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숙-
dc.contributor.author이혜신-
dc.creator이혜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3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9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80-
dc.description.abstractThe critical issues probed in this thesis began with recognizing the changed condition of the Information Age(Info-age), from the earlier text oriented one to more recent image oriented one. As part of the larger visual schema, color experience has been regarded merely as simple, natural and direct occurrence, however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color perception is respondent to and acknowledged by diverse experience within cultural context. We tend to associate certain color as we see certain object. As ordinary as it may seem, this phenomena deserves a closer study since perceiving color entails complex process of neurological net work with crucial elements such as light, optical structures and object. Disciplines including physics, biology, psychology and chemistry may have offered scientific explanations about the color perception, however none of that could have been possible had not philosophy ask intrinsic questions about the perception itself. How then can we think of color perception within the premises of philosophy? The debates related to the notion of color begins with questioning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matters within the reasoning system of the west. The perception of color in the West has been dealt in accordance with the issue of the world`s existence; whether it exists dependently or independently from our mind. If the world exists independently from our mind, the color percep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reportage of our experience of things that exists independently from us. Contrary to the Western notion of color perception, the Eastern notion of that is quite different in the sense that it is considered as a concept of signification close to a value system. Hence my argument is that the color perception is more than simple accumulation or information from visual resources. It is the condition of epistemological experiences that is intervened by cultural values and notions. Fist, the subject matter and issues of this thesis i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Traditionally the color has been studied and believed to be perceived through our physical and intellectual senses however my contention is that it develops through epistemological process of diverse experiences. The methodology used to support the argument is by way of analysing the advent of changes in the info-age and use the analysis developing interconnection with our circumstantial experiences and acknowledgments of colors. The Western Philosophy`s quest for color perception has been based on a search for the intrinsic nature of human and external law of nature. Humans perceive the world through the physical senses. The colors as a stimulant to our system of senses like noise and smell cause changes in our senses, biologically or physically, providing valuable experiences. Among our visual experiences, color experience is seen as a significant process for developing sense perception that can enable us to understand and survive in the world. The perception of color is a condition that can be changed by different demand of the era. The earlier era with no scientific benefits had different needs and ways of dealing with color than our contemporary era. The contemporary research on color perception, its interests, needs, characteristics, has changed very much and I would like to present some of its main differences within the confines of philosophical history. Regardless of eras, philosophy recapitulates around the issues brought up by contemporary consciousness through analysis, alternative plans and answers. This also applies to the notion of the color perception in philosophy. Recently,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pproach to color perception made it possible for philosophy to incorporate scientific methods and variety of new answers have been generated. In the Western system of reason, issues related to color perception begins with the questioning of matters visible. The Natural philosophers before Socrates` time questioned the origin of the systemic law of our nature of men. In the same way, philosophers throughout the ages showed interests in color. From ancient thinkers to Aristoteles to Newton, general philosophy on color perception has been