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지방간에서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과 혈청 지질 농도에 대한 연구

Title
지방간에서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과 혈청 지질 농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polipoprotein E Genotypes and Serum Lipids in the Subjects with Fatty Liver
Authors
楊文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Degree
Master
Advisors
문일환
Abstract
아포지단백 E는 간에서 VLDL-중성지방 분비를 조절하고 혈액으로부터 지단백 섭취를 매개하며 지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지혈증은 지방간의 주요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고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이 혈청 지질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으나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과 지방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간군과 대조군에서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을 측정하고, 혈청 지질 농도와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복부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지방간을 진단받은 환자군 711명과 성별 및 연령에 맞추어 짝지은 대조군 711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지방간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질량지수, 혈청 중성지방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지방간군과 대조군 간에 아포지단백 E 유전자 표현형과 대립유전자형의 빈도는 단변량 분석을 이용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방간과 대조군에서 ε2 대립유전자형을 가지고 있는 군은 ε3 대립유전자형을 가진 군에 비해 혈청 총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지방간군에서 ε4 대립유전자형을 가진 군과 ε3 대립유전자형을 가진 군을 비교하였을 때 체질량지수 및 혈청 지질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 분석을 이용했을 때, 지방간에 대한 대응위험도는 비만 (체질량지수 ≥ 25 kg/m²) 3.47 (95% 신뢰구간 2.53-4.77), 고중성지방혈증 2.13 (95% 신뢰구간 1.60-2.86), 높은 LDL 콜레스테롤 농도 (혈청 LDL 콜레스테롤 > 130 mg/dL) 1.77 (95% 신뢰구간 1.38-2.27), 높은 HDL 콜레스테롤 농도 (혈청 HDL 콜레스테롤 > 65 mg/dL) 0.45 (95% 신뢰구간 0.28-0.72) 이었다. 아포지단백 E의 ε4 대립유전자형이 존재할 때 대응위험도는 0.64 (95% 신뢰구간 0.47-0.87)이었고, ε2 대립유전자형이 존재할 때 1.06(95% 신뢰구간 0.73-1.52)이었다. 결론적으로 비만, 고중성지방혈증, 높은 혈청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지방간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고, 높은 혈청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지방간의 위험도를 낮추는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포지단백 E ε4 대립유전자형은 지방간의 발생위험도를 낮추는 인자로 보이며 지방간 발생에서 혈청 지질 농도 외에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과 관련된 기전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Apolipoprotein E (Apo E)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hepatic VLDL-triglyceride and in mediating lipoprotein uptake from the circ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o E genotypes on serum lipid levels and the development of fatty liver. This study was composed of 71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fatty liver by ultrasonography and 711 sex- and age-matched control subjects. Body mass index, Apo E genotypes,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were measured. Apo E genotypes were determined by PCR using a LightCycler-Apo E Mutation Detection Kit(Roche, Switzerland). The subjects with fatty liver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body mass index, triglyceride and lower HDL-cholesterol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subjec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s of Apo E phenotypes and alleles were not found between fatty liver and control groups. The subjects with ε2 allele have significantly lower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compared with the subjects with ε3 allele in both groups. In the fatty liver group, serum lipid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ubjects with ε4 allele and ε3 allele. The odds ratios for fatty liver were 3.47 (95% CI 2.53-4.77) for obesity (BMI ≥ 25 kg/m²), 2.13 (95% CI 1.60-2.86) for hypertriglyceridemia, 1.77 (95% CI 1.38-2.27) for high LDL-cholesterol level, 0.45 (95% CI 0.28-0.72) for high HDL-cholesterol level, and 0.64 (95% CI 0.47-0.87) for ε4 allele. In conclusion, obesity, hypertriglyceridemia, and high serum LDL-cholesterol level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fatty liver. High serum HDL-cholesterol level and ε4 allele decreased the risk for fatty liver. This study suggests that ε4 allele may have a protec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fatty liver independent of body mass index and serum lipid le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