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원용-
dc.contributor.author김혜빈-
dc.creator김혜빈-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5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0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50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결과물인 디지털 컨텐츠가 전시되는 개인 사이버 공간 중에서, 제작자와 열람자 사이의 관계가 열려있는 블로그(blog)에 주목하였다. 블로그와 블로그를 통해 전시하는 창작물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대상은 4가지 기준으로 선정된 개인 블로그 100개와 각 블로그에 담긴 컨텐츠로 한정지었다. 블로그의 개념이 명확히 정의된 연구가 없었기에 본 논문에서는 블로그가 가져야할 최소 조건을 규정하여 조사 대상에 대한 일관된 개념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노라 폴(Nora Paul)이 제시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요소인 매체(media)와 행위(action), 관계(relationship), 맥락정보(context),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준거의 틀로 블로그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블로그가 다른 개인 사이버 공간과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은 노라 폴의 스토리텔링의 요소 중 커뮤니케이션 요소라 하겠다. 블로그는 쌍방향(two-way)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덧글과 트랙백 기능은 컨텐츠 제작자와 열람자의 연결 관계를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블로그는 블로그를 방문한 방문객의 열람과 덧글로 인해 일 대 다(one-to-many) 커뮤니케이션이 행해지는 공간이다. 그러나 블로그의 트랙백 기능은 일 대 다의 관계에서 벗어난 일 대 일(one-to-one) 커뮤니케이션 또한 이루어지게 한다. 블로그에서 나타나는 일 대 일 커뮤니케이션은 기존 일 대 일 커뮤니케이션의 폐쇄적인 성격과는 달리, 제 삼자의 열람과 참여가 가능한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본 분석을 통해 블로거 사이의 소통은 다층적으로 소화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지녔음이 발견되었다. 블로그는 제작자와 수용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구조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도구이고, 복합적 커뮤니케이션 또한 가능하게 하는 공간임이 밝혀진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블로그라는 매체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이버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던 블로그의 개념을 형식과 형태의 특징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여타의 사이버 공간과 구별되는 블로그 특유의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디지털 스토리텔링 이론화에 지니는 의미를 규명하지 못 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블로그로 현상화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이론화 작업은 추후의 연구 과제로 상정한다.;This study was to concentrate on the Blogs ope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ducer and inspector among the individual cyber space that the digital contents, results of digital storytelling, were displayed. And,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Blogs and the works displayed through the Blogs as research samples. Also, this study was to confine the 100 individual Blogs selected on the four bases and the contents contained in each Blog. There was no research that the concept of Blog was defined clearly, so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minimum conditions that the Blogs needed and establish the consistent concept of object of investigation. And, this study was to try to analyze the Blogs with the factors of digital storytelling that Nora Paul has suggested like media, action, relationship, context, and communication as applicable fram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difference the Blog had most compared with the other individual cyber space could be a factor of communication among the factors of storytelling by Nora Paul. The Blog is a space that it produces two-way communication. And, the function of reply/comment and trackback show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inspector of contents visibly. Generally, the Blog is a space that the one-to-many communication has been done with the read and reply/comment by the users who visited the Blogs. However, the one-to-one communication can be realized by the function of trackback, not one-to-many communication. The one-to-one communication executed in the Blogs can be open communication in which the third party can read and participate contrary to the closed communication showed on the past one-to-one communica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communication among the Bloggers found out that it ha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could be assimilated in multi-level.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Blog was an instrument that mad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receiver structurally possible, and that it was a space made the complex communication possible, not single communication. It was significant for such characteristics to apply to any other cyber space, not correspond to the media like Blogs. This study was to arrange the concept of Blogs that has interpreted variously up to date cente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ype and pattern. Consequently, this study was meaningful that it found out the pattern of peculiar communication that the Blog had distinct from the other cyber spaces. However, there are limits in this study that it did not clarify the meaning in the digital storytelling theorized. The theorized work for digital storytelling formed with the Blog can be put forward it as future research tas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Ⅱ. 이론적 논의 = 5 A. 서사 구조 = 5 B.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요소 = 10 III. 개인 사이버 공간 개괄 = 27 IV. 블로그에 대한 고찰 = 32 A. 블로그의 개념 = 32 B. 블로그의 형태 = 36 C. 한국 블로그의 특징 = 42 V. 블로그와 블로그 컨텐츠 분석 = 56 A. 분석대상 블로그의 선정 기준 = 56 B. 블로그에 나타난 서사 요소 = 63 C. 블로그에 나타난 디지털 스토리텔링 요소 = 66 VI. 이론적 함의와 결론 = 81 참고 문헌 = 95 참고 사이트 = 95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13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블로그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mmunication Pattern Showed on the Blog - Centered on the Viewpoint of Digital Storytelling-
dc.creator.othernameKim, Hyebin-
dc.format.pagevi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