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지애-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reator이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9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35-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야스퍼스의 상호소통(Kommunikation)이 철학교육적 탐구공동체(Community of Inquiry: COI)와 연결가능성을 가진다는 논제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는 야스퍼스의 상호소통과 철학교육을 비교고찰하여 철학교육적 합치점이라는 이해에 도달하려 했다. 상호소통은 야스퍼스 철학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개념이며 그의 철학 전반에 스며있는 근본사상으로, 삶의 구체적인 체험에서 출발하여 ‘소통’이라는 인간의 참된 관계를 제시하고 다른 실존과의 연대성을 해명하고 있다. 논자는 소통을 통한 실존의 해명이 상호존중을 통한 관계의 공동체로 말미암는 철학교육에 있어 중요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고 보고, 야스퍼스가 주장했던 연대성이 철학교육론의 핵심적 사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 논문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야스퍼스에 의하면 인간은 고독과 상호소통의 양극성에 있어서 비로소 자기자신일 수 있다. 상호소통을 위해 가장 먼저 요구되는 것은 사랑으로, 사랑은 그 자체로 상호소통이라 할 수 없으나 상호소통에 선행하면서 상호소통을 실현하는 근원이 된다. 상호소통의 전제로서의 고독과 사랑은 탐구공동체의 고독공감적 요소와 연관성을 가지며, 이때 야스퍼스의 고독은 상호소통을 위한 심열성복(心悅誠服)적 요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상호소통이 자발적으로 관심과 이해의 공감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이를 위해 필요한 모든 가치도 자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야스퍼스가 상호소통을 통해 주장하고 싶었던 것은 바로 내적이고 정신적인 변화였는데, 이는 변화와 성장의 탐구과정을 통해 삶을 성장시키고자 하는 철학교육의 전제와 연결점을 갖는다. 둘째, 철학교육의 탐구공동체에서 중요한 주제인 다차원적 사고(Multidimensional Thinking)와 상호소통을 통한 변화에서 밝혀진 것처럼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만으로는 진정한 지식에 도달할 수 없다.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바로 배려적 사고(Caring thinking)인데, 모든 사고에서 인격적인 면을 제외한다면 그것은 단지 지식의 습득을 위한 사고에 지나지 않게 된다. 경험의 소통이고 대화인 탐구공동체에서 정서는 또 하나의 선택이고 결정이요 판단이 되기 때문이다. 인격 안에서 작용함(working)이 없는 지식, 관계 안에서의 소통을 제외한 지식은 자기변화의 과정을 가져올 수 없다. 셋째, 상호소통의 방법의 측면에서는 ‘언어’ 를 통해 사유에 도달한다는 점에서 야스퍼스와 탐구공동체 사이에 동일한 면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야스퍼스의 언어는 낱말(Wort)과 기호(Zeichen)를 구별함으로써 보편타당한 기호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역사적이고 일회적인 상호소통으로 나아가는 방법이었고, 탐구공동체의 ‘대화’ 는 기호적인 구별을 넘어 ‘사회적-상호적 탐구방식’ 을 통해 공동체 전체의 성장이라는 목표를 갖고있다는 점에서 그 차이점을 보였다. 탐구공동체에서의 ‘대화’ 는 소크라테스트의 대화법(dialectike)을 기본적인 전제로 시작하여 대화의 방법을 통해, 묻고 대답을 얻는 자기수정의 방법이며 존재론의 함의를 갖는, 텍스트와 텍스트 바깥을 구분하지 않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상호소통의 현현(顯現)에 대해서는, 사회적 교제를 강조하며 공동체의 필요성과 이러한 모든 실천들이 교육에 의해 가능하다고 본 점에서 동일함을 보였다. 야스퍼스는 상호소통이 토론과 정치적 교제에도 나타날 수 있지만, 단 이것이 상호대화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지배와 비인격적인 형식을 가진다면 상호소통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고 보았다. 야스퍼스가 강조했던 것은 진정한 교제 안에서의 본래적인 존재실현이었으며, 상호소통 안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핵심은 인간존재의 실현이라는 가치였기에 교제의 기능을 상실한다면 더 이상 실존적 상호소통의 가능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탐구공동체에서 상호소통의 현현(顯現)은 토론을 통해 나타나며 참여적 사회를 향해 나아가는 민주주의 교육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이러한 토론은 탐구공동체에서 행해지는 모든 인지적 행위를 의미하며 이러한 인지적 과정가운데 상호소통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소통은 탐구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상호관용의 덕을 계발하게 되고 대화를 통해 중지를 모아가는 ‘참여적 사회(participatory society)' 를 향한 민주주의 교육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끝으로, 논자는 상호소통이론이 사회행위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인간의 내적변화를 통하여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려 하는 그의 노력은 말 그대로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상호소통론의 현실적용 문제를 제시하였다. 야스퍼스의 세계철학은 모순과 한계를 보이지만 그 자신이 원한 것은 세계적, 총체적인 통일에의 소통이라는 방법론으로서의 재해석이었기에, 오히려 철학교육적 방법론의 다양한 소통의 가능성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소통은 최근에 논의되는 다문화주의와 간문화적 대화(타종교간의 소통을 포함하여)의 적극적인 연결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한 문화 안에서 성장하고 언어와 실천을 공유한 인간은 삶의 공동의미를 갖게 되는데, 타자와 삶의 가치를 공유함으로써 공동체에 기반하여 살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이 야스퍼스와 탐구공동체는 상호소통의 측면에서 많은 동일성을 보였고, 교육적인 양상의 연결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야스퍼스는 자신의 사유를 ‘과정에 있는 것’이라 말하였다. 