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미혜-
dc.contributor.author金兌恩-
dc.creator金兌恩-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8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9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893-
dc.description.abstract양수과소증은 전체임신의 0.5-5.5%에서 발생하며, 양수양이 400 mL 이하인 경우 양수과소증이라 정의되나, 자궁내 양수양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양수지수가 5 cm 이하이거나 양수지수가 해당 임신주수의 5th percentile 이하인 경우로 정의되고 있다. 양수과소증의 원인은 대부분의 연구에서 자궁내 만성 저산소증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양수양의 감소는 오랜 시간 동안의 자궁태반 관류부전 상태를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임신성 고혈압이나 자궁내 태아발육지연 등의 위험인자를 가진 고위험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이 동반되는 경우 태아곤란증, 높은 주산기 사망률 등 불량한 주산기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궁내 태아발육지연, 임신성 고혈압 등의 위험인자가 없는 저위험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양수과소증이 자궁내 저산소증을 나타내는 독립적인 지표로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이 없는 상태이다. 자궁내 저산소증을 나타내는 지표로 최근 제대혈 적혈구조혈인자 및 유핵적혈구가 제시되고 있다. 적혈구조혈인자는 태아나 성인의 간 또는 신장에서 분비되는 적혈구조혈작용을 하는 당단백호르몬으로 조직의 산소분압이 감소되는 경우 분비되며, 유핵적혈구는 미성숙 적혈구로 적혈구 생산이 증가되면 말초혈액으로의 미성숙 적혈구 유출이 관찰되며, 소수의 유핵적혈구는 대부분의 태아에서 발견되는 생리적인 현상이나 그 수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 자궁내 저산소증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및 저체중아에서 양수과소증과 출생시 제대정맥혈의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정상체중아와 저체중아에서 양수과소증이 자궁내 저산소증에 대한 지표로서 의미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997년 9월 1일부터 2001년 9월 30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 및 목동병원, 대전 을지병원에서 분만한 임신 32-42주의 단태아 2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정상체중아군과 저체중아군으로 분류하고, 정상체중아군에서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129예를 1군, 정상체중아군에서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15예는 2군, 저체중아군에서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57예는 3군, 저체중아군에서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11예는 4군으로 분류하여 1군과 2군, 3군, 4군 간에 제대정맥혈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적혈구조혈인자와 유핵적혈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적혈구조혈인자 및 유핵적혈구와 제대정맥혈 가스분석치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체중아이면서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군(2군)은 정상체중아이면서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군(1군)에 비해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저체중아이면서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군(3군)은 정상체중아이면서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군(1군)에 비해 적혈구조혈인자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유핵적혈구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저체중아이면서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군(4군)은 정상체중아이면서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군(1군)에 비해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4. 적혈구조혈인자와 유핵적혈구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제대정맥혈 가스분석치는 적혈구조혈인자보다 유핵적혈구와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저체중아에서의 양수과소증은 자궁내 저산소증의 지표로서 유의한 의미가 있으나, 정상체중아에서의 양수과소증은 저체중아에 비해 태아상태에 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유핵적혈구가 적혈구조혈인자에 비해 병적인 저산소증과 더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Oligohydramnios reflects long term uteroplacental insufficiency and is related with intrauterine chronic hypoxia. Particularly, in high risk pregnancies, such as preeclampsia and IUGR, oligohydramnios is related with adverse perinatal outcomes. However isolated oligohydramnios in low risk pregnancies has not been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o determine wether it has the relationship with the intrauterine hypoxic markers. Recently, cord blood EPO and nRBC have gained attention as the intrauterine hypoxic markers. EPO is glycopeptide hormone produced in fetal or maternal liver and kidney. It is well known that EPO level elevates in the condition of tissue hypoxia and elevated EPO level is related with preelcampsia, DM and IUGR. nRBC is immature erythrocytes and elevated nRBC counts suggests chronic hypoxia such as IUGR, preeclampsia, perinatal brain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igohydramnios and umbilical venous blood EPO levels and nRBC counts,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oligohydramnios as intrauterine hypoxic marker in AGA and SGA fetuses. EPO and nRBC were measured in 217 singletons with a gestational age of 32 to 42 weeks at deliver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A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n=129), group 2 (AGA with oligohydramnios, n=15), group 3 (S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n=57) and group 4 (SGA with oligohydramnios, n=11). EPO levels and nRBC counts in group 2, 3 and 4 were compared to those in group 1 using Mann-Whitney U-test. Relationship between EPO and nRBC was assess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relationship between results of umbilical venous blood gas analysis and EPO/nRBC was assessed using the same method. P-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umma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EPO levels and nRBC counts in AGA with oligohydramnios (group 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A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group 1). 2. EPO levels in S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group 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group 1). 3. EPO levels and nRBC counts in SGA with oligohydramnios (group 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group 1). 4.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PO and nRBC. 5. Parameters obtained from the umbilical venous blood gas analysis were more related with nRBC than EPO. In conclusion, oligohydramnios was significant intrauterine hypoxic marker in SGA fetuse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oligohydramnios on antenatal fetal condition might be less severe in AGA fetuses than in SGA fetuses. Moreover, it was likely that nRBC had stronger association with pathologic hypoxia than EPO di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 4 A. 연구대상 = 4 B. 연구 방법 = 7 C. 통계 분석 = 8 III. 연구 결과 = 9 A. 환자특성 = 9 B. 적혈구조혈인자와 유핵적혈구와의 상관관계 = 12 C. 제대정맥혈에서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와 가스분석치와의 관계 = 14 D. 정상체중아와 저체중아에서 양수과소증 동반 유무에 따른 제대정맥혈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의 비교 16 IV. 고찰 = 18 V. 결론 = 22 참고문헌 = 23 ABSTRACT = 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21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상 및 저체중아에서 양수과소증과 정상 및 저체중아에서 양수과소증과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Oligohydrmanios and Umbilical Venous Blood Erythropoietin Levels and Nucleated Erythrocyte Counts in Appropriate and Small for Gestational Age Fetuses at Birth-
dc.creator.othernameKim, Tae Eun-
dc.format.pageix, 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