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전신 마취시 노인 환자의 Etomidate 마취유도 용량

Title
전신 마취시 노인 환자의 Etomidate 마취유도 용량
Other Titles
Induction Dose of Etomidate in the Elderly Pati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Authors
문지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tomidate is frequently used as an induction agent in the elderly patients because of its minimal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We compared the induction dose of etomidate in the elderly patient using verbal response, eyelash reflex, BIS and hemodynamic changes. Sixty ASA 1-2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four groups. They were Group 1 (patients younger than 65 receiving 0.2 mg/kg of etomidate, n = 15), Group 2 (patients younger than 65 receiving 0.3 mg/kg of etomidate, n = 15), Group 3 (patients older than 65 receiving 0.2 mg/kg of etomidate, n = 15), and Group 4 (patients older than 65 receiving 0.3 mg/kg of etomidate, n = 15). Tourniquet was inflated on either upper limb without an intravenous line after injection of glycopyrrolate 0.2 mg and fentanyl 1.5 ㎍/kg. Etomidate infusion was started at 10 mg/min. Tracheal intubation was facilitated by rocuronium 0.6 mg/kg when BIS reached below 50 and eyelash reflex disappeared. After tracheal intubation, O2 was insufflated until return of BIS to 50. From the start point of etomidate infusion (T0), the time lapse to loss of the verbal response (T1), loss of the eyelash reflex (T2), decline of BIS to 50 (T3), tracheal intubation (T4), 1 minute after tracheal intubation (T5), and return of BIS to 50 (T6) were measured. Mean arterial pressure (MAP), heart rate (HR) and responses to isolated forearm technique were also measured. Myoclonia and postoperative recall were recorded. Time interva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In aspect of loss of consciousness, T1, T2 and T1, T3 correlated with each other. BIS value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ough value of group 1 at 1 min after intub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2. MAP and HR were increased after intubation in 4 groups. The changes in MA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1 and 2. The changes in H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Isolated forearm test was positive in 10(66.7%), 6(40.0%), 4(26.7%), 3(20.0%) patients in groups 1, 2, 3 and 4, respectively. Myoclonus was observed in 1(6.7%), 2(13.3%), and 2(13.3%) patients in group 2, 3 and 4, respectively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Only 1 patient in group 1 showed postoperative recall. In conclusion, age does not influence the BIS value in these etomidate doses. Loss of consciousness and hemodynamic changes during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with 0.2 mg/kg of etomidate were inappropriate in younger patients, whereas in the elderly patients they were appropriate with 0.2 and 0.3 mg/kg of etomidate.;Etomidate는 노인 환자에서 전신 마취시 심혈관계에 대한 억제 작용이 적어 자주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반응, 안검반사, BIS와 혈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고 최면과 혈역학적 면을 고려하여 노인에서 etomidate의 마취유도 용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분류 1-2등급에 속하는 환자 60명을 임의로 4개군으로 배정하여 제 1군은 etomidate 0.2 mg/kg 를 투여한 65세 미만군(n = 15), 제 2군은 etomidate 0.3 mg/kg를 투여한 65세 미만군(n = 15), 제 3군은 etomidate 0.2 mg/kg를 투여한 65세 이상군(n = 15), 제 4군은 etomidate 0.3 mg/kg를 투여한 65세 이상군(n = 15)으로 하였다. Glycopyrrolate 0.2 mg과 fentanyl 1.5 ㎍/kg를 정주하고 정맥로가 없는 반대편 상박의 압박대에 압력을 가한 후 etomidate는 정해진 용량을 10 mg/min으로 점적 주사하였다. 안검반사가 소실되고 BIS 50 이하시 rocuronium 0.6 mg/kg를 정주하였으며 90초 이상 용수 환기를 하면서 BIS 50 이하임을 확인한 후 기관내삽관을 시행하고 삽관 후 BIS 50으로 회복될 때까지 100% 산소만 투여하였다. Etomidate 정주(T0)부터 음성반응 소실(T1), 안검반사 소실(T2), BIS 50으로 감소(T3), 기관내삽관(T4), 삽관 1분 후(T5) 및 삽관 후 BIS 50으로 회복되는 시점(T6)의 시간을 기록하였다. 평균 동맥압과 심박수, 전완격리시 반응을 각 시점에서 측정하였으며 간대성 근경련 및 회복 후 회상 여부를 평가하였다. 마취 유도시 각 시점까지의 시간은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의식 소실 면에서 음성반사 소실 시점과 안검반사 소실 시점, 음성반사 소실 시점과 BIS 50으로 감소 시점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65세 미만 군에서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BIS는 각 시간별로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삽관 1분 후 1군의 BIS가 2군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평균 동맥압은 각 군에서 기관내삽관 전에 비하여 삽관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제 1군이 제 2군에 비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또한 심박수는 각 군에서 기관내삽관 전에 비해 삽관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 변화는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완격리술의 경우 제 1, 2, 3, 4군에서 각각 10명(66.7%), 6명(40.0%), 4명(26.7%), 3명(20.0%)이 음성명령에 반응하였다. 간대성 근경련은 제 2, 3, 4 군에서 각각 1명(6.7%), 2명(13.3%), 2명(13.3%)으로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회복 후 회상은 제 1군에서 1명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etomidate 용량에서는 BIS가 연령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고, 최면 효과와 혈역학적인 면에서 마취유도 용량으로 65세 미만 환자에서는 0.2 mg/kg가 부적합하지만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에서는 0.2 mg/kg와 0.3 mg/kg 모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