물론, 그의 철학이 완성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새로운 사유를 암시하는 것이라면 이미 거기에는 진리의 특성이 배어있는 것이며, 근본적으로 상호소통하려는 의지를 지니고 있으므로 그의 사유는 아직도 상호소통의 안에 있으며, 과정 안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야스퍼스와 철학교육적 탐구공동체의 소통이 단지 이론적인 소통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상호소통과 그 상호소통을 통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의 가능성으로 나아갈 것을 기대하면서, 논자의 철학교육의 실존철학과의 연결가능성을 제시해보였다.;This thesis is a study is to support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between the theory of Karl Jaspers Communication and Community of Inquiry in Teaching Philosophy. For the exploration of the potentiality, the thesis pursues the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of Teaching Philosophy, by means of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Jaspers' philosophical concept of 'communication' and Teaching Philosophy.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is a general idea penetrating in the philosophy of Jaspers. It originates from the concrete experience of each individual and constitutes the authentic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as well as explaining the sense of solidarity with other individuals. The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xplanation of existence with the help of communication is closely linked with the foundational concept of "thinking" in Teaching Philosophy, which is built on the mutual respect in a community. For this, the study manifested that the sense of 'solidarity' which Karl Jaspers identified is closely related to the core idea of Teaching Philosophy. The main arguments of this thesis are unfolded a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Jaspers suggests that the individual can be oneself when she is situated in the polarity of solitude and communication. To realize the communication, love is primarily required and the love cannot be communicated by itself, but the love becomes an origin which not only realizes communication but also precedes communication. The solitude and love as precondition of communication relates with 'solitude-empathic' factors in the Community of Inquiry, and the solitude in Jaspers' philosophy brings out praiseworthy persuasion leading to the communication. It is because the all values should be voluntarily developed according to communication which is originally formed on the bond of sympathy and mutual-understanding. What Jaspers sought in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was intrinsic and mental changes, which associate with the prerequisites of Teaching Philosophy that intends to enrich the life of individuals throughout the exploration process of the educational change and growth. Second, Since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of Teaching Philosophy are not enough to lead to existential knowledge in the change through communication, a new aspect of the 'Multidimensional thinking', which is the recent theme of Community of Inquiry in Teaching Philosophy, is need to discuss: Caring thinking. If aspects of personality would not exist in every thinking process, thinking only ends up the process to acquire knowledge. Because the emotional aspect of Caring thinking becomes one possible form of choice, determination and judgment, Caring thinking in the Community of Inquiry is a mode of including both communication and dialogue. Knowledge which does not work in personality, nor include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 definitely fails to achieve the self-correcting process. Third, in regard with communication method, there are common aspects between Jaspers and Community of Inquiry at the point of reaching 'thinking' through 'language'. The 'language' in Jaspers' philosophy differentiates itself from word and sign, and means the methods to achieve historical and one-off communication that delivers meanings by universal 'sign'. Whereas 'dialogue' of Community of Inquiry is not merely symbolical distinction, but it sets its objectives to achieve growth of community by 'social-communal inquiry format'. It is because the 'dialogue' of Community of Inquiry is the language which does not differentiate the internal and external of text, while it means the way of self evolution by asking and responding through the methods to communicate on the basis of Socratic method.