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6 Download: 0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교 교감의 수업지도성과 교사 수업행동과의 관계

Title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교 교감의 수업지도성과 교사 수업행동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ce-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eaching Behavior
Authors
한혜성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which are practiced in school are the sections concerned with instruction. The core of school education consists in teach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and its success or failure depends on the instructor's ability and improvement. Those are in a way personal but, in other ways, it should be supported by the institution and that is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required of those who are concerned with school administration. In Korea's case, we can learn from prior research, that relate to administration affairs associated with the principal and actual instructional leadership with the vice-principal, a need for new research about how a vice-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displayed should be considered. And it is also needed to inquire about the orientation for better supervision by investigating how instructors perform lessons and how much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vice-principals is affected on teaching behavior. In connection, the main study has, as an object, the teaching behavior of instructors, their recognition about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relations, and the influence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how it affect on their teaching behavior. The topic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How vice-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 which is comprehended by instructors in accordance with their environmental factors? 1-1-1 How does it vary with an instructor's career? 1-1-2 How does it vary with an instructor's sex? 1-1-3 How does it vary with an instructor's class of position? 1-2-1 How does it vary with the scale of a school? 2. What is the relation of vice-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 How does it vary with each school? 3. What is the total relation of vice-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 In the main work, we abstracted the elements of vice-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is of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 in order to pursue our study and made 2 questionnaires; one for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another for the teaching behavior. And also, we carried out a survey on 285 teachers in active service of the 13 schools selected among each of 11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conducted a in-depth interview of 4 interviewee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study of the survey (survey study). The gathered statistical data are analyzed by SPSS 11.0 and the interview data areand analyzed after have been transcrib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 One, instructors' recognition about vice-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as follows. The higher teacher's career rises, the higher they estimate the behavior of their vice-principal. And, in connection with their class of position, chiefs of teacher set a higher value on it than general teachers. But, the estimation barely differed by the sex and the scale of school. The teach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is that it's also affected in same way by their career. Chiefs of teacher gave a higher mark on the rate of teaching behavior of instructors. But, it also barely differed by the sex and the scale of school. Two, each school has different relationships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with the teaching behavior. Three, the relationship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with the teaching behavior was appeared to have intimate relations showing a high Correlation significant of 0.617. In instructional leadership factors, direct instructional leadership factors were appeared.;학교에서 행해지는 활동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업과 관련한 부분이다. 학교교육의 핵심은 교수-학습활동이며 교수-학습의 성패는 교사의 교수능력과 개발에 달려있다. 교수능력은 교사의 능력이라는 개인적인면도 있지만, 학교에서 역시 교사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것이 바로 학교 행정가에게 요청되는 수업지도성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교장의 역할이 주로 관리기능에 치우쳐 있고 실제 수업지도를 교감이 담당한다는 선행연구들로 볼 때 교감의 수업지도성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리고 과연 교사는 수업을 어떻게 행하고 있으며, 교감의 수업지도성은 교사의 수업행동에 어떻게, 얼마만큼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더 나은 학교장학을 위한 방향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감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수업행동, 교감의 수업지도성이 교사의 수업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얼마만큼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배경 요인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수업지도성 행위와 교사의 수업행동은 어떠한가? 1-1-1 교사의 근무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1-1-2 교사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1-1-3 교사의 직급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1-2-1 학교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2. 학교에 따라 교감 수업지도성 행위와 교사의 수업행동은 어떻게 다르며, 교감 수업지도성과 교사 수업행동과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교감의 수업지도성 행위와 교사의 수업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교감의 수업지도성 요인과 교사의 수업행동 요인을 추출하였다. 교감 수업지도성 하위 요인으로는 학교의 교육적 목표제시, 수업지원, 수업개선, 학업 성취 확인의 4요인이 추출되었고, 교사의 수업행동은 수업과정의 명확성, 학생참여와 동기유발, 교수-학습 방법, 교육방법, 학생 개개인에 맞는 학습 경험과 교육내용, 학습을 위한 환경조성, 유지, 학생학습평가의 6요인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각 하위요인들을 가지고 교감 수업지도성 설문지와 교사 수업행동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서울시 11개 교육청 별로 1-2학교를 선정하여 총 13학교에 재직 중인 28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시된 설문조사의 연구 결과에 따라 심층면담대상자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통계자료는 SPSS 11.