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자-
dc.contributor.author송희승-
dc.creator송희승-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9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21-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창의적 지식이 사회·경제적 가치 창출과 직결됨으로써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지식기반사회로 들어섰다. 창의적 지식은 기존 지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새롭고 가치 있는 지식을 생산해 낼 수 있는 개인의 창의성을 매개로 할 때 가능한 지적 산물이다. 오늘날 세계 각 국, 그리고 사회 모든 분야에서 ‘창의성’을 강조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창의성이란 “문제나 과제에 대해 새롭고도 적절한 결과물을 산출해 내는 능력”을 말한다. 창의성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지식, 사고, 동기,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의 조합과 작용이 필요한데, 최근 창의성 연구에서는 특정 영역의 지식과 기능이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학교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각 교과의 지식에 해당되는 것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교과지식 중심의 초등 국어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및 국어과 창의성에 관한 학자들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논의한 후, 국어과 창의성을 국어적 상황과 국어과라는 특정 영역의 교과지식이 부각된 영역 특수적인 창의성 개념으로 재정의하였다. 둘째, 최근 창의성 논의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과지식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제7차 초등 국어과 교육 내용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 대안 모색을 위해 미국 California 주와 Massachusetts 주, 그리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의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모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위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가 제안한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모형을 ‘선택’하고, 이를 수정·보완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은 초등 국어과 5학년을 대상으로 Tyler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기본 원리에 따라 교육 목표 설정, 학습 경험 선정, 학습 경험 조직, 학습 경험 평가 순으로 개발되었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적용’의 과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Y공립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을 실험반으로 선정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총 18차시 투입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비교반은 현행 제7차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학습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투입 전·후에 국어과 창의성 평가를 위한 사전·사후 검사를 각 60분간 실험반과 비교반에 실시하였다. 검사는 산출물 중심의 수행평가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각각은 모두 감상 시 쓰기와 광고용 책 소개문 만들기라는 두 종류의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 실험반과 비교반 학습자의 창의성 변화량에 차이가 있는지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해 내용, 형식, 표현으로 구분된 국어과 평가 요소와 창의적 사고기능 요소들을 관련지어 수행 단계별 특성을 진술함으로써 국어과 창의성이 드러나도록 채점 기준을 개발하였다. 채점자간 신뢰도가 확보된 3인의 채점에 대한 SPSS 12.0의 두 독립표본 t검정 결과,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반의 창의성 향상도가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는 실험반 학습자의 사전·사후 검사 산출물 표본과 프로그램 종료 후 작성된 실험반 담임교사의 소감문을 통해서도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한 결론 및 논의는 첫째, 특정 영역의 지식과 기능이 학습자의 창의성 발현에 중요한 요소임이 입증됨으로써 앞으로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과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과지식은 창의성 발현의 기반지식으로 분명히 인식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때의 교과지식은 학문에 담겨진 지식에 근거해야 하며 지식의 구조로서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창의성의 각 요소들은 창의적 결과물을 산출하는 데 있어 그 역할의 정도는 다를 수 있지만, 어느 한 요소도 그 자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또한 교과지식을 중심으로 나머지 창의성 요소들도 고려하여 개발된 것이다. 따라서 교과지식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따른다 하더라도 창의성의 다른 요소들을 균형적으로 고려할 때, 효과적인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될 것이다. 셋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모형을 수정·적용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는 이 모형의 수정과 개선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거시적 모형이 앞으로도 프로그램 개발에 지속적으로 적용된다면 실제에 기초한,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이론의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순전히 교과지식 때문인지, 다른 창의성 요소나 교수방법 때문인지에 대한 논란과 관련된다. 이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문제로서 장기간의 수업 관찰, 교사 및 학생 면담 등을 통해 창의성의 다른 요소들과 프로그램 요소들에 대한 구조 및 관계를 드러내는 질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다.;The modern society has entered the knowledge-driven society where the creative knowledge decides the competitive edge of individuals and the nation being connected to the creation of social and economic values. Creative knowledge is the intellectual product that can be only produced when the medium is the individual creativity capable of creating new and valuable knowledge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knowledge. That's why every nation and every sector of society today has placed an emphasis on 'creativity'. In general, creativity refers to "the ability to produce both novel and appropriate products for a problem or a task." You need to make diverse factors such as knowledge, thoughts, motivations, and environment work in harmony and operate in order for creativity to be realized. In recent research on creativity, domain-specific knowledge has been raised as an important factor. Domain-specific knowledge corresponds to th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in the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program designed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based on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nd to apply it to actual classes. The process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development' were as follows: First, divers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regarding creativity in a general sense and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arts were reviewed, which was followed by a redefinition of the latter creativity in the domain-specific context with the Korean subject matter knowledge of a certain