influenced by and subjected to classical ancient theory. The second chapter will be a discussion of the ancient color perception in the West. The first part will be a discussion of the problematized issues regarding color perception and the second part, its connection to the development of color perception was organized in systematic ways by Aristoteles. According to Aristoteles, we need at least three basic elements in order for us to perceive colors; object/subject, medium, sensing organ or the ability sense colors are some of these elements. Aristoteles`s basic elements were used to frame the basis of the process of defining colors` intrinsic characteristics. Hence this chapter will focus on Aristoteles` perception theory. After Aristoteles, philosophy`s existential issues for colors were discussed by modern philosophers in a more structured approach. The third chapter will be a discussion of the three crucial philosophers, Newton, Locke and Berkeley. The color perception theory exists in two clearly separate modes. The objective theory claims that color exists independently from the world of perceptor where as the subjective theory claims that it exists within the mind of the perceptor as an ability to sense color. Newton remained steadily objective as he experimented with the property of light. According to Newton, color is a condition of light that exists separately from the perceiver, outside his world. Rocke borrowed and transformed Newton`s objective theory into subjective one as he argued that color perception is an outcome of both the intrinsic traits of the light/object and the conscious will of the viewer. Rocke`s theory bridges the extreme idea of the objective theory and the highly unstable idea of combining the two extreme concepts into one. Berkeley took Locke`s theory a step further and proposed a highly subjective theory. Chapter three will be a discussion of Locke and Berkeley`s position. I will compare and contrast their theory to show how Berkeley came to take an extremely objective stance after Locke. In chapter4 I will sum up hitherto discussed issues and compare them to the issues of the contemporary science. It will discuss the reasons why contemporary philosophers accepted scientific concepts in redefining the theory of color perception and what they wanted to resolve from employing scientific method to philosophy. Also it will discuss the validity of the philosophical theory of color perception as science. Chapter 5 will be a discussion of epistemological aspect of the color perception.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argue that human color perception does not have material or physical universality that applies to everyone. It should rather be viewed as an epistemological recognition shaped by cultural experiences. Hence, study of the color perception shaped be made contextually with appropriate research of the cultural back ground of the subject groups.;본고의 문제의식은 과거의 문자 정보 시대에서 시각이미지 정보 시대로 변화하는 현상을 인식함으로서 출발되었다. 우리가 경험하는 시각이미지 경험중 색은 다른 시각 경험과 비교하여 직접적이고 자연적인 현상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우리의 색지각이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인지적으로 경험된다는 바를 주장하고자 한다. 우리는 어떤 대상을 보면서 동시에 색을 지각하게 된다. 이러한 색에 대한 지각은 일상생활에서 지극히 단순한 문제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색에 대한 지각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면 색에 대한 지각의 문제가 상당히 복잡한 문제임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가 색을 지각한다는 것은 빛과 물체, 눈, 그리고 뇌의 작용까지를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색을 지각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의 학문적 연구를 분류하면 물리학, 생리학, 심리학 및 화학 등의 영역으로 상당히 방대한 학문적 연구 분야이다. 그리고 철학은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 걸친 색에 대한 연구에 기반이 되는 기초적 물음을 제공했다. 그렇다면 색은 철학 안에서 어떻게 탐구되어 왔는가? 서구의 사유 체계 안에서 색에 관한 논의는 대상에 본성에 대한 질문들과 함께 출발한다. 서구에서의 색 지각(perception of colour)의 문제는 세계가 우리의 마음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지 혹은 우리의 마음에 의존적인지의 논의 안에서 중심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세계가 우리의 마음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면 색지각은 우리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사물의 객관적 성질에 관한 경험적 보고가 될 것이다. 만일 세계가 우리의 마음에 의존적이라면 색지각은 객관적 경험이라기보다는 주관적 경험으로 보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구의 색 의식과 대비하여 우리의 문화 안에서 색은 색지각이나 색경험의 차원에서 지식의 대상이나 물질의 성질로 다루어진 것이 아니라 하나의 가치 함축적 관념으로 보인다. 본고는 색지각을 단순히 시각적 자료에 대한 보고가 아니라 문화적 가치와 관념이 개입하는 일종의 인지적 경험의 일부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우선 서론에서는 본고의 문제의식을 밝히겠다. 