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기계호흡에 의존하는 환자들에서 발생하는 마비성 장폐색의 양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Title
기계호흡에 의존하는 환자들에서 발생하는 마비성 장폐색의 양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Paralytic Ileus In the Medical ICU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or
Authors
송지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ims: Paralytic ileus is not uncommon problem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ion but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ileus are not precisely defined. Mechanical ventilation itself is one of the causes of severe paralytic ileus and parameters of ventilatory settings may be associated with intractable ileus. In addition, other clinical factors may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aralytic ileus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developing paralytic ileus under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Medical records of 817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or from December 2001 to July 2004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ith the exception of patients with ileus by organic diseases, drugs, and diseases which could affect bowel motility directly such as pancreatitis and pyelonephritis, 29 patients (14 patients with ileus and 15 patients without ileus) who have simple abdominal x-ray film before and after starting mechanical ventilation were enrolled finally.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n admission, and at the time of start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leus were compared between the patients with ileus and without ileu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ge, sex, and underlying disease on admission between the two groups. But high fever was more common in the patients with paralytic ileus (8 patients [57%] vs. 1 patients [7%], p<0.05). The prevalences of hypoxemia and hypotension and parameters of ventilatory settings such as tidal volume per weight and ventilatory mod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time of starting mechanical ventilation. When the laboratory and clinical factors were compared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ileus, the ileus group tends to have higher leukocyte count (p=0.05), and have more frequent rise in serum CRP level compared to the level on admission (12 patients [86%] vs. 4 patients [27%], p<0.01), and showed higher mortality rate (10 patients [71%] vs. 6 patients [40%], p=0.14). Conclusion :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ion, improvement or aggravation of systemic infection or inflammation seems to affect the development of paralytic ileus more significantly than the parameters of ventilatory settings. Control of underlying inflammatory condition is important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paralytic ileus in this setting.;기계호흡에 의존한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는 여러가지 소화기계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들에서 관찰되는 난치성의 마비성 장폐색이 기계호흡의 어떤 인자와 연관성이 있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기계호흡 지표들과 전신상태를 반영하는 임상 지표들을 분석하여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1년 1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계호흡을 시행받았던 817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장의 기질적 병변이나 약물로 인한 장마비가 확인된 환자는 제외하였고, 기계호흡 시행 전후의 단순복부촬영 소견을 비교할 수 있었던 29명의 환자를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마비성 장폐색이 발생하였던 환자 14명과 발생하지 않았던 환자 15명의 내원당시와 복부촬영 시행 당시의 혈액검사 소견, 기계환기 관련 수치 및 임상지표들을 비교하였다. 마비성 장폐색이 발생한 환자군과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에서 입원 당시의 나이, 성별 및 기저질환에 차이는 없었다. 38℃ 이상의 고열이 있던 환자는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의미있게 많았다(8명[57%] vs. 1명[7%], p<0.05). 기계호흡을 시행할 당시의 저산소증, 저혈압 유무, 체중당 1회 호흡량, 기계호흡 방식의 차이는 없었다. 복부촬영을 시행하여 마비성 장폐색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었던 시점에서 혈액 소견 및 임상 지표들을 비교해 보면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혈중 백혈구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 입원 당시보다 CRP가 증가한 경우가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12명[86%] vs. 4명[27%], p<0.01). 추적관찰 결과 마비성 장폐색군이 대조군보다 사망률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10명[71%] vs. 6명[40%], p=0.14). 기계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은 기계호흡관련 지표보다 기저질환 및 전신염증상태의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기계호흡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저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전신적 염증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