domain emphasized along with the Korean situations. Second, the problems with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of the Seventh Curriculum were identified in terms of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that had been brought up to the front in the recent discussion on creativity. The alternatives were searched for in the content models of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by Ewha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addition to the models of California and Massachusetts, which were examined in-depth. Third, the discussion and examination led to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model suggested by the institute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arts. The model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to be used in the program developmental process. Fourth, the development process followed the order of setting an educational goal, choosing learning experiences, organizing learning experiences and evaluating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fifth grade Korean language arts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class by Tyler. The processes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a fifth class of Y Elementary School was chosen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dministered with the developed program for 18 lessons. During the same period, the comparison group followed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of Seventh Curriculum in the class. Second, both the groups participated in the pre & post tests to evaluate their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ar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tests took the form of the products-based performance assessment containing two kinds of tasks, which were to write an appreciation poem and making a promotional introduction for a book. Third, whether there were changes to their creativity of the two groups was tested statistically. The scoring criteria were developed by associat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Korean language arts, which included contents, forms, and expressions, with those of creative thinking and by stat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stages in order to reflect the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arts. The scores of three persons whose inter-rater reliability was guaranteed were processed with the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of SPSS 12.0.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the program applied to improved their creativity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lso confirmed by the sample of pre & post test produ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by the comments by the homeroom teacher of the group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conclusions and discussions were as follows; first, since it's proved that the knowledge and functions of a certain domain were critical elements of the learner's creativity, they need to perceive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as the basic knowledge of creativity in designing a program for promoting creativity.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of course, should be based on the concerned academic knowledge and reflected in the form of knowledge structure. Second, each element of creativity is not enough for itself with its degrees of functions in evaluating creative products varying each time. The program in the study also had other creativity elements considered based on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Thus you need to think about the balance among the creativity elements in following the curriculum model based on subject matter knowledge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one. Third, the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which was the revised and complemented version of the contents model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designed by the Ewha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The results will offer the foundation data for future revision and improvement of the model. If such macroscopic model continues to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al process, it will of great help in forming curriculum developmental theories based on real practice and designed for more creativit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come from the fact that it's not sure if the program effects were based on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entirely or thanks to other creativity elements or teaching techniques. That question is hard to answer only wit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ogram. Thus it'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qualitative study on the structure and relations between other creativity elements and the program elements through long-term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절차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창의성 = 5 B. 국어과 창의성 = 7 C. 교과지식과 창의성 = 9 Ⅲ. 프로그램 개발 = 14 A. 교육 목표 설정 = 14 1. 교육 내용 선정 = 15 2. 차시별 학습 목표 설정 = 35 B. 학습 경험 선정 = 36 C. 학습 경험 조직 = 38 D. 학습 성과 평가 = 39 E. 프로그램의 실제 = 39 Ⅳ. 프로그램 적용 = 46 A. 연구대상 = 46 B. 연구내용 = 46 C. 분석도구 = 52 D. 분석방법 = 58 E. 분석 결과 = 58 Ⅴ. 결론 및 논의 = 65 A. 결론 = 65 B. 논의 = 67 참고 문헌 = 70 부록 = 75 ABSTRACT =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651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등 국어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과지식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Knowledge of Subject Matter-based Program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dc.creator.othernameSong, Hee-Seung-
dc.format.pageⅸ, 1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