지금까지의 색은 우리의 감각지각 작용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색지각의 인지적 경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맥락적주의적 시도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주의적 접근은 앞서 언급한바 시각 이미지 정보시대의 도래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서론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색경험의 인지적 측면을 기술하겠다. 서구의 색에 대한 철학적 탐구는 인간의 본성과 외부 세계의 자연 원리를 추론하였던 고대인들의 사유체계 안에서 시각과 관련된 자연 현상으로 탐구되었다. 인간은 감각 기관을 통해 외부 세계의 대상들을 지각하고, 이러한 감각지각의 과정을 통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색은 물리적 또는 생리적 변화로 소리, 냄새 등과 같이 감각적 성질로 우리의 감각 기관에 변화를 일으키며, 외부 세계를 지각하고 우리에게 유익하고 중요한 경험들을 산출한다. 우리의 시각 경험 중 색은 세계를 인식하고 생존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감각지각의 과정이다. 그리고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 인간은 감각지각에 의존하여 외부 세계에 대한 많은 경험의 자료를 수집하였을 것이고, 때문에 색경험에 대한 관심이 오늘날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우리의 색경험은 시대에 따라 변하고, 색에 대한 관심의 성격도 달라졌으며 연구방법에도 많은 차이가 있다. 본고는 우리의 색지각 경험의 변화를 철학사적 문제의식을 통해 고찰하겠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철학은 당대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문제를 쟁점화 시키며 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대안을 찾는 일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색지각에 관한 철학적 물음들도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현대에 이르러 색지각에 대한 철학적 물음들은 학제간의 연구를 통해 과학의 적극적 개입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시지각과 색에 대한 많은 의문점들에 해답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서구 철학사의 맥락에서 어떻게 색의 문제가 다루어졌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서구의 사유 체계 안에서의 색에 관한 논의는 대상의 본성에 대한 질문들과 함께 출발한다. 소크라테스 이전의 고대 자연철학자들은 자연법칙의 근원과 원소에 대한 물음으로 존재 전체에 대한 원리에 관하여 존재자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이러한 맥락에서 고대인들은 색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고대인의 색에 대한 철학적 견해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집약되었으며, 이는 근대 뉴턴에 이르기까지 가장 일반적인 생각이었다. 본론 2장에서 본고는 고대의 사유체계에서 색지각의 논의를 살펴보겠다. 당시에 어떠한 색지각의 논의가 있었으며, 이러한 논의가 현대의 이론 형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었는지를 우선 살펴보겠다. 고대의 색지각의 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러 좀 더 체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다. 그에 따르면 색경험은 감각지각 작용에 의한 것으로 우리가 색을 지각하기위해서는 최소한 세 가지 기본 요소가 있어야 한다. 감각 대상과 매개물 그리고 감각 기관 또는 능력은 색지각을 위한 기본 요소이며, 아리스토텔레스가 밝힌 색지각의 요소들에 의해 색의 본성과 우리의 색지각 과정을 밝히는 색 연구의 전 과정에 기본적 틀을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그의 감각론을 중심으로 색지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색에 대한 존재론적 물음은 근대의 철학자들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본론 3장에서는 색의 본성에 대한 존재론적 물음을 던진 세 명의 대표적인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색의 존재론적 물음은 색이 지각자와 독립된 세계에 존재한다는 객관주의 이론과 색은 외부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마음 안에 색감각 상태로 존재한다는 주관주의 이론이다. 뉴턴은 객관주의적 입장에서 색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는 실험을 통해 빛의 본질을 논하였는데, 뉴턴에 따르면 색은 외부세계에 빛의 성향으로 존재하는 실재이다. 그러나 이러한 색의 객관적 성질은 당시의 철학자인 로크에 의해 주관적 성질로 전환된다. 그에 따르면 색은 지각대상과 빛이 가지고 있는 선천적 성향이라는 객관적인 측면과 지각주체의 의식에 산출된 관념이라는 주관적인 측면 모두를 포함한다. 로크의 이론은 주관주의의 입장에서 객관주의와 극단적 주관주의의 불안전한 부분을 보완한 이론이다. 현대의 색에 대한 논의 역시 로크의 입장처럼 색에 본성에 대한 객관주의와 주관주의의 이론은 종합된다. 버클리는 로크의 주관주의 경향에 비교하여 강한 주관주의의 형태를 취한다. 본론에서는 로크와 버클리의 입장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버클리가 어떻게 로크의 제1성질의 객관성을 논파하여 극단적 주관주의의 입장에 서게 되었는지를 논의하겠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색지각에 대한 철학의 문제들과 현대 과학의 입장을 살펴보겠다. 현대의 철학자들이 왜 과학의 이론을 수용하였으며, 그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색지각의 철학적 문제들이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하겠다. 또한 철학에서의 색지각 논의들이 과학적으로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5장에서 본고는 색경험의 인지적 측면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에 앞서 4장에서는 과학적 접근을 통해 색지각의 존재론적 접근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우리의 색경험의 감각지각의 측면에서는 물리적으로 보편성을 갖고 있으나 인지적 측면에서는 전 인류에 보편적 경험이 이루어 질 수 없으며 따라서 색지각의 인지적 측면은 각 문화권에 따라 맥락적으로 연구되어야 함을 밝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Ⅱ. 자연 철학과 색지각 = 4 1.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과 색에 대한 존재론적 접근 = 4 2.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지각과 색 = 7 Ⅲ. 색지각의 존재론적 접근 = 12 1. 뉴턴의 객관주의 = 12 2. 로크의 온건한 주관주의 = 15 3. 버클리의 극단적 주관주의 = 21 Ⅳ. 색지각에 대한 과학적 접근 = 25 1. 색지각에 대한 고대철학에서의 문제와 현대과학의 입장 = 25 2. 신경생리학의 태동과 현대의 객관주의 이론 = 30 Ⅴ. 색지각에 대한 맥락주의적 접근 = 37 1. 인지적 경험으로서 색지각 = 38 2. 색지각의 맥락적 접근 = 42 Ⅵ. 결론 = 49 참고문헌 = 52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06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dc.title색지각 이론에 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about color perception theory-
dc.creator.othernameLee, hye shin-
dc.format.pageⅵ,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