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 현황 및 활성화 방안

Title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 현황 및 활성화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Art Studios and Proposals to Improve Their Efficiency
Authors
허윤선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조형예술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Art Studios, which are currently debated in an art policy of artists’ supports; creative activities and cultural exchanges. Also this study is based on needs of difference developmental methods from current methods to support artists’ creative activities in better condition. It is mainly for Art Studios with the residency program. The Art Studios are the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o assist artists’ creative activities. The characters, they have, are supporting creative work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to residency artists to have chances for the various experiences. International Art studios are based on their owned foundation purposes, structures and programs so they are very professionally organized compared to domestic Art Studios. First, there is no article of Art Studios support in current Culture and Arts Promotion Law. Second, there is no general concept establishment of Art Studios. These force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not being helpful systematically. Under these circumstances, domestic Art Studios are unstructured and they stay giving only short-term working spaces. Since Art Studios have been known to art-related people, they realize Art Studios’ unknown characteristics and special qualities; it became necessary to research more about Art Studios. This study is investigated on six different domestic organizations and employees to find the actual conditions of management and problems. Moreover it investigates seven differ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ich contains lively supporting art creation, cultural exchanges within community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Domestic Arts Studios use these materials to develop them to be more active. After analyzing domestic Art Studio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e view from operation system; 1. financial difficulties- the funds rarely helps the system to be circulate 2. personnel shortage- lack of professionals and unstable working condition 3. facility- unequipped space structures; no facility for specific field The view from operation details; 1. program- current system is not being active 2. theme- no discrimination among individual organizations 3. function- staying only in short-term space offer It is time to study more about domestic Art Studios special qualities. The result of International Art Studios’ case study and domestic Art Studios employees’ survey are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al method. Firs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policy for financial support to the Art Studios and extend the research in this field. This study suggests performing registration policy and evaluation model for the management of cultural facilities. Second, domestic Art Studios faculty should establish foundation objective and distinguish specific field. To improve the operation of organization, it needs to hire more experts. Domestic Art Studios could use network system to make interactions with other Art Studios. Third, the program should have uniqueness by producing new residency program policy and new way of selecting artists. Also,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he local art center and local government need to cooperate with domestic Art Studios so that expand opportunities to local cultural exchanges. For the domestic cultural art development, it is valuable to propose cultural foundation to be expanded. The study of Art Studios activity is suggesting the essential qualities and future methods on domestic Art Studios.;본 연구는 최근 예술가의 창작활동 및 교류활성화 지원정책으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미술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연구이다. 오늘날 미술창작스튜디오의 활성화는 국내, 외 미술계의 주목할만한 현상으로 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제도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그러나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는 문화예술진흥법상에 법령이 부재하고 합의된 개념이 정립되지 않아,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체계적이지 않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운영체계와 프로그램이 전문적이지 않고 그 기능이 물리적인 창작공간의 제공에 그쳐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가 보다 효율적으로 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다른 발전방안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국내, 외 미술창작스튜디오의 사례연구와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 운영자 대상 인식조사를 시행하고 이를 분석하여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일정기간 예술가에게 창작공간, 편의시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국내, 외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는 문화예술기관으로 예술가에게 일상생활의 의무에서 벗어나 새롭고 질적으로 나은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1960년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미술창작스튜디오는 1992년 미국 창작실 연합(Alliance of Artists Communities)과 1993년 국제 창작실 프로그램 협회(Res Artis)의 설립을 통해 기관간의 교류가 확대된다. 