家의 기본 철학 개념인 ‘道’를 결합시켜 聖과 俗 사이에서 道를 추구하는 존재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논의된 崑崙의 형상을 묘사한 신화 및 문학 작품들을 바탕으로 崑崙신화에 반영된 우주관과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崑崙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우주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전제 아래 중심을 상징하는 世界大山과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동시에 두 공간을 소통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天柱 및 天梯라는 개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어서 앞 장에서 분석한 崑崙신화의 구조 및 崑崙 신화의 내용을 토대로 崑崙이 樂園의 모습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崑崙이 중국의 여러 民族이 융합한 장소라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일부 崑崙신화에 대한 연구가 중국 중심의 ‘多元一體’라는 이데올로기의 영향 아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비판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앞에서 崑崙신화의 구조의 변화 및 신화적 공간의 중심으로서 崑崙이 담고 있는 의미를 분석한 것을 정리하였다. 고대 중국인의 관념 속에서 중심인 동시에 만물의 근원이 되는 곳이라는 심원하고도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는 崑崙신화가 ‘中華民族’이라는 민족적,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범주 안에서 해석, 연구되는 것을 경계하고 다각적인 방법으로 연구되기를 기대하면서 논의를 끝마쳤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