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면담 자료는 전사한 뒤 각 영역에 맞는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교감의 수업지도성 지각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교감의 수업지도성 행위 점수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직급에 따른 교감의 수업지도성 행위점수는 부장교사가 일반 교사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성별, 학교규모에 따른 교감 수업지도성 행위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교사 수업행동 지각 결과는 교사의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교사 자신의 수업행동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직급에 따른 교사 수업행동 점수는 부장교사가 일반 교사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성별, 학교규모에 따른 교사 수업행동 점수 차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13개 학교별로 수업지도성과 수업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각 학교별로 매우 달랐다. 이는 각 학교별의 특징과 교감의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였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셋째, 교감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행동과의 관계 일반화를 위하여 282개의 설문지를 모두 합하여 통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로 높은 Pearson 적률상관계수(0.617)를 나타내어 교감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행동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지도성의 여러 요인 중 직접적 수업지도성에 해당하는 학업성취 확인이 교감의 주된 수업지도성 발휘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수업행동 중 학생 참여와 동기 유발이 교감의 수업지도성 영향을 많이 받는 항목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면담내용을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의 수업지도성과 관련하여 경력이 증가할수록 교감의 수업지도성 점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면담의 내용을 근거하면 전반적으로 경력이 증가할수록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점수를 후하게 주려는 경향도 함께 높아져 교감의 수업지도성을 긍정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부장 교사의 말을 종합해보면 초임의 시각과 경력교사들의 시각이 다르고, 원하는 수업지도성 발휘 분야도 다르기 때문에 교감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점수가 차이가 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교감은 수업지도성 발휘를 할 때 각 교사들이 원하는 수업지도성 발휘 분야에 맞게 수업지도를 발휘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교사 개인 특성에 맞는 교감 수업지도성이 발휘 될 때 수업지도자로서의 교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감의 수업지도성을 일반 교사보다는 부장교사가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내용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부장 선생님들의 접촉빈도가 다른 선생님들보다 높고, 학교 사정에 관해 내막을 잘 알기 때문에 교감의 수업지도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교감 선생님의 면담 내용을 보자면 부장교사와 일반 교사의 수업지도와 지원이 다르기 때문에 부장교사와 교사의 지각정도가 다른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교감은 교사들과의 잦은 접촉을 통해 교사에게 필요한 수업지원을 해주고, 각 개인 교사에게 맞는 수업지도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급 수 변인, 즉, 복수교감과 단수교감의 수업지도성 발휘 차이가 없게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고유의 교감제 특성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다. 우선, 단수교감의 역할과 복수교감의 역할이 분류되기는 하지만 학교를 옮길 때에는 그 학교의 실정에 맞게 역할을 해야 하므로 한 사람이 단수교감을 운영하는 학교에 발령이 나면 단수교감의 역할을, 복수교감제 학교에 발령이 나면 복수교감으로서의 역할 담당 업무를 해야 하는 등 발령지에 따라 늘 바뀌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교감의 수업지도성 역할 발휘를 위해서는 교감의 좀 더 전문적인 업무 분야가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사의 수업행동 점수는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이 보였다. 이는 경력이 쌓일수록 수업에 대한 노하우가 증가되기 때문에 선생님들의 수업 자신감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력이 증가할수록 수업 기술 자체만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기 보다는 여러 가지 소재와 내용을 많이 가지고 수업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업 자체만이 아니라 아동과 가정까지 연계하여 수업을 바라보고 교우관계까지 고려한 수업을 하고 아동 개개인의 특성을 고쳐줄 수 있기 때문에 만족도가 증가하고 자신감이 증가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은 중, 고등학교와는 다른 초등학교에서 특히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 개인의 자신감과 만족도가 증가하고 이와 같은 경향이 수업에 대한 자기 평가 점수를 높게 지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부장 교사가 일반 교사보다 수업행동 점수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면담 내용에 근거하여 종합해 보면 일반 교사 선생님들은 부장 교사가 수업을 열심히 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부장 선생님의 경우에는 경력이 많고 본 것도 많기 때문에 수업에 대한 자신 감이 높아서 점수가 더 높다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물론 부장 교사 개인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전반적으로 부장의 업무가 많은 것을 추측할 수 있고, 여러 업무들로 인해 수업에 소홀해질 수 있는 경향이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부장 교사들 같은 경우에는 승진을 바라보고 있고, 자신감이 높은 경우가 많으므로 자신의 수업평가 점수를 높게 평가했으리라는 해석도 가능해진다. 하지만 경력이 높은 교사가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높다는 것을 생각하면 일반적으로 부장교사는 경력이 높은 교사가 주로 하기 때문에 이를 경력별 수업평가 점수와 같은 연장선에서 해석하여 경력에 따른 수업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13개 학교별로 교감 수업지도성과 교사 수업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학교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교감의 개인변인과 학교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을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일곱째, 교감의 수업지도성 영역 중 가장 많은 발휘를 하고 있는 것은 학생 학업 성취 평가이다. 이는 직접적 수업지도성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교장이 주로 간접적인 수업지도성을 발휘한다는 국내 여러 선행연구들(김용정, 1997 ; 노민구, 1994 ; 이석열, 1997 ; 최희영, 2001) 과 비교해 볼 때 교장과 교감의 수업지도성 발휘 영역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장은 주로 관리 기능에 치중하고, 실제로 구체적인 수업지도성을 발휘하는 것은 교감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장과 교감의 수업지도성을 함께 연구한 전길상(1990), 선성수(199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감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행동,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있는 초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의 초등학교에 대한 현상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초등수준 뿐 아니라 각 수준의 학교에 대한 확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행동을 자기 평가로 하여 이루어졌다. 교사의 수업행동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의 평가와 더불어 상호평가, 참여관찰 등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과 심층 면담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좀 더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참여관찰과 같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학교 상황 변수를 여러 가지로 고려하지 못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교감 수업지도성과 교사 수업행동 변수 이외에도 이것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상황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양질의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교감만을 지각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감의 수업지도성을 밝혔는데, 후속연구에서는 교장과 교감의 수업지도성의 발휘의 구체적 차이를 밝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