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진-
dc.contributor.author박영화-
dc.creator박영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91-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한국의 노동조직이 단일노총에서 양대노총으로 분화된 원인을 규명하고, 분화 이후 각 조직의 구조적 특징과 이를 기반으로 추구하는 가치와 집합행위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노동조합은 선진산업국가에서 노동자의 권리보호라는 특정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이익집단의 한 형태로 대두하였다. 그러나 점차 노동조합은 조직적 기반을 바탕으로 입법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변화를 유도하는 정치적 저항세력으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몇 몇 국가의 경우, 이념과 종교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노동조직이 분열하였고, 각 노동조합은 그 구조와 운동노선에서 독특한 성향을 띠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합법적인 전국조직으로 한국노총이 유일하였으나, 1995년 민주노총이 출범하면서 정상노조가 분화되었다. 이후 양 노총의 성향은 태생적 요인과 강령에 의해 한국노총은 어용노조, 경제적 조합주의, 온건적 노조인 반면 민주노총은 민주노조, 정치적 조합주의, 전투적 노조라는 단순화된 논리로 규정되었다. 거시적인 수준에서 노동조합은 주로 국가와 자본의 노동정책과 협상의 주체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양대 노총 출범이후에는 각 정권의 노동정책에 따른 대응뿐만 아니라 노조운동도 상이하게 전개되었다. 실제로 한국노총은 민주노총보다 덜 전투적이며 사회협약정치에 주안점을 두는 반면, 민주노총은 출범이후 총파업과 같은 전투적인 집합행동의 대부분을 주도해 온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러한 양노총의 행위패턴의 차이가 미시수준의 조직특성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노동조합의 일반모델에 적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의 2장에서는 한국노동조직의 분열원인을 조망하였다. 1987년 민주화 이행과정에서 발생한 노동자 대투쟁이 분열의 계기가 되었다. 당시 급속하게 성장한 중화학 공업중심의 대기업과 사무, 전문직의 화이트칼라 노동자를 중심으로 신규노조들이 폭발적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시기적으로도 어느 때보다 사회의식이 함양되었던 계층이었다. 정부에 의해 조직된 한국노총과는 다른 자주적인 노조를 원하였고 그 결과 민주노총을 출범시켰다. 즉 한국의 정상노조의 분열원인은 어용노조와 민주노조 간의 갈등이 주요한 원인이라고 하겠으나 그 이면에는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다양한 노동세력의 등장이라는 원인도 상당부분 작용한 것이었다. 노동조직의 분열 이후 양 조직은 다고 뚜렷한 조직적 편차를 보였다. 3장에서는 양 조직이 갖는 권력자원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특히 조직의 일관성e)과 권위의 집중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노총은 전통산업부문과 중소기업위주의 노조들이 다수 가입되어 있고 기업별 노조주의 성격이 강하였다. 반면 민주노총은 화이트칼라노조와 대기업 노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산업별 노조주의의 성격이 강하였다. 이러한 변수들의 총체적 결합인 권력자원은 한국노총은 조직적 파편화가 심하고 중앙집중이 약한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민주노총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조직의 일관성과 권위 집중의 측면에서 강한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4장에서는 이러한 조직특성에 따라 양노총이 추구하는 가치와 노조의 행위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보았다. 한국노총은 각 노조의 개별 이익에 관심이 많고, 조직 동원력이 미약하여 파업행위가 약하다. 반면 민주노총은 사회제도적인 문제에 관심이 많고, 동원력이 강하여 파업행위도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조직력을 바탕으로 민주노동당 창당에도 실질적인 주도를 하였고 정치의 장에까지 그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The purpose of this M.A. thesis is to verify the reason why Korean general union was branched into pluralism of unions and to demonstrat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nions after the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how different the value and collective behavior of one union from those of the other will be also demonstrated in this thesis. Initially labor unions emerged in developed countries as a mode of interest intermediation to aim for a peculiar purpose protecting workers' rights. Based on the systematic foundation, labor unions not only have been powerful over a process of legislation but also have exercised their influence over our society as a politic apparatus inducing social transformation. However, in cases of some countries, labor unions were split due to various reasons, for example, ideology or religion so the structure and movement line of each got to show distinguished dispositions respectably. In the case of Korea, the Federation of Korea Trade Unions (FKTU) had been the sole legal labor union as a national center until the Korea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was organized in 1995, and since then the two unions have served as peak organizations. Just because of their original elements and programmes, the two unions' dispositions were