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dialogue' also implies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With regard to the 'manifestation (Offenbarwerden)' of communication, a similarity can be found in the emphasis on the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necessity of community, whose practice can be realized by education. Jaspers insists that communication can be formed in the process of the discussion and political association, but it does not work without the form of interactive dialogue and personality. As Jaspers emphasized, the realization of oneself in the authentic association and the communication without the role of association does not have any possibility to the existential communication. However, in the Community of Inquiry the manifestation of communication comes into existence by 'discussion' and reveals the democratic education progressing to the participatory society. The discussion means every cognitive behavior in the Community of Inquiry;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is developed in the cognitive process, creates the virtue of mutual generosity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of Inquiry, and leads the democratic education culminating participatory society based on the consent among members. In the long run,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theory of communic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aspects of social behaviors. Otherwise, Jaspers' efforts to develop new forms of society by the internal changes of human being would end up the practical limitations in real society. Nevertheless, the philosophy of Jaspers has the potential of communication as the methodology of Teaching Philosophy since his philosophy was a methodological attempt to communicate into the integration as a whole. In addition to that, his theory of communication could be the positive connecting points between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dialogues which are being discussed recently. Human beings who share the experiences, language, culture in the same community are able to live with other individuals by recognizing the meaning of lives. Finally, the study concludes that Jaspers' theory of communication and Community of Inquiry have in common aspects of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nd have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in the educational modes of teaching philosophy. Jaspers evaluates himself that his own philosophy is not completed yet and it is 'being in the process'; however, hence 'being in the process' implies new 'thinking', it holds the traits of truth. All these arguments in this thesi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between the existential philosophy and Teaching Philosophy, and hopefully expect the potentialities in a real context to realize the communication and practical changes in each individual life. Therefore, this thesis would be a study beyond the theoretical discussion between Jaspers' communication and its reconstruction for the mode of Community of Inquiry in Teaching Philosoph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ⅱ Ⅰ. 서론 = 1 Ⅱ. 철학교육에서의 탐구공동체 = 5 (1) 철학함과 탐구공동체 = 8 (2) 소통으로서의 철학교육 = 14 Ⅱ.야스퍼스의 ‘상호소통’의 개념 = 18 (1) 존재의 의식에서의 상호소통의 근거 = 21 (2) 실존의 의식에서의 상호소통의 근거 = 27 Ⅲ. 다차원적 사고와 상호소통을 통한 변화 = 35 (1)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와 자기자신의 사고작용을 거친 탐구 = 38 (2)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와 지식을 통한 재창조의 가능성 = 41 (3) 배려적 사고(caring thinking)와 관계를 통한 화해의 원리 = 43 Ⅳ. 상호소통론과 철학교육 = 47 (4-1)상호소통의 전제와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고독공감적 요소 = 48 (4-2)상호소통의 방법과 소크라테스의 '대화법(dialectike)'에서의 실천의 문제 = 50 (4-3)상호소통의 현현(顯現)과 참여적 사회(participatory society)를 향한 철학교육 = 57 (4-4)상호소통론의 현실적용문제 = 63 결론 = 68 참고문헌 = 71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62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야스퍼스의 상호소통 개념과 철학교육적 탐구공동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mmunication theory of Jaspers and Community of Inquiry in Teaching Philosophy-
dc.creator.othernameLEE, Hyun-Ju-
dc.format.pageiv,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