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철-
dc.contributor.author金夏景-
dc.creator金夏景-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8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9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894-
dc.description.abstract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소아 정신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장애 중 하나로 학령기에 학업 수행의 문제를 낳고 나아가 사회 적응의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 뿐 아니라 원인을 밝혀내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납의 체내 축적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발병에 위험 인자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정상 대조군에서 혈중 납 농도 수준을 비교하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혈중 납 농도와 행동 및 인지기능에 관한 신경심리 검사 결과 값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이대목동병원 신경정신과에 방문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진단된 환자군 21명과 같은 지역 내 초등학교 학생들에서 선별한 대조군 21명이었다. 대상들 모두에 대해 단축형 한국판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 및 코너스 평가 척도,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를 시행하였고, 혈중 납 농도를 측정하였다. 환자군에 대해서는 인지 기능의 검사를 위해 한국판 주의력 장애 진단 시스템, 스트룹 검사, 같은 그림 찾기, 선로 잇기 검사 B형을 실시하였다. 두 군 간의 혈중 납 농도를 비교하고 환자군에서 혈중 납 농도와 각 신경심리 검사 결과 측정값들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군과 대조군 간에 나이, 사회경제적 상태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각각 p=0.003, p=010), 성별과 형제 서열 및 지능에 있어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각각 p=0.688, p=0.813, p=0.234). 2. 혈중 납 농도는 환자군에서 2.29±0.94μg/dl, 대조군에서 1.91±0.89μg/dl이었다. 3. 환자군에서 혈중 납 농도와 각 신경심리검사 결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부모가 평가한 행동평가척도 중 학업 수행과는 의미 있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 -0.419, p= 0.049), 인지 기능 중 전두엽의 기능을 반영하는 실행 기능 평가인 선로 잇기 검사 B형에서 완성 시간과 오류 수가 정반응의 경향성을 나타내었다(각각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 = 0.407, 0.404, p= 0.067, 0.069). 결론적으로 납에 대한 노출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발병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증상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두엽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다.;Clinical studies have shown that lead exposure may influence intellectual function and behavioral problems, particularly in growing children and these findings have been suggested as evidence of organic bases in the pathophysiolog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lead exposure would be a risk factor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we also tried to find out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 and behaviour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aged 6-12, twenty one for each group, were assessed for intelligence and behavioral problems by means of Abbreviated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Revised,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were assessed for blood lead level. Cognitive functions were evaluated b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agnostic System, Stroop Test, Matching Familiar Figure Test, Trail Making Test B for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group. And then we compared blood lead level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 and outcome measure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The results were 1) Mean blood lead level of the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185). 2)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 and scores of school performance subscale of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parent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 -0.419, p= 0.049),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 and completing time and errors of Trail making test B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 = 0.407, 0.404, p= 0.067, 0.069, respectively),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d exposure may no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ut affect the function of the frontal lobe which has an important role in manifestation of the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I. 서론 = 1 II. 연구 대상 및 방법 = 4 III. 연구 결과 = 9 IV. 고찰 = 13 V. 결론 = 15 참고 문헌 = 16 ABSTRACT = 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9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납 농도와 행동 및 인지기능과의 연관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of Blood Lead Level and Behaviour and Cognitive 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c.creator.othernameKim, Ha Kyoung-
dc.format.page6, 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