defined too simply since 1995: FKTU has been estimated as yellow groups, unions of economical corporatism, or moderate unions while KCTU as class-conscious worker unions, unions of political corporatism or militant unions. In the macro-level, labor unions are generally treated as the subject of labor policy and negotia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capital. Under the pluralism of unions, however, their confrontation against each regime's labor policy and labor movements have been dissimilar to each other. In fact, KCTU led militant labor movements such as a general strike after its beginning while FKTU was less militant and it has mainly focused on social compromise politics. I concluded this divergence in two unions was originated from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micro-level and intended to explain it by applying general models of trade unionism. First, the reason why the Korean labor organization was disrupted was prospected in chapter two in this thesis. The momentum of disruption was a great labor conflict in 1987, which was a part of social transformation for democratization. At that time, new labor unions were explosively being organized under the lead of white-collar workers, whose majority was professionals and office-workers from big enterprises such as the heavy chemical industry that was growing rapidly then. In those days, they owned higher social consciousness than any other social classes. They had a desire for independent unions distinguished from FKTU that was organized by a government, and consequently KCTU was born. The main factor of Korean labor union's disturbance was generally regarded as conflicts between yellow groups and class-conscious worker unions, but coming out of diverse labor powers also influenced strongly on the disruption in the background. After labor organization's disruption, both unions showed more apparent structural differentiation. In chapter three, the power resources of the two unions were examined, and especially it focused on the coherence of organization and centralization of authority. FKTU mainly consisted of traditional industry and numerous small-scaled businesses and its character was close to enterprise unionism. On the other hand, majority of unions of white-collar workers and big enterprises belonged to KCTU and its character was industrial unionism. FKTU's centralization was not solid so the organization was in the state of fragmentation while KCTU relatively kept concentrated coherence and centralization in its organization. Along with thos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hapter four analyzed the two union's differentiation resulted from values and union actions that each union had sought for. FKTU had more interested in each union's individual interest so its influence on labor mobilization and strike activity was relatively weak. Reversely KCTU was proved to be concerned about social problems and to be powerful on labor mobilization and strike activity. Based on this power resource, KCTU led the formation of Democratic Labor Party and was able to expand its influence on even political aren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초록 = ⅴ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기존 연구 검토 및 분석모델 제시 = 5 C. 논문의 구성 및 연구방법 = 10 Ⅱ. 양대노총체제의 출범과정 = 12 A. 제 2 노총의 출현과 성장 = 12 B. 민주노총의 합법화 = 20 Ⅲ. 양대 노총의 조직 특성 = 23 A. 조직규모 변화 추이 = 23 B. 양대 노총의 조직 구조 = 29 1. 조직적 일관성 = 29 가. 산별연맹별 가입구조 = 29 나. 산업부문별 조직구성 = 38 다. 규모별 조직구성 = 41 2. 권위 집중도 = 45 가. 총파업 참여 비율 = 46 나. 재정상태 = 47 C. 소결 = 51 Ⅳ. 양대 노총의 집단행위의 특성 = 53 A. 각 노총의 투쟁대상 비교 = 53 B. 대응양식: 교섭과 쟁의 = 58 C. 정치조직: 민주노동당과 한국사회민주당 = 64 D. 소결 = 69 Ⅴ. 요약 및 결론 = 71 참고문헌 = 74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25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노동조직의 분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IFFERENTIATION OF KOREAN LABOR UNIONS-
dc.creator.othernamePark, Young Hwa-
dc.format.pageⅵ,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