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호-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0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27-
dc.description.abstractThe new type of media named DIGITAL changed human communication form, and moreover had influenced on human life generally. The physical sense we are experiencing or the method of communication are keep changing in the flood of information and the media medium which changes rapidly. Because of this a space and a general idea of time changes and this is also changing human culture generally. And the architecture as a human activity cannot be an exception of this trend. Modern architecture of these days which has a feature of new media has a various possibility and relationship. And this is breaking from the past constructed form and focusing on an aesthetic development of design field, a harmony with nature, a development of human-centered architecture and a growth in interest of a surface. This concern is making emotional spatial structure. Through the surface which has spatial effect, a new way of communication opens and the architecture’s selfness is expressed. In the same time it participates in circumference of other context, so that this implies a meaning that the architecture is developing as an interface in the specific economy field. In the past a material of construction, envelopment were important however in these days a material of media is much important. The material of media is expressing the surface of the architecture as an independent screen. Besides art activity and material of media get mixed and this delivers special effect and meaning. This special effect and meaning implies its importance in finishing the architecture with understanding of the users. But there’s no paper that is studied about the latest tendency of modern architecture surface, and most studies have analyzed the modern architecture surface only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various and new trial of communication through active using media art and media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surface as interface. Above all, this study defines the tendency of modern architecture surface as “Urban Screenization”, and then select some aborad, domestic cases that have characteristics of Urban Screen. But there’s no classification of particular nation, architect or artist in the selection of cases. And the selected cases have divided into three types as “surface as image, screening platforms, and surface as canvas”, then each two analyzing factors of three types are deduced. After deducing the factors, this study applies the factors to selected cases of Urban Screen, and analyzes the cases with using matrix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shows the entire characteristic of Urban Screenization, and presents the latest tendency of Urban Screenization and the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in the future.;정보화 시대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은 많은 분야에 있어서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켰고,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미디어는 단순히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바꾸었을 뿐만 아니라 인간 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보의 홍수와 미디어 매체의 빠른 변화 속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물리적 감각이나 의사 소통 방법은 계속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른 공간과 시간 개념의 변화로 인류의 문화 전반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인간 활동으로서의 건축 역시 이러한 흐름에서 예외일 수 없다. 뉴미디어의 특성을 지니며 더욱 다양한 가능성과 관계를 열어나가게 된 오늘날의 현대 건축은 근대 이전의 구축적 양식 중심의 형식으로부터의 탈피, 디자인 분야의 심미적 발달, 자연 친화적인 관점으로의 발달,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 중심의 건축 발달 등으로 인해 구조, 실체와의 관련성 이외에 표면(surface)으로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감상적인 공간 구조를 낳고 있다. 이는 표면이 공간적인 효과를 내는 표면을 통해 새로운 소통의 길이 열리게 되고 건축물 그 자체의 자율성을 표현하는 동시에 주변 컨텍스트에 동참하게 되므로 경계 영역으로서의 의미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로 발전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전의 건축 재료, 환경,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효과를 이루어 냈던 건축의 경향이 최근에는 더욱 적극적인 미디어 재료의 사용으로 건축의 표면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독립된 스크린으로써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그에 더해 다양한 미디어 아트 작업의 차용으로 표면의 스크린화는 더욱 진화하며 이전과는 또 다른 효과와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와 의미는 공간 사용자의 능동적인 수용 형태를 인지하고 건축을 완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주체가 됨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는 건축 표면은 건축학적 이론적 배경에서만 분석되고 연구되어 온 것이 사실이며, 최근의 경향까지 연구된 논문은 현재 부재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건축 표면이 가진 인터페이스로서의 특성과 최근의 적극적인 미디어 재료 사용 및 미디어 아트 차용을 통한 다양하고 새로운 소통의 시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건축 표면이 가지는 더욱 넓은 범위에서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건축 그 자체가 가지는 특성 안에서 뿐만 아니라 수용자와의 상호작용 안에서 또한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이러한 현재의 건축 표면의 경향을 Urban Screen화로 정의한 후 특정 국가나 건축가 혹은 작가를 구별하지 않은 국내외 Urban Screen의 특성을 가지는 사례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례들을 표면의 이미지화, screening platforms, 표면의 캔버스화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 유형별로 각각의 분석 요소를 2가지씩 도출, 6가지 분석 요소를 적용하여 사례들의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Urban Screen화의 전체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최근의 경향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ix I. 서론 =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의 구성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현대 공간의 개념 = 4 1. 공간 = 4 2. 현대 공간 = 5 3. 장소성(sense of place) = 7 4. 현대 공공(公共)공간(public space)과 장소성 = 11 B. 현대 건축의 패러다임 = 13 1. 건축의 흐름 = 13 2. 뉴 미디어 시대 건축 패러다임 = 15 2.1. 뉴 미디어 = 16 2.2. 건축의 비 물질화 및 미디어 수용 = 16 2.3. 시간성의 적용 = 19 2.4. 상호 작용성 = 21 3. 현대 건축의 표면으로의 발달 = 21 3.1. 기술의 발달과 건축 표면(surface) = 21 3.2. 건축 표면의 시대적 변화 = 24 3.3. 현대 건축 초 표피화 = 28 4. 건축과 예술의 만남(Hybrid Zone) = 31 4.1. Hybrid Zone = 31 4.2. 건축과 예술의 Hybrid Zone의 특성 = 32 5. 수용미학적 패러다임 = 33 5.1. 수용미학 = 33 5.1.1. 건축의 텍스트성 = 34 5.1.2. 인지구조와 몸의 참여 = 35 5.2. 생소화 수법과 지각의 건축 = 36 5.3. 미정성의 구조와 관계성의 건축 = 38 5.4. 신체의 중심성 = 41 C. Public Art = 44 1. Public Art의 개요 및 특성 = 44 2. 예술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46 D. 인터페이스로서의 표면 = 48 1. 현대 건축에서의 인터페이스의 개념 = 48 2. 인터페이스로서의 표면을 구성하는 요소 = 49 2.1. 건축 표면과 지각 = 49 2.2. 건축 표면과 우연적 요소의 개입 = 50 Ⅲ. Urban Screen의 이해 = 52 A. 현대 Urban Screen로서의 표면 = 52 B. 현대 Urban Screen 유형 = 54 1. 표면의 이미지화 = 54 2. Screening Platforms = 56 3. 표면의 캔버스화 = 57 C. Urban screen과 신체활동 = 60 IV. Urban Screen화의 국내외 사례분석 = 61 A. 사례 분석 개요 = 61 1. 사례 분석 과정 = 61 2. 사례 분석 요소 = 62 3. 사례 분석 대상 = 63 B. 사례분석 및 분석결과 = 65 1. Urban Screen화의 사례분석 = 65 1.1. 비물질화(Immateriality) = 65 1.2. 다중매체(Multimedia) = 80 1.3. 조합공간(Hybrid Zone) = 94 2. 종합 분석 = 106 3. 분석 결과 = 113 V. 결론 = 116 참 고 문 헌 = 118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560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대 건축 표면의 인터페이스로서의 Urban Screen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about Urban Screenization of modern architecture surface as interface-
dc.creator.othernameKim, Ji-Yeon-
dc.format.pagex,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