미술창작스튜디오의 설립과 확산은 각국의 문화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발전하였기에 등장배경을 정책적인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창작활동지원, 문화예술교류, 문화유산 및 전통보존, 경제여건 개선을 위해 정책적으로 지원된다.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예술가들의 창작력을 도모하는 환경을 제공하여 창작역량을 고양하고, 지역적, 국제적인 범위의 문화교류를 활성화하고, 국가적으로 역사적인 장소에 위치한 경우, 문화유산 및 전통보존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창작활동에 참여한 대가를 지원하여 열악한 예술가들의 경제환경완화를 목표로 한다.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창작지원, 지역문화교류지원, 국제문화교류지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창작지원의 경우, 비영리적으로 창작환경을 제공하고 경력개발의 기회를 제공하여 예술가들의 창작과 참여의욕을 고취한다. 지역문화교류지원의 경우, 지역사회의 문화발전에 기여하는 사회문화적 기능을 동시에 병행하고 그 자체로 존재의의가 된다. 국제문화교류지원의 경우, 최근 자국 예술가에 대한 지원에 한정하지 않고 외국 예술가를 초청하여 자국의 문화를 홍보하고 국제흐름을 수용하는 국제문화교류의 측면을 중시한다. 다양한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예술가에게 확장된 범위의 교류와 경험을 제공한다.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는 1990년대 후반 예술기관 및 시설운영 활성화를 지원하는 문화정책의 영향으로 설립이 확산되어 현재 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주도로 40여 개의 미술창작스튜디오가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일상적인 작업공간으로서 미술창작스튜디오와 단기체류를 통한 예술가의 창작활동과 교류 활성화를 목표로 입주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미술창작스튜디오간의 개념구분이 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인 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술가의 창작활동 및 교류지원을 목표로 입주프로그램을 제도적으로 운영하는 미술창작스튜디오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입주프로그램을 제도적으로 운영하는 창동창작스튜디오, 고양창작스튜디오, 양산동 창작스튜디오, 가나아뜰리에, 영은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쌈지스튜디오를 대상으로 사례연구와 운영자 인식조사를 시행한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운영체계의 측면에서 재정의 경우, 지원의 근거가 되는 법령의 부재로 설립 및 운영주체의 재정지원으로만 운영되고 있으며 원활한 기관운영과 사업확장을 위한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직 및 인력의 경우 운영주체와 중복되어 기관 고유의 성격을 파악할 수 없다. 특히 전문인력의 활용이 저조하고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제도적인 여건이 미흡하다. 시설의 경우 기본적인 창작활동을 위한 여건이 마련되어 있으나 전문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은 제한적이다. 운영내용의 측면에서 현재 운영중인 프로그램은 비활성화되어 있고, 명확한 목표의 부재로 기관별 차별화되지 않고, 그 기능이 단기간의 작업실 제공에 국한되어 있다. 현재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사업에 대한 개념정립과 함께 특성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기이다. 미국, 프랑스, 일본의 미술창작스튜디오는 각국의 문화정책과 연계되어 전국적으로 운영이 활성화되고, 중앙정부, 지방정부, 민간 등 다양한 지원주체에 의해 재정지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지역별, 규모별, 장르별로 특성화되어 전문적인 문화예술기관으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선진화된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유한 목표를 바탕으로 특성화된 운영을 나타내는 레이그데일재단(Ragdale Foundation), 칼라예술연구소(Kala Art Institute), 존 마이클 콜러 예술센터(John Michael Kohler Arts Center), 헤드랜드 예술센터(Headlands Center for the Arts), 교토예술센터(Kyoto Art Center), 북유럽 현대미술기구(Nordic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 스웨덴 국제스튜디오 프로그램(International Artists Studio Program in Sweden)을 대상으로 사례연구한다. 분석결과, 외국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설립목표와 취지에 따라 각 기관별 운영체계가 차별화되어 있고 재정지원의 경로가 다양하고 부서별 역할분담이 세분화되어 있다. 운영내용은 창작지원, 지역문화교류지원, 국제문화교류지원의 역할을 다양하게 수행하고 각 기관별 프로그램의 특성화를 통해 개성적인 프로그램의 표방과 진행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활성화 방안은 국내에서 시도되지 않은 외국사례와 국내 미술창작스튜디오 운영자 인식조사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지원제도, 운영체계, 운영내용의 측면에서 다음의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지원제도의 측면에서 우선 지방자치단체는 공,사립 미술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직,간접적인 재정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용되고 있는 제도 중 미술창작스튜디오에 도입 가능한 정책으로 등록제도의 시행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미술창작스튜디오간의 차별성 확립∙프로그램 개발∙정보제공을 위해 정책적인 차원의 조사∙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문화기반시설 운영평가사업의 대상기관에 미술창작스튜디오를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운영체계의 측면에서 우선, 고유한 설립목표를 정립하여 기관간의 차별성 및 기능상의 분화를 이루어야 한다. 다음으로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기관운영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관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교류를 통한 창작기반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운영내용의 측면에서 우선, 프로그램의 특성화를 위해 입주프로그램의 유형과 예술가 선정방식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장르간 및 학제간의 연계 프로젝트 기획, 공공미술 프로젝트 기획, 거장예술가(master artist)중심 프로젝트 기획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전문적인 국제문화교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기관을 홍보하고, 국내, 외 예술가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문화를 국제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지역문화연계 프로그램 개발, 국제 네트워크 가입, 외국예술가 및 비평가 초대, 특정국가간의 권역형성, 외국거점 미술창작스튜디오 설립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문화교류 기회의 확장을 위해 지역문화예술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야 한다. 미술창작스튜디오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는 예술가의 창작활동과 교류활성화를 지원하는 미술창작스튜디오의 기본성격과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 국내 문화예술발전을 위한 문화기반 확대의 방안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