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유방 촬영술에서 보이는 미세석회화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분석

Title
유방 촬영술에서 보이는 미세석회화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분석
Other Titles
Mammographic and Histopathologic analysis of microcalcification
Authors
천승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금자
Abstract
유방 촬영술은 유방암의 조기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진단 방법으로 이를 이용한 스크리닝은 비촉지성 조기 유방암의 발견률을 높여 유방암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세석회화 병변은 조기 유방암의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병변으로 문헌에 따르면 유방 촬영술에서 미세석회화 만을 보인 비촉지성 유방 병변의 유방암 발견율은 약 7.4%-47%로 보고 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 촬영술에서 보인 미세석회화 병변을 절제 생검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유방 촬영술에서의 미세석회화 병변의 특징과 병리 조직학적 상관 관계를 알아내어 악성 미세석회화 병변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를 정하는 데 있다. 1999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이화여자 대학교 부속 목동 병원 유방센터에서 유방 촬영을 하여 미세석회화 소견이 보인 환자 중에서 절제 생검을 실시한 88명의 환자, 94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의무 기록, 병리 결과지 등을 통해 연령의 분포, 유방 촬영술을 시행하게 된 동기, 유방 촬영술 소견과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세석회화 없이 종괴나 음영 증가, 유방 실질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는 제외 시켰고 종괴 내에 미세석회화를 보이는 경우는 포함 시켰다. 유방 촬영술에서 미세석회화 소견을 한명의 유방 영상 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하여 조직 검사에서 양성 병변과 악성 병변에 대해 각각 군집의 개수, 군집당 미세석회화의 수, 미세석회화의 크기, 미세석회화의 범위, 미세석회화의 형태, 동반 종괴의 유무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5.2±9.3세(25-70세)였다. 유방 촬영술의 동기는 증상 없이 선별 검사를 위해 시행한 경우가 62예(66.0%)로 가장 많았다. 양성 병변은 72예(76.5%), 악성 병변은 22예(23.4%)였다. 94예중 미세석회화만을 보이는 경우는 81예(86.1%)였고, 종괴내에 미세석회화를 포함하는 경우는 모두 13예(13.8%)였다. 미세석회화만을 보이는 81예중 양성 병변은 66예(81.5%), 악성 병변은15예(18.5%)였고, 종물내 미세석회화를 보이는 13예 중 양성 병변은 6 예(46.2%), 악성 병변은 7예(53.8%)로 종물을 동반하는 경우에 악성 병변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많았다(P=0.005). 양성 병변 중에서는 섬유 낭종성 변화가 59예(81.9%)로 가장 많았고 섬유선종 6예(8.3%), 관내 유두상종증과 섬유화가 각각 2예(2.8%), 경화선증과 경화증, 비정형관증식증이 각각 1예(1.4%)였다. 악성 병변의 경우 관상피내암과 침윤성 관상피암이 10예(45.5%)로 가장 많았고 침윤성 소엽상피암이 2예 있었다. 유방 촬영술에서 군집당 미세석회화의 수가 20개 이상일 때(p=0.005), 미세석회화의 범위가 3cm 이상 일 때(p=0.006), 미세석회화의 형태가 선상(linear type) 혹은 다형성(pleomorphic type)일 때(0.000), 종괴와 동반되어 있을 때(p=0.00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악성 병변이 많았다.;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m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iotopathologic diagnosis and to define the predictive factor for malignancy on mammographic microcalcifications.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analyzed the records of 94 cases of microcalcification which were diagnosed and biopsied from Mach 1999 to Febrary 2004.The six mammographic criteria , number of cluster, number, size, extent, and morphologic shape of microcalcification, presense of mass, were reviewed and the correlation with pathologic diagnosis were evaluated. Results All patient were female, with mean age of 45.2 years old. 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22 malignant lesions (23.4%), 10 of which were ductal carcinoma in situ and 10 were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Remaining 2 cases were invasive lobular carcinoma. (Table 2) Of the 72 benign lesions (76.5%), 59 cases were fibrocystic disease and 6 cases were fibroadenomas. The others included two intraductal papillomatosis, two fibrosis, etc. (Table 2) Number of microcalcification per cluster more than twenty, extent of microcalcification more than three centimeter and linear or pleomorphic microcalcif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malignancy on mammograhic microcalcification. Conclusion In our study, incidence of malignant lesion was 18.5% with only microcalcification on mammography.Number of microcalcification per cluster more than twenty, extent of microcalcification more than three centimeter and linear or pleomorphic microcalcif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malignancy on mammograhic microcalcif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